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임상진료 대처법

임상진료 대처법

(사소하지만 어려운)

Sho Inoue, Tadashi Tabei (엮은이), 안지현 (옮긴이), Eiji Gotoh, Masahiko Inamori (감수)
우리의학서적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5,000원 -0% 0원
0원
25,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임상진료 대처법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임상진료 대처법 (사소하지만 어려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임상의학 > 종합진료학
· ISBN : 9791185658131
· 쪽수 : 177쪽
· 출판일 : 2015-06-30

목차

Part 1│감염과 관련된 고민!

원내감염 대책에서 주의해야 할 것2
Q 1 ▶ 원내감염에서 감염 예방대책이 필요한 것은 어느 경우입니까? 또한 어떤 감염 예방대책을 시행하면 될까요?
Q 2 ▶ 감염 예방대책을 시작한 환자는 언제까지 해야 할까요?
감염 예방대책의 시행 시기4
Q 1 ▶ 감염 예방대책이 필요한 감염에 대해 익숙하지 않고 언제 어떤 예방대책을 해야 좋은지 판단이 어렵습니다.
Q 2 ▶ 비전형적인 증상을 보이는 감염의 핵심을 가르쳐 주세요.
입원 후에 결핵이 의심되면6
Q 1 ▶ 원내 환자에게 결핵이 의심되는 경우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Q 2 ▶ 같은 병실 환자의 격리·검사는 필요합니까?
같은 병실 환자에 그치지 않고 병동, 의료진, 문병객 등도 검사가 필요할까요?
등교 중지기간은 절대로 지켜야 하나?8
Q 1 ▶ 학교보건안전법에서 정한 등교 중지기간에 의학적 근거는 있나요?
질병에서 회복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았을 때의 예방접종10
Q 1 ▶ 의학적으로 어느 경우에 백신접종을 연기하는 것이 좋을까요?
Q 2 ▶ 생백신·불활성화 백신의 접종 간격에 근거가 있을까요?
외상, 동물교상에 대한 대응12
Q 1 ▶ 교상 후 파상풍 예방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Q 2 ▶ 광견병 백신은 맞지 않아도 괜찮습니까?

Part 2│혈관투여경로·카테터와 관련된 고민!

