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정신건강
· ISBN : 9791185324777
· 쪽수 : 404쪽
· 출판일 : 2025-01-07
책 소개
트라우마는 단순히 사건의 기억이나 심리적 영향을 넘어서, 신체와 신경계에 깊은 흔적을 남긴다. 이 책은 개인의 자율신경계와 자연적 치유력에 주목하며, 전통적인 치료법을 넘어선 통합적 모델을 제안한다. 저자들은 30년 이상 동서양의 통합 지향적 임상 경험과 소매틱 익스피어리언싱(Somatic Experiencing) 기법을 통합한 획기적인 접근법을 통해, 트라우마가 신체 및 마음과 영혼에 미치는 영향을 정교하게 분석하며, 이를 치료하기 위한 실질적인 방법을 제시한다.
특히, 트라우마로 인한 스트레스가 자율신경계에 남긴 영향을 다미주 이론(Polyvagal Theory)과 오행 이론으로 설명하며, 트라우마 반응에서 생존자 ‘유형’에 대한 신체적 증상과 정서적 표현을 분석하고 치유 방법을 개인에게 맞게 치유 접근법을 자세히 설명한다. 이처럼 이 책은 탁월한 이론과 트라우마로 무너진 몸과 마음의 균형과 조화를 회복하는 직접적인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트라우마의 도道 The Tao of Trauma』의 통합적 관점은 외상 후 스트레스의 다양한 증상(만성 통증, 자가면역질환, 불면증, 대사 문제, 정신 건강 장애)을 밝혀내고, 트라우마 생존자와 그들을 치료하는 사람들에게 새로운 희망을 준다.
출판사 서평
동양의 지혜와 서양 신경과학의 통합하므로써 트라우마 치유를 위한 획기적인 접근법 제시한 이 책은 단순한 치유의 도구를 넘어, 내면의 깊은 통찰을 가능하게 한다. 이론과 실제가 완벽하게 조화를 이루고 있다. 임상 경험이 풍부한 저자들이 제공하는 방법론은 트라우마 치료에 실제로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지침을 담고 있다.
한국어판의 특징
이번 한국어 번역본은 국내 독자들을 위해 원서의 내용에 한자를 추가하고, 오행 이론과 음양의 개념을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주석을 보강했다. 독자들은 자연의 순환과 신체의 조화를 통해 트라우마로 인해 잃어버린 내적 균형을 회복하고, 삶과 자신을 새롭게 정의하는 여정을 시작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서문 … 17
저자 서문 … 23
역자 서문 … 28
감사의 말 … 30
서론 … 34
제1부 통합 치유를 위한 동서양의 만남
1장 외상성 스트레스에 대한 서양의 관점 … 45
역사와 맥락 … 45
긍정적인 스트레스, 견딜 수 있는 스트레스, 유해한 스트레스 … 50
유해한 또는 외상성 스트레스 이해 … 53
더 많은 가능성을 창출하는 통합적 치유 … 65
트라우마가 개인, 가족 및 지역 사회에 미치는 영향 … 66
2장 침술 및 동양의학을 조명하고 알리는 다미주신경 이론 … 71
세 가지의 신경생리학적 플랫폼 … 71
교감신경계와 자기 보호 … 75
배쪽 미주신경과 사회적 유대 시스템 … 76
등쪽 미주신경 … 81
다미주신경 이론과 침술 및 동양의학 … 84
배쪽 미주신경 … 84
높은 톤의 교감신경 … 84
낮은 톤의 등쪽 미주신경 … 85
높은 톤의 등쪽 미주신경 … 86
3장 외상성 스트레스에 대한 AAM(침술 및 동양의학)의 관점 … 90
AAM(침술 및 동양의학)의 도道 … 91
음陰과 양陽 … 92
기氣(에너지) … 96
오행의 법칙 … 100
자기 보호 반응과 오행 … 104
다섯 가지 생존자 유형 … 114
금金속 유형: 정지/놀람 단계 - 각성 일으키기 … 117
물水 유형: 방어적 정향 설정 단계 - 위협을 신호하기 … 119
나무木 유형: 구체적인 자기 보호 반응 단계 - 반응을 가동화하기 … 120
불火 유형: 완료 단계 - 일관성 회복하기 … 121
흙土 유형: 통합 단계 - 어려운 경험을 소화하기 … 122
공명을 일으키는 체계로 오행의 대응 … 123
제2부 치유를 위한 준비
4장 터치와 일관성 그리고 공명 … 126
터치와 인간의 경험 … 128
일관성은 우리 장기와 신체 조직의 심장 조절이다 … 130
