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내과 > 내분비
· ISBN : 9791185658285
· 쪽수 : 181쪽
· 출판일 : 2017-08-30
목차
서론 갑상선질환을 간단히 생각해봅시다. / 15
핵심은“3가지 지표” / 15
제1부 혹시 갑상선질환?
제1장 갑상선질환을 의심할 수 있는 단서
* 갑상선질환 발견의 중요성 / 18 /
A. 병력청취 - 자각 증상을 들어보자 - / 18
1. 갑상선기능항진증(hyperthyroidism)(갑상선중독증(thyrotoxicosis)) / 18
2. 갑상선기능저하증(hypothyroidism) / 20
B. 시진 - 눈 증상이 있는가? - / 21
C. 촉진 - 비대, 결절, 통증이 있는가?- / 22
1. 촉진으로 알 수 있는 것 / 22
2. 정확히 촉진할 수 있는가? / 23
3. 촉진에서 놓치는 경우 / 25
D. 생화학검사에 힌트가 있다! / 25
1. 총 콜레스테롤 수치 / 26
2. ALP (alkaline phosphatase) / 26
3. AST, ALT, γ-GTP / 26
4. CK (creatine kinase) / 26
제2장 갑상선검사 결과는 이렇게 해석한다!
* 정확하게 검사 결과를 해석하기 위해 이해해야 할 포인트27
A. 갑상선호르몬과 갑상선자극호르몬(TSH) / 27
1. 총 T4와 유리 T4(FT4), 총 T3와 유리 T3(FT3) / 27
2. TSH는 민감하지만 변화는 천천히~ / 29
3. FT4, FT3 ↓이고 TSH 정상 또는 ↓인 경우 / 32
4. FT4, FT3 정상 또는 ↑이고 TSH ↑인 경우 및 FT4, FT3 ↑이고 TSH 정상인 경우 / 32
5. FT4 정상, FT3 ↓이고 TSH 정상인 경우 / 33
6. FT4, FT3 정상이고 TSH가 약간 ↑인 경우 / 33
7. FT4, FT3 정상이고 TSH < 0.3 μU/mL인 경우 / 34
B. 항TSH수용체항체(TRAb), 갑상선자극항체(TSAb) /
1. TRAb, TSAb 중 어느 것을 측정해야 하나요? / 35
C. 갑상선글로불린 항체(TgAb), 갑상선과산화효소 항체(TPOAb) /
D. 갑상선글로불린(Tg) /
E. 칼시토닌(calcitonin) /
F. 영상검사 /
1. 초음파검사 / 46
2. 경부 연조직 측면 방사선 촬영(soft tissue neck lateral view) / 46
제2부 여러분의 환자는 어느 유형? 순서도(flow chart)로 진단하세요!
* 순서도로 진단하세요! /
A. 갑상선 기능이상이 조금 의심될 때/
B. 갑상선중독증의 감별 /
C. 갑상선기능저하증의 감별
D. 갑상선에 통증이 있을 때 /
E. 갑상선에 결절이 만져질 때 /
제3부 정리해보자! 각 질환의 기초지식
* 각 질환의 기초지식
제1장 갑상선중독증이 생기는 질환
A. 그레이브스병(Graves’ disease) /
1. 알아두어야 할 병태생리 / 66
2. 놓치면 안돼요! 이 증상과 소견 / 67
3. 어떻게 진단하나요? / 69
4. 감별진단 포인트 / 70
5. 어떻게 치료하나요? / 70
B. 무통성 갑상선염(painless thyroiditis, silent thyroiditis) /
1. 알아두어야 할 병태생리 / 71
2. 놓치면 안돼요! 이 증상과 소견 / 72
3. 어떻게 진단하나요? / 72
4. 감별진단 포인트 / 73
5. 어떻게 치료하나요? / 73
C. 기능성 결절(Plummer's disease) /
1. 알아두어야 할 병태생리 / 73
2. 놓치면 안돼요! 이 증상과 소견 / 74
3. 어떻게 진단하나요? / 74
4. 어떻게 치료하나요? / 74
제2장 갑상선기능저하증이 생기는 질환
A. 하시모토 갑상선염(Hashimoto’s thyroiditis)(만성 갑상선염(chronic thyroiditis))
1. 알아두어야 할 병태생리 / 75
2. 놓치면 안돼요! 이 증상과 소견 / 76
3. 어떻게 진단하나요? / 76
4. 감별진단 포인트 / 76
5. 어떻게 치료하나요? / 77
B. 다낭성 갑상선질환(polycystic thyroid disease) /
1. 알아두어야 할 병태생리 / 80
2. 놓치면 안돼요! 이 증상과 소견 / 81
3. 어떻게 진단하나요? / 81
4. 감별진단 포인트 / 82
5. 어떻게 치료하나요? / 82
제3장 갑상선에 통증이 생기는 질환
A. 아급성 갑상선염(subacute thyroiditis) /
1. 알아두어야 할 병태생리 / 83
2. 놓치면 안돼요! 이 증상과 소견 / 84