말초정맥 혈관투여경로의 합병증 예방16
Q 1 ▶ 말초정맥 투여경로의 합병증 예방에 있어서 핵심을 짚어주세요.
수액방울누출로 염증이 발생18
Q 1 ▶ 어느 때에 피부과 전문의에게 진료받는 것이 좋을까요?
Q 2 ▶ 수액방울누출이 되면 어떻게 될까요?
Q 3 ▶ 약물에 따른 분류를 설명해 주십시오.
Q 4 ▶ 정맥염의 대처법을 설명해 주십시오.
중심정맥카테터 삽입의 합병증① ▶ 기흉 20
Q 1 ▶ 어떤 때에 기흉을 의심할 수 있을까요?
Q 2 ▶ 기흉을 만들게 되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중심정맥카테터 삽입의 합병증① ▶ 동맥천자 22
Q 1 ▶ 동맥을 찔렀는지 알아차릴 수 있는 핵심은?
Q 2 ▶ 동맥을 찔렀을 경우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Q 3 ▶ 단락(shunt) 형성을 의심하게 하는 핵심은 무엇인가요?
중심정맥카테터의 관리24
Q 1 ▶ 카테터가 빠지는 사고 시 언제 바로 다시 삽관을 고려하는 것이 좋을까요?
Q 2 ▶ 막혔을 때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도뇨관의 교체시기와 주의점26
Q 1 ▶ 유치기간은 얼마까지 허용될까요?
Q 2 ▶ 주의사항을 질문하면 어떻게 조언할까요?
도뇨관의 커프가 빠지지 않는다.28
Q 1 ▶ 어떻게 대처하면 좋을까요?
도뇨관이 빠지는 사고30
Q 1 ▶ 남자 환자가 도뇨관을 잡아 빼는 사고 시 더 굵은 도뇨관을 넣는 것이 맞습니까?
Q 2 ▶ 도뇨관이 들어가지 않을 때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도뇨관에서 혈전이 나오면32
Q 1 ▶ 세척액이 나오지 않는 경우의 대처법을 알려주세요.
Q 2 ▶ 어떤 질환을 의심하여 검사를 해야 할까요?
도뇨관을 유치 중인 환자가 음부의 가려움증을 호소하면34
Q 1 ▶ 어떤 질환을 염두에 두고 검사를 해야 할까요?
Q 2 ▶ 도뇨관을 유지한 채로 두어도 괜찮을까요?
방광루의 도뇨관 유치36
Q 1 ▶ 어느 정도 길이까지 넣어도 좋을까요?
Q 2 ▶ 역류가 없어도 괜찮을까요?
소아의 도뇨38
Q 1 ▶ 소아의 도뇨 시 주의할 점은 무엇입니까?
기관삽관의 시기, 진정방법40
Q 1 ▶ 언제쯤 삽관하면 좋을까요? 시기를 가르쳐 주세요.
Q 2 ▶ 응급 기관삽관이 필요할 때 진정방법을 가르쳐 주세요.
기관캐뉼라가 빠져버리면42
Q 1 ▶ 캐뉼라가 없으면 호흡이 불가능합니까?
Q 2 ▶ 빠지지 않도록 하려면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요?
기관절개부의 출혈과 육아 형성44
Q 1 ▶ 간호사는 출혈은 자주 있는 일이라고는 하는데 내버려두어도 괜찮을까요?
Q 2 ▶ 잘 삽입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X선 촬영이 필요할까요? 흡인과 청진으로 충분할까요?
Q 3 ▶ 서서히 주위에 육아를 형성하고 있는 것 같은데 경과 관찰로 괜찮을까요?
흉관병을 넘어뜨렸을 때, 공기가 너무 나와 버렸을 때46
Q 1 ▶ 흉관병을 넘어뜨린 경우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Q 2 ▶ 흉관에서 공기나 흉수는 어느 정도 빠져도 괜찮을까요?
흉관이 빠졌을 때48
Q 1 ▶ 흉관이 빠졌을 때 대처법을 알려주세요.
경비위관(코위영양관)의 삽입50
Q 1 ▶ 경비위관 삽입시 매번 X선으로 확인하는 게 좋을까요? 아니면 청진만으로 괜찮을까요?
위루카테터의 관리52
Q 1 ▶ 위루카테터를 빼는 사고에서 어떻게 대처하면 좋을까요?
Q 2 ▶ “위루카테터가 딱딱해서 움직이지 않는다"는 것은 무엇이 문제일까요?
Q 3 ▶ 풍선식 위루카테터의 교체 시 주의할 점이 있습니까?
PTCD의 관리54
Q 1 ▶ PTCD 튜브의 배액량이 변했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ENBD의 관리56
Q 1 ▶ ENBD 튜브에서 배액이 없는 경우 경과 관찰해도 될까요?
투석용 카테터내의 혈전과 천자부 출혈58
Q 1 ▶ 역류가 없을 때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Q 2 ▶ 카테터 천자부에서 출혈이 있으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Part 3│수술 전후 관리와 관련된 고민!

