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입태경 현대적 해석

입태경 현대적 해석

(인간과 우주를 이해하는 출발점)

이숙군 (지은이), 송찬문 (옮긴이), 남회근
마하연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000원 -0% 0원
600원
19,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3개 18,79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입태경 현대적 해석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입태경 현대적 해석 (인간과 우주를 이해하는 출발점)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사/불교철학
· ISBN : 9791185844121
· 쪽수 : 432쪽
· 출판일 : 2021-07-20

책 소개

저자는 남회근 선생의 치밀한 지도 아래 입태경을 현대의학과 결합하는 동시에 전통 중의학 개념과도 일부 결합하여 풀이하였다. 태교 부분에서는 3천여 년 전부터 현대까지를 말하면서 동서의학의 태교와 태양의 정화를 융합하고 있다.

목차

역자의 말 4
차례 11
주훈남 서문 16
저자 서문 23

제1장 연기 25
치정에 빠진 난타에게 광명을 비추며 탁발하시다 27
그대와의 이 정은 추억이 되리라 30
어쩔 수 없이 삭발하다 34
일단 불문에 출가하니 집에 돌아갈 수가 없네 37
영문을 모르다 40
바다같은 정욕 하늘같은 사랑이 또 한 번 바뀌다 47
범행은 같아도 서로 다른 정 54
천상이나 지옥에 태어남이 한 생각에 달렸네 57

제2장 입태와 불입태 67
기수의 오묘함 72
수태가 될 수 없는 경우들 80
모태에 들어가는 모습 88

제3장 배아의 발전 (제1주 ~ 제3주) 125

제1주에는 작은 나무 쐐기 같고 부스럼 같은데 그 이름을 갈라람(?羅藍)이라 한다 125
제2주에 바람이 있나니 그 이름을 편촉(遍觸)이라 한다 131
제3주에도 바람이 있나니 그 이름을 도초구(刀?口)라 한다 139

제4장 배태의 변화 (제4주 ~ 제9주) 143

제4주에도 바람이 있나니 그 이름을 내문(內門)이라 한다 143
제5주에도 바람이 있나니 그 이름을 섭지(攝持)라 한다 146
제6주에도 바람이 있나니 그 이름을 광대(廣大)라 한다 147
제7주에도 바람이 있나니 그 이름을 선전(旋轉)이라 한다 148
제8주에도 바람이 있나니 그 이름을 번전(?轉)이라 한다 149
제9주에도 바람이 있나니 그 이름을 분산(分散)이라 한다 152

제5장 태아의 발육 (제10주 이후) 153

제10주에도 바람이 있나니 그 이름을 견영(堅?)이라 한다 153
제11주에도 바람이 있나니 그 이름을 소통(疏通)이라 한다 154
제12주에도 바람이 있나니 그 이름을 곡구(曲口)라 한다 157
제13주에는 모든 양분은 배꼽탯줄로부터 들어가 그 몸의 발육을 돕는다 160
제14주에도 바람이 있나니 그 이름을 선구(線口)라 한다 164
제15주에도 바람이 있나니 그 이름을 연화(蓮花)라 한다 165
제16주에도 바람이 있나니 그 이름을 감로행(甘露行)이라 한다 174
제17주에도 바람이 있나니 그 이름을 모불구(毛拂口)라 한다 181
제18주에도 바람이 있나니 그 이름을 무구(無垢)라 한다 182
제19주에는 태속에 있는 아이의 안근 이근 비근 설근을 완성하게 한다 183
제20주에도 바람이 있나니 그 이름을 견고(堅固)라 한다 184
제21주에도 바람이 있으니 그 이름을 생기(生起)라 한다 187
제22주에도 바람이 있나니 그 이름을 부류(浮流)라 한다 187
제23주에도 바람이 있나니 그 이름을 정지(淨持)라 한다 188
제24주에도 바람이 있나니 그 이름을 자만(滋漫)이라 한다 189
제25주에도 바람이 있나니 그 이름을 지성(持城)이라 한다 189
제26주에도 바람이 있나니 그 이름을 생성(生成)이라 한다 190
제27주에도 바람이 있나니 그 이름을 곡약(曲藥)이라 한다 191
제28주에는 여덟 가지 뒤바뀐 생각을 낸다 203
제29주에도 바람이 있나니 그 이름을 화조(花條)라 한다 204
제30주에도 바람이 있나니 그 이름을 철구(鐵口)라 한다 205
제31주에는 태아가 점점 커진다 206
제32주, 제33주, 제34주에는 더욱더 자라고 커진다 206
제35주에는 신체가 다 갖추어 진다 206
제36주에는 아이가 어머니의 뱃속에 머물러 있기를 좋아하지 않게 된다 207
제37주에는 태아가 세 가지 뒤바뀌지 않는 생각을 낸다 207
제38주에도 바람이 있나니 그 이름을 남화(藍花)라 한다 208
(부록)

