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세금
· ISBN : 9791185982236
· 쪽수 : 420쪽
· 출판일 : 2016-05-21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추천사
[개요]
01 증여세와 상속세란 무엇이고 누가 내는 세금일까?
02 증여세와 상속세는 세무조사를 꼭 받는 걸까?
■ 증여세
[기초 편]
01 증여세는 어떻게 계산할까?
02 7년 전에 어머니로부터 증여받은 재산이 있는데…
03 얼마까지 증여해야 세금이 없을까?
04 증여할 땐 여러 명에게 나누어서!
05 어린 자녀에게 아파트를 주려면 세금도 같이 주자
06 예쁜 손자에게 재산을 주고 싶은데 할증과세가 뭘까?
07 증여는 아무 때나 하면 될까?
08 옆집 아파트 판 가격이 우리 집값에 영향을 줄까?
09 하락한 펀드를 증여재산으로 활용하자
10 아들 명의로 예금한 계좌는 차명재산일까, 증여재산일까?
11 대출을 끼고 증여하면 세금을 절약할 수 있다?
12 비거주자는 증여받을 때 불리하다는데…
[고급 편]
01 배우자에게 증여하면 종합부동산세를 줄이는 데 효과가 있을까?
02 증여세 납부 재원은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
03 부담부증여 시 채무액 규모를 변동해 세액의 최저점을 찾아보자
04 자녀에게 부동산을 싸게 팔면 증여세 과세대상일까?
05 “여보, 내가 준 아파트는 5년만 기다렸다가 팝시다”
06 “동생아, 형이 준 아파트를 5년 동안은 잘 간직해야 해”
07 아버지 명의 예금으로 담보대출을 받아 사업자금으로 써도 될까?
08 아버지 땅에 내 돈으로 건물을 짓고 임대를 주면 무슨 문제가 있을까?
09 주식을 다른 사람 명의로 해놓으면 문제가 될까?
10 창업! 증여받은 자금을 활용해보자
11 가업을 물려주고 싶은데 세금 혜택이 있을까?
12 아버지가 받을 배당금을 자녀가 받으면 증여세가 과세될까, 소득세가
과세될까?
13 계열사 일감 몰아주기, 무엇이 문제일까?
14 아버지 회사에서 매점을 운영하면 증여세를 내야 할까?
15 비상장주식을 증여할 때 고려할 점은 무엇일까?
16 상속재산 분할은 신중하게! 나중에 마음 바뀌면 세금 또 내야…
17 재산 취득자금은 어떻게 마련할까? - 재산 취득자금의 증여추정
18 자금출처 조사! 어떻게 소명해야 할까?
■ Tip
01 증여세 산출 원리
02 증여세 신고를 위한 준비 서류
03 과다한 혼수를 받는 것도 증여로 볼 수 있을까?
04 위자료 vs. 재산분할 청구권, 세금의 차이
05 증여받은 재산을 반환하는 경우 증여세 과세 여부
06 손자 유학비는 증여재산일까?
07 「금융실명거래 및 비밀보장에 관한 법률」
08 특수관계인 범위
09 우회양도의 증여추정 - 배우자 또는 직계존·비속에게
10 과점주주의 납세의무
11 명의신탁주식 실소유자 확인제도
12 중소기업에 대한 최대주주 할증평가 배제
13 국세청의 소득 - 지출PCI 분석 시스템
■ 상속세
[기초 편]
01 성공적인 상속 준비하기
02 상속세는 어떻게 계산할까?
03 상속세 신고를 하려면 어떤 서류를 준비해야 할까?
04 상속재산은 어떻게 평가할까?
05 상속이 유리할까, 증여가 유리할까?
06 상속세를 절세하려면 배우자는 얼마만큼 상속을 받아야 할까?
07 협의분할만 잘해도 상속세를 줄일 수 있다?
08 상속개시 전에는 재산 처분이나 예금 인출을 함부로 하면 안 된다
09 주택을 상속받은 2주택자도 양도세 없이 양도할 수 있다?
10 즉시 처분하려는 상속재산은 감정받는 것도 고려하자
11 장례를 마치는 순간까지 꼭 챙겨야 할 증빙들은 무엇일까?
12 손자, 손녀에게도 상속이 가능할까?
13 상속세 안 내고 나 몰라라 하는 동생, 세금은 누가 내야 할까?
14 상속세를 나누어 낼 수 있다는데…
15 신고 안 하면 가산세가 있다?
16 외국에서 거주한 아버지, 상속세 신고를 해야 할까?
[고급 편]
01 사전증여가 항상 유리한 것은 아니다
02 부모님과 10년 이상 한집에 살면 상속세가 줄어든다
03 가업을 상속받으면 세금을 줄일 수 있을까?
04 상속세 조사와 예금계좌 분석은 어떻게 할까?
05 타인 명의로 돌려놓은 차명예금, 상속재산에 포함하여 신고해야 할까?
06 자녀 명의로 돌려놓은 차명예금, 상속재산에 포함하여 신고해야 할까?
07 보험으로 세금을 줄일 수 있을까?
08 유류분 반환청구, 알고 시작하자
09 미리 증여받은 재산이 상속재산 분할에 영향을 줄까?
10 상속세 세무조사, 반드시 하는 걸까?
11 상속·증여 재산, 국세청이 계속 주시한다!
12 해외금융계좌 신고하여 과태로 폭탄 막자
■ Tip
01 상속세 산출 원리
02 상속세와 증여세의 세율
03 상속재산 확인 방법 - 안심상속 원스톱 서비스
04 상속공제
05 상속공제 중 일괄공제
06 금융재산 상속공제
07 배우자상속공제를 위한 재산분할과 신고기한
08 상속 순위
09 대습상속
10 부동산 매매 중에 상속이 발생하면 어떻게 되는 것일까?
11 단순승인, 한정승인, 상속포기
12 상속세와 증여세의 제척기간과 소멸시효
13 해외탈세 제보 안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