수술 전 발열62
Q 1 ▶ 수술을 연기하는 것이 맞을까요?
Q 2 ▶ 수술 전 금식은 근거가 있는 것일까요?
수술 전 장세척64
Q 1 ▶ 어떨 때 장세척이 충분하다고 할 수 있습니까?
Q 2 ▶ 아직 변 찌꺼기가 나오고 있는 상태에서 수술을 해도 될까요?
수술 전 혈당 조절66
Q 1 ▶ 혈당 조절 상태가 불량인 채로 수술해도 괜찮을까요?
Q 2 ▶ 수술 후 혈당 조절은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수술 전후 기간의 항응고제, 항혈소판제68
Q 1 ▶ 항혈소판제, 와파린¢c의 중지 및 재개 시점을 알려주세요.
Q 2 ▶ 헤파린 주입 방법을 알려주세요.
수술 전후의 배액관 관리70
Q 1 ▶ 배액관은 왜 유치하고 있습니까?
Q 2 ▶ 수술에 따라 배액관을 유치하는 위치가 정해져 있습니까?
수술 전후의 스테로이드 투여 - 수술 후 경구 투여 재개는 언제부터?72
Q 1 ▶ 스테로이드는 언제부터 경구용 약제로 변경해야 할까요?
Q 2 ▶ 수술 전후 스테로이드 투여의 통일된 방법은 없을까요?
수술 후 발열74
Q 1 ▶ 흡수열은 일반적으로 어느 정도(몇 ℃, 수술 후 며칠)의 발열입니까?
수술 후 핍뇨의 대처76
Q 1 ▶ 수술 후 핍뇨의 병태생리를 알려주세요.
Q 2 ▶ 핍뇨 시 무엇으로 수액 또는 이뇨제의 사용을 결정하면 좋을까요?
수술 후 상처 처치, 피부 자동봉합기 제거, 실밥 제거78
Q 1 ▶ 상처 감염은 어느 때 의심하면 될까요? 어떤 처치를 하면 좋을까요?
Q 2 ▶ 피부 자동봉합기와 실밥의 제거 시점은 어느 때인가요?
Q 3 ▶ 재봉합해도 괜찮을까요?
위장관 수술 후의 식단 변경80
Q 1 ▶ 위장관 수술 후 식단 변경이 근거가 있습니까?
조기 보행을 할 수 없을 때의 DVT 예방82
Q 1 ▶ 조기 보행할 수 없는 환자의 DVT 예방법으로 어떤 것이 있을까요?
Q 2 ▶ DVT, PE 예방을 위해 일상적으로 관찰해야 할 사항은 무엇일까요?

Part 4│약물과 관련된 고민!

신기능장애와 진통제86
Q 1 ▶ NSAIDs에 의한 신기능장애는 무엇입니까?
Q 2 ▶ 신기능장애 환자에게 어떤 진통제를 사용하면 좋을까요?
NSAIDs와 함께 처방하는 위장약의 종류88
Q 1 ▶ NSAIDs 유발성 위궤양이라고 자주 하는데 NSAIDs 유발성 궤양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인 위장약은 무엇이 있습니까? 위장약이라면 일단 아무거나 괜찮을까요?
아스피린 천식90
Q 1 ▶ 아스피린 천식 발작의 치료 시 유념해야 할 것을 알려주세요.
Q 2 ▶ 아스피린 천식은 아스피린 이외에서도 유발될까요?
인플루엔자에서 해열제92
Q 1 ▶ 인플루엔자 환자에게 NSAIDs를 처방해도 괜찮을까요? 혹시 해열제를 처방한다면
무엇을 사용하면 좋을까요?
아세트아미노펜 중독과 간기능장애94
Q 1 ▶ 간기능장애의 병력이 있는 환자에게 아세트아미노펜을 사용할 경우
어느 정도까지 사용해도 괜찮을까요?
암성 통증의 대처96
Q 1 ▶ 돌발성 통증 약물의 사용횟수에 제한이 있습니까?
Q 2 ▶ 부작용이 일어났을 때의 대처법을 알려주세요.
수면제를 신중히 투여할 때98
Q 1 ▶ 호흡상태가 나쁜 환자에게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수면제가 있습니까?
푸로세미드의 투여방법- 반복 투여할 것인가? 지속적으로 정맥주사할 것인가?100
Q 1 ▶ 푸로세미드(라식스¢c)의 반복 투여와 지속 정맥주사의 효과 차이가 있습니까?
Q 2 ▶ 경구 투여와 정맥주사는 어떤 차이가 있습니까?
중심정맥카테터로 투약할 때102
Q 1 ▶ 배합금기에 대하여 알려주세요.
Q 2 ▶ 혈관손상에 대하여 알려주세요.
임신 중 요로결석과 진통제106
Q 1 ▶ 임신 중 발병한 요로결석의 발작에 대하여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임신 중 항알레르기약물108
Q 1 ▶ 임신 중 꽃가루에 의한 계절성 알레르기비염 치료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Q 2 ▶ 이 증례에서는 어떻게 설명하면 좋을까요?
소아의 진통제110
Q 1 ▶ 소아에서 아세트아미노펜 사용량의 상한선은 어느 정도일까요?
Q 2 ▶ 소아에서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진통제는 아세트아미노펜 외에 없을까요?