3. 어떻게 진단하나요? / 84
4. 감별진단 포인트 / 85
5. 어떻게 치료하나요? / 85
B. 하시모토 갑상선염의 급성 악화 /
1. 알아두어야 할 병태생리 / 87
2. 놓치면 안돼요! 이 증상과 소견 / 87
3. 어떻게 진단하나요? / 88
4. 감별진단 포인트 / 88
5. 어떻게 치료하나요? / 88
C. 급성 화농성 갑상선염(acute suppurative thyroiditis) /
1. 알아두어야 할 병태생리 / 89
2. 놓치면 안돼요! 이 증상과 소견 / 89
3. 어떻게 진단하나요? / 90
4. 감별진단 포인트 / 90
5. 어떻게 치료하나요? / 90
D. 갑상선 낭종 내 출혈 / 90
1. 알아두어야 할 병태생리 / 91
2. 놓치면 안돼요! 이 증상과 소견 / 91
3. 어떻게 진단하나요? / 91
4. 감별진단 포인트 / 91
5. 어떻게 치료하나요? / 91
제4장 갑상선에 결절이 생기는 질환
* 갑상선결절에 대해 일반내과의사가 알아야 할 것
1. 세침흡인세포검사의 적응증 / 93
2. 갑상선유두암이 미세암(microcarcinoma)인 경우 꼭 수술이 필요하지는 않아요. / 94
3. 여포암은 세침흡인세포검사로 진단할 수 없어요. / 94
4. 갑상선암의 수술 후 경과 관찰 방법 / 95
5. 믿을 수 있는 갑상선 외과의사의 존재 / 97
A. 선종성 결절(adenomatous nodule)(선종성 갑상선종(adenomatous goiter)) /
1. 알아두어야 할 병태생리 / 98
2. 놓치면 안돼요! 이 증상과 소견 / 98
3. 어떻게 진단하나요? / 98
4. 감별진단 포인트 / 99
5. 어떻게 치료하나요? / 99
B. 갑상선 낭종(thyroid cyst) / 99
1. 알아두어야 할 병태생리 / 99
2. 놓치면 안돼요! 이 증상과 소견 / 100
3. 어떻게 진단하나요? / 100
4. 감별진단 포인트 / 100
5. 어떻게 치료하나요? / 100
C. 갑상선유두암(papillary thyroid carcinoma) /
1. 알아두어야 할 병태생리 / 101
2. 놓치면 안돼요! 이 증상과 소견 / 101
3. 어떻게 진단하나요? / 102
4. 감별진단 포인트 / 102
5. 어떻게 치료하나요? / 102
D. 갑상선여포암(follicular thyroid carcinoma) /
1. 알아두어야 할 병태생리 / 103
2. 놓치면 안돼요! 이 증상과 소견 / 103
3. 어떻게 진단하나요? / 103
4. 감별진단 포인트 / 104
5. 어떻게 치료하나요? / 104
E. 갑상선수질암(medullary thyroid carcinoma) /
1. 알아두어야 할 병태생리 / 105
2. 놓치면 안돼요! 이 증상과 소견 / 105
3. 어떻게 진단하나요? / 105
4. 감별진단 포인트 / 106
5. 어떻게 치료하나요? / 106
F. 갑상선미분화암(un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
1. 알아두어야 할 병태생리 / 107
2. 놓치면 안돼요! 이 증상과 소견 / 107
3. 어떻게 진단하나요? / 107
4. 감별진단 포인트 / 108
5. 어떻게 치료하나요? / 108
C. 악성 림프종(primary thyroid lymphoma) /
1. 알아두어야 할 병태생리 / 109
2. 놓치면 안돼요! 이 증상과 소견 / 109
3. 어떻게 진단하나요? / 109
4. 감별진단 포인트 / 110
5. 어떻게 치료하나요? / 110
제4부 이제 실천!그레이브스병, 무통성 갑상선염, 하시모토 갑상선염의 치료
제1장 그레이브스병의 치료
A. 항갑상선제를 투여하기 전에 /
B. 항갑상선제로 연착륙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1. 어떤 항갑상선제를 선택하나요? / 113
2. 항갑상선제의 적절한 초기 투여량은 얼마인가요? / 115
3. 항갑상선제는 어떻게 줄이나요? / 115
4. 실제 증례로 보는 항갑상선제 감량 방법 / 118
증례 1 갑상선 비대가 보통이고 TRAb 수치도 높지 않은 증례 / 119
증례 2 갑상선호르몬 수치가 잘 떨어졌지만 즉시 감량할 수 없었던 증례 / 120
증례 3 심하지 않은 그레이브스병의 증례 / 121
증례 4 TRAb 수치가 떨어지지 않은 증례 / 122
증례 5 갑상선이 작지만 TRAb 수치가 높은 증례 / 123
증례 6 일과성 갑상선기능저하증이 발생한 증례 / 124
증례 7 메티마졸을 감량하기 어렵거나 중간에 4정까지 증량한 증례 / 125
