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언론정보학
· ISBN : 9791185521961
· 쪽수 : 376쪽
· 출판일 : 2021-06-30
책 소개
목차
1장 첨단 시대에도 왜 소통이 문제인가
1. 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지와 인간의 삶
2. 미디어가 사회관계를 조정한다
2장 공동체란 무엇인가
1. 지금의 공동체, 공동 사회와 이익 사회 너머
2. 한국 사회 공동체의 특성과 변화
3장 미디어의 발전과 공동체의 변화
1. 전통 시대의 삶과 공동체
2. 인쇄 미디어와 공동체
3. 방송 미디어의 확산과 공동체의 변화
4. 전화에서 모바일까지
4장 한국 사회의 TV 보급 확대와 공동체의 변화
1. 한국 사회의 산업화와 TV 보급 확대
2. TV의 등장과 마을 공동체
3. 안방극장과 가족 공동체
4. 개별 시청과 공동체의 분화
5. 한국의 TV와 공동체
5장 한국 사회의 전화 보급 확대와 공동체의 변화
1. 전화의 등장과 마을의 공동 이용
2. 전화 보급 확대와 이웃 공동체
3. 가정 전화의 보급 확대
4. 가정 전화의 복수화와 이용의 분리
5. 개인 전화의 발전과 확산
6. 연결되는 개인과 새로운 소통 공간
7. 한국의 전화와 공동체
6장 TV 드라마를 통해 본 한국 공동체의 변화
1. 왜 TV 드라마인가
2. 한국의 가족과 공동체
3. 드라마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이별〉
4. 드라마에 나타난 소통 양식의 변화
5. 드라마를 통해 본 대인 관계의 변화
6. 변화하는 한국의 가족 공동체
7장 한국인의 미디어 이용과 공동체, 그리고 세대
1. 한국 사회의 다양한 세대론
2. 사회적 경험과 미디어 경험
3. 세대별 미디어 이용 실태
4. 세대별 공동체 인식의 차이
8장 공동체와 소통 위기의 극복을 위하여
1. 어디에나 있고 아무 곳에도 없는 공동체
2. 다시, 책으로
3. 새로운 소통을 위하여: 공동체 미디어 운동과 대화의 재발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