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사/불교철학
· ISBN : 9791185844121
· 쪽수 : 432쪽
· 출판일 : 2021-07-20
책 소개
목차
역자의 말 4
차례 11
주훈남 서문 16
저자 서문 23
제1장 연기 25
치정에 빠진 난타에게 광명을 비추며 탁발하시다 27
그대와의 이 정은 추억이 되리라 30
어쩔 수 없이 삭발하다 34
일단 불문에 출가하니 집에 돌아갈 수가 없네 37
영문을 모르다 40
바다같은 정욕 하늘같은 사랑이 또 한 번 바뀌다 47
범행은 같아도 서로 다른 정 54
천상이나 지옥에 태어남이 한 생각에 달렸네 57
제2장 입태와 불입태 67
기수의 오묘함 72
수태가 될 수 없는 경우들 80
모태에 들어가는 모습 88
제3장 배아의 발전 (제1주 ~ 제3주) 125
제1주에는 작은 나무 쐐기 같고 부스럼 같은데 그 이름을 갈라람(?羅藍)이라 한다 125
제2주에 바람이 있나니 그 이름을 편촉(遍觸)이라 한다 131
제3주에도 바람이 있나니 그 이름을 도초구(刀?口)라 한다 139
제4장 배태의 변화 (제4주 ~ 제9주) 143
제4주에도 바람이 있나니 그 이름을 내문(內門)이라 한다 143
제5주에도 바람이 있나니 그 이름을 섭지(攝持)라 한다 146
제6주에도 바람이 있나니 그 이름을 광대(廣大)라 한다 147
제7주에도 바람이 있나니 그 이름을 선전(旋轉)이라 한다 148
제8주에도 바람이 있나니 그 이름을 번전(?轉)이라 한다 149
제9주에도 바람이 있나니 그 이름을 분산(分散)이라 한다 152
제5장 태아의 발육 (제10주 이후) 153
제10주에도 바람이 있나니 그 이름을 견영(堅?)이라 한다 153
제11주에도 바람이 있나니 그 이름을 소통(疏通)이라 한다 154
제12주에도 바람이 있나니 그 이름을 곡구(曲口)라 한다 157
제13주에는 모든 양분은 배꼽탯줄로부터 들어가 그 몸의 발육을 돕는다 160
제14주에도 바람이 있나니 그 이름을 선구(線口)라 한다 164
제15주에도 바람이 있나니 그 이름을 연화(蓮花)라 한다 165
제16주에도 바람이 있나니 그 이름을 감로행(甘露行)이라 한다 174
제17주에도 바람이 있나니 그 이름을 모불구(毛拂口)라 한다 181
제18주에도 바람이 있나니 그 이름을 무구(無垢)라 한다 182
제19주에는 태속에 있는 아이의 안근 이근 비근 설근을 완성하게 한다 183
제20주에도 바람이 있나니 그 이름을 견고(堅固)라 한다 184
제21주에도 바람이 있으니 그 이름을 생기(生起)라 한다 187
제22주에도 바람이 있나니 그 이름을 부류(浮流)라 한다 187
제23주에도 바람이 있나니 그 이름을 정지(淨持)라 한다 188
제24주에도 바람이 있나니 그 이름을 자만(滋漫)이라 한다 189
제25주에도 바람이 있나니 그 이름을 지성(持城)이라 한다 189
제26주에도 바람이 있나니 그 이름을 생성(生成)이라 한다 190
제27주에도 바람이 있나니 그 이름을 곡약(曲藥)이라 한다 191
제28주에는 여덟 가지 뒤바뀐 생각을 낸다 203
제29주에도 바람이 있나니 그 이름을 화조(花條)라 한다 204
제30주에도 바람이 있나니 그 이름을 철구(鐵口)라 한다 205
제31주에는 태아가 점점 커진다 206
제32주, 제33주, 제34주에는 더욱더 자라고 커진다 206
제35주에는 신체가 다 갖추어 진다 206
제36주에는 아이가 어머니의 뱃속에 머물러 있기를 좋아하지 않게 된다 207
제37주에는 태아가 세 가지 뒤바뀌지 않는 생각을 낸다 207
제38주에도 바람이 있나니 그 이름을 남화(藍花)라 한다 208
(부록)
불위아난설처대회 221
불설입태장회(1) 247
불설입태장회(2) 247
불설포태경 283
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 309
대보부모은중경 339
태교와 태양 주훈남 358
상고 시대부터 한나라 시대까지의 발전
위진남북조 시대부터 당나라 시대까지의 발전
송나라 시대부터 원나라 시대까지의 발전
명나라 시대부터 청나라 시대까지의 발전
현대의 태교
결론 - 태교의 연구와 통합완성은 이제 막 시작이다
음욕을 경계하라 398
저자 소개 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