Part 5│영양과 관련된 고민!

말초정맥에서 영양투여114
Q 1 ▶ 말초정맥으로 점적에 의한 영양투여는 어느 정도의 기간이 적절할까요?
영양제제의 적절한 사용116
Q 1 ▶ 말초정맥영양과 중심정맥영양에 비해 장관영양 쪽이 훨씬 생리적이고
다양한 장점이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장관영양제는 어떻게 적절히 사용하면 좋을까요?
장마비와 수액118
Q 1 ▶ 환자를 금식시키고 수액 관리할 때 주의할 과거력이 있습니까?
Q 2 ▶ 중심정맥카테터를 유치해야 할까요?
Q 3 ▶ 장폐색시 수액에 대해 특히 주의해야 할 것이 있습니까?
역류성식도염의 식사관리120
Q 1 ▶ 역류성식도염 환자가 식사 시 주의해야 할 것을 알려주세요.
췌장염의 식사 관리122
Q 1 ▶ 췌장염 환자의 식사 시작 기준을 알려주세요.
Q 2 ▶ 만성 췌장염 환자의 식사요법에 대하여 알려주세요.
췌장염에서 물 마시는 것을 제한 - 목마름을 호소한다면124
Q 1 ▶ 췌장염 환자는 물을 조금 마셔도 괜찮을까요?

Part 6│검사와 관련된 고민!

상부위장관내시경검사 후의 복통128
Q 1 ▶ 상부위장관내시경검사의 주된 합병증은 무엇입니까?
Q 2 ▶ 상부위장관내시경검사의 복통에 대해 어떻게 대처해야 합니까?
하부위장관내시경검사의 전처치130
Q 1 ▶ 하부위장관내시경검사 전처치의 핵심은 무엇입니까?
Q 2 ▶ 하부위장관내시경검사의 주요 합병증은 무엇입니까?
ERCP 후 췌장염132
Q 1 ▶ ERCP 후 췌장염이 일어났을 때 대처법을 알려주세요.
Q 2 ▶ 췌장염 이외에 주의할 합병증이 있습니까?
기관지내시경검사의 주의점134
Q 1 ▶ 기관지내시경검사를 시행하는 경우는 어느 때입니까?
Q 2 ▶ 기관지내시경검사 전후의 주의사항이 있습니까?
검사 시 피폭에 의한 발암 위험성136
Q 1 ▶ CT 피폭에 의한 발암 등의 위험은 어느 정도입니까?
소아의 방사선피폭138
Q 1 ▶ 소아의 방사선피폭에서 성인과 비교해 주의할 점이 있습니까?
Q 2 ▶ 걱정하는 엄마에게 어떻게 설명하는 것이 좋을까요?
의료종사자의 직업 피폭140
Q 1 ▶ IVR, ERCP 등 투시검사에 따른 의료인의 피폭이 많다고 하는데 어느 정도입니까?
Q 2 ▶ 피폭량은 얼마까지 허용될까요?
이동형 X선 검사의 피폭144
Q 1 ▶ 어느 정도 떨어지는 것이 좋을까요?
검사치가 완전히 다르다!146
Q 1 ▶ 검사 결과를 믿고 수혈을 중단해도 될까요?

Part 7│증상·징후 상의 고민!