불위아난설처대회 221
불설입태장회(1) 247
불설입태장회(2) 247
불설포태경 283
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 309
대보부모은중경 339
태교와 태양 주훈남 358
상고 시대부터 한나라 시대까지의 발전
위진남북조 시대부터 당나라 시대까지의 발전
송나라 시대부터 원나라 시대까지의 발전
명나라 시대부터 청나라 시대까지의 발전
현대의 태교
결론 - 태교의 연구와 통합완성은 이제 막 시작이다
음욕을 경계하라 398

저자 소개 426

저자소개

이숙군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하북의 정정사람이다. 1948년생으로 부모를 딸 대만으로 왔다. 이숙근은 대학교 3학년 때 남회근 성생이 한 ‘선과 심리실험’이라는 주제의 불학강연을 듣고서 자기의 인생길을 바꾸었다. 대학졸업 전에 남회근 선생이 창립한 동서정화협회의 정관을 보고 남회근 선생이 하고자 하는 일이 바로 자신이 어려서부터 마음속에 간직해온 이상이라는 것을 깨닫고 남회근 선생을 따르기로 결심했다.
펼치기
송찬문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56년 태어나 20여 년간 금융기관에 근무하면서 밤에는 대학에서 중국어를 공부했다. 1990년 대만 담강대에서 어학연수를 마치고, 이듬해인 1991년 대만경제연구원과 대북시은행에서 대만경제와 은행 제도를 연구하였다. 1997년 중국 각지를 여행한 후 2000년 남학연구회(南學硏究會)를 창설하였다. 현재는 서울 인사동에서 유마서원을 개원하여 21세기 한자 문화 교육과 한자 교육을 위한 한문 교재를 꾸준히 개발하고 있다.
펼치기
남회근 ()    정보 더보기
1918년 중국 절강성 온주(溫州)에서 태어났다. 어릴 적부터 서당식 교육을 받아 17세까지 사서오경 제자백가를 공부하였다. 절강성성립국술원에 입학하여 2년간 무술을 배웠고 문학ㆍ서예ㆍ의약ㆍ역학ㆍ천문학 등도 두루 익혔다. 1937년 국술원을 졸업하였다. 그후 중앙군관학교 교관직을 맡았으며, 금릉(金陵)대학 대학원에서 사회복지학을 연구하였다. 25세 때인 1942년에 스승인 원환선(袁煥仙) 선생이 사천성 성도(成都)에 창립한 유마정사(維摩精舍)에 합류하여 의발제자가 되었다. 1942년부터 1944년까지 3년간 사천성 아미산 중봉에 있는 대평사(大坪寺)에서 폐관 수행하며 대장경을 완독하였다. 28세 때인 1945년 티베트 밀교의 여러 종파의 고승들을 참방하고 밀교 상사로 인가 받았다. 그 후 운남(雲南)대학과 사천(四川)대학에서 한동안 강의하였다. 30세 때인 1947년 고향에 돌아가 『사고전서(四庫全書)』와 『고금도서집성(古今圖書集成)』 등을 읽었다. 1949년 봄에 대만으로 건너가 문화(文化)대학 보인(輔仁)대학 등 여러 대학과 사회단체에서 강의하며 수행과 저술에 몰두하였다. 또 노고문화사업공사(老古文化事業公司)라는 출판사를 설립하고 불교연구단체인 시방(十方)서원을 개설하였다. 2004년 대륙으로 이주한 선생은 중국의 강소성 오강(吳江)에 태호대학당(太湖大學堂)을 창건하여 교육문화 연구 등의 활동을 해오다 세연이 다하여 2012년 9월 29일 향년 95세로 세상을 떠났다. 다비 후 온전한 두개골과 혀 사리, 그리고 1백여 과의 사리자를 거두었다. 『논어별재』 등 저술이 60여종에 이른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