증례 8 갑상선중독증이 중증이며 자각 증상이 심한 증례 / 126
증례 9 갑상선이 크고 갑상선중독증도 중증이지만 TRAb 수치가 그리 높지 않은 증례 / 127
5. 요오드화칼륨을 제대로 활용해봅시다. / 128
6. 차단 및 보충요법(block and replacement therapy)으로 갑상선 기능을 안정시키세요. / 129
7. 메티마졸 복용을 잊지 않으려면? / 130
8. 부작용에 대한 대책 / 132
9. 메티마졸 관련 선천성 이상을 예방하려면 어떻게 하나요? / 135
10. 태아 그레이브스병(fetal Graves’disease)은 어떻게 치료하나요? / 135
11. 항갑상선제 또는 베타차단제가 수유에 영향을 미치나요? / 136
12. 약물의 부작용 외의 약물이상반응(adverse drug reaction)에 대한 대책 / 137
C. 방사성요오드 치료로 안전하게 치료합시다. /
D.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경우는 무엇인가요? /
E. 방사성요오드 치료와 수술적 치료 후 생길 수 있는 갑상선기능저하증 /
F. 그레이브스 안병증의 악화는 어떻게 예방하나요? 어떻게 치료하나요? /
제2장 무통성 갑상선염의 치료
A. T3 제제를 잘 사용해봅시다. /
B. 증례를 통해 본 무통성 갑상선염의 경과 /
증례 1 T3 제제를 사용한 증례(유형 ①) / 145
증례 2 T4 제제를 사용한 증례(유형 ①) / 146
증례 3 지속성 갑상선중독증으로 오인할 가능성이 있는 증례(유형 ②) / 147
증례 4 제제를 1년간 복용해도 FT4가 회복되지 않은 증례(유형 ③) / 148
증례 5 무통성 갑상선염인데도 갑상선호르몬 수치가 높아서 진단에 혼선을 준 증례(유형 ③) / 149
제3장 하시모토 갑상선염의 치료
A. 갑상선호르몬제를 투여하기 전에/
B. 갑상선호르몬제는 어떻게 투여하나요? /
1. 갑상선호르몬제 복용을 잊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 151
2. 레보티록신(levothyroxine)의 형태 / 151
C. 갑상선기능저하증은 자연 회복되는 경우도 있어요. /
D. 하시모토 갑상선염에서 갑자기 갑상선이 커졌을 때 /
E.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경우는? /
1. 미용상 문제가 될 때 / 153
2. 갑상선 악성 림프종이 발생했을 때 / 153
3. 급성 악화를 스테로이드제제로 제대로 조절할 수 없을 때 / 155
4. 기관협착이 있을 때 / 156
F. 요오드 제한식은 어느 정도 필요하나요? /
1. 요오드 과다섭취를 중단하는 요오드 제한식 / 156
2. 오래 지속할 수 있는 약간의 요오드 제한식 / 156
G. 하시모토 갑상선염과 임신 /
제5부 전문의가 봐야 할 갑상선질환이란?
제1장 갑상선 전문의에게 맡기는 것이 좋은 병태생리
A. 음성 되먹임(negative feedback)과 맞지 않는 검사 수치 이상 /
B. 치료가 어려운 예, 부작용이 발생한 예 /
C. 임신 시 치료 /
D. 그레이브스 안병증 /
제2장 응급 병태생리
A. 갑상선중독발증(thyrotoxic storm or crisis), 점액부종 혼수(myxedema coma) /
B. 기도폐쇄로 질식 위험이 있는 상태 /
C 항갑상선제에 의한 무과립구증(agranulocytosis) /
D. 그레이브스병 주기성 사지마비(thyrotoxic periodic paralysis) /
E. 심부전 /
제3장 다른 과 전문의와 협업을 통한 진료
A. 갑상선외과, 두경부외과(이비인후과) /
B. 안과 /
1. 그레이브스 안병증의 평가 / 167
2. 그레이브스 안병증의 치료 / 167
C. 핵의학과, 방사선종양학과 /
1. 갑상선 스캔에 의한 확진 / 168
2. 방사성요오드 치료 / 168
D. 피부과 /
1. 전경골부 점액부종(pretibial myxedema)이 생겼을 때 / 168
2. 탈모가 생겼을 때 / 169
E. 순환기내과 /
F. 정신건강의학과 /
1. 양극성 장애 환자 / 170
2. 치매 환자 / 170
3. 공황장애 환자 / 170
G. 산부인과 /
1. 메티마졸의 기형유발 / 171
2. 하시모토 갑상선염 환자가 임신했을 때 / 171
3. 태아 그레이브스병은 어떻게 예방하나요? / 171
H. 소아과 / 172
1. 신생아 그레이브스병에 대한 대처법 / 172
2. 성인 진료로 전환 / 172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