설사 ① - 항생제가 필요한가요?150
Q 1 ▶ 설사 치료시 항생제가 필요할까요?
Q 2 ▶ 대변배양검사가 필요할까요?
Q 3 ▶ 항생제 이외의 약물은 어떻게 사용해야 할까요?
설사 ② - 지사제가 필요한 경우152
Q 1 ▶ 지사제를 사용해도 괜찮을까요?
Q 2 ▶ 절대로 멈추지 않으면 안 되는 설사가 있을까요?
기침 ① - 멈추지 않는 기침의 평가154
Q 1 ▶ 필요한 검사 항목이 있습니까?
Q 2 ▶ 어떻게 치료하면 좋을까요?
기침 ② - 해소천식156
Q 1 ▶ “해소천식"에 대해 알려주세요.
혈당치의 이상 ① - 고혈당158
Q 1 ▶ 당뇨병의 병력이 없는 환자가 몸 상태가 안 좋다고 할 때 당뇨병성 케톤산증(DKA)이나
고삼투압고혈당증후군(HHS)을 의심해야 할까요?
Q 2 ▶ 케톤체와 케톤산증의 정도는 관계가 있을까요?
Q 3 ▶ 치료시 주의할 점이 있습니까?
혈당치의 이상 ② - 저혈당160
Q 1 ▶ 저혈당의 정의가 있나요? 어느 경우에 대처가 필요한가요?
Q 2 ▶ 당뇨병의 병력이 없는 환자가 저혈당일 때 무엇을 생각하면 좋을까요?
혈압 상승162
Q 1 ▶ 어느 때 혈압강하제를 투여하면 좋을까요?
섬망과 노인의 불면166
Q 1 ▶ 섬망에서 주의할 점을 알려주세요.
Q 2 ▶ 노인에서 불면증 진료의 핵심은 무엇입니까?
욕창168
Q 1 ▶ 욕창의 예방이나 악화를 방지하기 위해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요?
넘어졌을 때 상처170
Q 1 ▶ 상처의 진찰과 처치의 핵심을 알려주세요.
Q 2 ▶ 봉합 후 처치를 알려주세요.
Q 3 ▶ 멸균필름의 특징을 알려주세요.
Q 4 ▶ 연고사용 시 주의점을 알려주세요.
Q 5 ▶ 예방적 항생제 투여가 필요합니까?
잦은 코피172
Q 1 ▶ 전공의가 대처할 수 있는 코피와 전공의가 대처해서는 안 될, 즉 전문의의 판단이
필요한 코피를 알려주세요.
Q 2 ▶ 어느 시기에 이비인후과에 알려야 할까요?
피부의 가려움증, 황달174
Q 1 ▶ 황달이 원인인 가려움증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
모유영양아의 알레르기175
Q 1 ▶ 어떻게 대답하면 좋을까요?
골절 처치 후 통증을 호소하면176
Q 1 ▶ 어떻게 대처하면 좋을까요?

●Column●
정기적인 카테터 교체가 꼭 필요한 것일까요? / 17
채혈 / 19
도뇨관의 선택 / 29
개인선량계를 잘 착용하고 있습니까? / 141
진해제를 처방하는 경우 / 157
입원 환자가 넘어지면 / 177

저자소개

Sho Inoue (엮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Tadashi Tabei (엮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안지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의학박사이자 언론학석사이며 중앙대학교병원 내과 교수를 거쳐 현재 한국의학연구소 교육연구부장으로 있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의학칼럼니스트이자 건강정보 콘텐츠 개발자로서 대한의학회 건강정보심의실무위원, 대한의사협회 교육위원 및 국민의학지식향상위원 등을 거쳐 대한검진의학회 총무이사 등으로 활동 중이며, 보건복지부장관상, 한국스카우트연맹총재상, 국방홍보원장상, 육군교육사령관 표창 등 다양한 수상 경력이 있다. 대중의 눈높이에 맞는 건강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과학문화아카데미 과학커뮤니케이션 리더십 과정,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크리에이터 양성과정 등을 이수했으며, 국가건강정보포털, 경기도 고혈압·당뇨병 광역교육센터, 서울시 대사증후군 사업단 등의 건강정보 콘텐츠 개발에 참여하였다. 질병관리본부, 대한운동사협회 등 여러 기관, 학교, 기업에서 수백 차례 강의하였고, KBS <비타민>, <생로병사의 비밀>, <위기탈출 넘버원>, SBS <좋은 아침> 등 TV와 KBS, EBS, CBS, 국군방송 등 라디오에 출연하였다. 한경머니, 헬스조선, 조선비즈, 의협신문, 국방일보, 국방저널에 건강칼럼을 고정 연재하였다. 지은 책으로는 『한 눈에 알 수 있는 내과학』 외 다수가 있다. 현재 유튜브 채널 ‘안지현TV’를 통해 건강정보를 전하고 있다.
펼치기
안지현의 다른 책 >
Eiji Gotoh (감수)    정보 더보기
펼치기
Masahiko Inamori (감수)    정보 더보기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