일관성은 시스템 간의 공명을 구축한다 … 134
마음챙김 터치는 시스템 간의 일관성과 공명을 지원한다 … 137
신체 조직의 에너지 특성 … 138
5장 임상에서의 원리 … 143
세션 구성하기 … 147
신장/부신 시스템에서 안전과 위협을 인식하는 역량을 구축하기 … 147
다섯 가지 생존 유형에 따라 내담자를 평가하라 … 149
지속적으로 동의하는 과정을 가지기 … 149
회복탄력성 영역 내의 파동을 회복하기 위해 틱톡 연습하기 … 150
내수용 감각을 활용해 신체 조직과 장기에서 기氣를 구현하기 … 153
적정 - 벽돌을 한 번에 하나씩 쌓듯이 기반을 견고하게 구축하기 … 155
‘이런!’이라는 감탄사가 튀어나올 때 … 157
터치를 활용하는 것에 대한 안내 … 159
임상 범위 … 161
다양한 임상 분야에 대한 지침 … 163
신체 심리치료사 … 163
침구사 … 164
신체 치료사 … 166
의료 전문가 … 167
제3부 오행을 통한 균형과 조절 회복
6장 금(金)속과 가을: 각성 일으키기 … 172
자기 보호 반응의 다섯 단계 … 172
도입: 금金속 요소의 특성 … 175
자기 보호 반응에서 금金속 요소의 역할 … 179
금金속 유형의 일반적인 증상: 폐와 대장 … 180
금金속 요소의 조절 능력을 회복하기 위한 요법 … 183
내부감각에 대한 가이드 된 연습 … 184
마인드풀 터치: 보호하는 컨테이너로써 피부에 대한 체화된 인식 만들기 … 189
외상성 스트레스 후 횡격막 시스템의 조절력 회복하기 … 195
금金속 요소의 조절 회복에 대한 사회적 시사점 … 212
결론 … 214
7장 물(水)과 겨울: 위협을 알아차리기 … 215
자기 보호 반응의 다섯 단계 … 215
물水 요소의 본성 … 218
맥락: 자기 보호 반응에서 물水 요소의 역할 … 220
물水 요소의 일반적인 증상: 신장과 방광 … 222
물水 요소의 조절 능력을 회복하기 위한 요법 … 225
안전의 감각 느낌을 초대하기 … 227
신장/부신 시스템 구축하기 … 229
파열된 경계를 회복하기 … 236
뼈의 유연성과 마음챙김 터치를 통한 회복탄력성 지지하기 … 240
뇌간의 공포/두려움 센터의 조절력 회복하기 … 243
물水 요소의 조절 회복에 대한 사회적 시사점 … 249
결론 … 254
8장 나무(木)와 봄: 반응을 가동화하기 … 256
자기 보호 반응의 다섯 단계 … 256
정향: 나무木 요소의 특질 … 259
맥락: 자기 보호 반응에서 나무木 요소의 역할 … 263
나무木 유형의 일반적인 증상: 간과 담낭 … 266
나무木 요소의 조절 능력을 회복하기 위한 요법 … 274
2차 횡격막에서 보호와 방어 반응을 회복하기 … 275
정향 시스템의 운동기능과 감각기능의 통합 … 284
간혈의 활력을 회복하기 … 290
나무木 요소의 조절 회복에 대한 사회적 시사점 … 294
결론 … 297
9장 불(火)과 여름: 일관성 회복하기 … 298
자기 보호 반응의 다섯 단계 … 298
정향: 불火 요소의 성질 … 300
맥락: 자기 보호 반응에서 불火 요소의 역할 … 307
불火 유형의 일반적인 증상: 심장, 심포, 소장 및 삼초 … 312
불火 요소의 조절 능력을 회복하기 위한 요법 … 315
심포의 출입문에 있는 내수용 감각 복원 … 316
자기 조절 복원 및 지원을 위한 공동 조절의 사용 … 321
연결을 위한 기반 복원 … 325
마음의 정력 회복 … 331
불火 요소의 조절 회복에 대한 사회적 시사점 … 336
결론 … 340
10장 흙(土)과 늦여름: 어려운 경험을 소화하기 … 341
자기 보호 반응의 다섯 단계 … 341
흙土 요소의 본질 … 344
맥락: 자기 보호 반응에서 흙土 요소의 역할 … 350
흙土 유형의 일반적인 증상: 비장과 위 … 352
흙土 요소의 조절 능력을 회복하기 위한 요법 … 356
내장의 연동운동蠕動運動 회복 … 357
근육/살에 저장된 완료 반응 지원 … 363
체액 시스템에 대한 중독 및 감전사의 영향 … 372
흙土 요소의 조절 회복에 대한 사회적 시사점 … 375
결론 … 377
부록1- 오행 대응표 … 379
부록2 - AAM의 12 장기조직 또는 “관료” … 382
부록3 - 내수용 감각을 향상시키기 위한 유용한 표현들 … 384
참고 문헌 … 3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