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아름다운 한국의 동백

아름다운 한국의 동백

안완식, 윤성희 (지은이)
이유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5,200원 -10% 0원
1,400원
23,8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아름다운 한국의 동백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아름다운 한국의 동백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동물과 식물 > 꽃과 나무
· ISBN : 9791186127261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23-04-03

책 소개

우리나라 동백자생지를 찾아 돌아보면서 그 지역의 특성에 따라서 그 지역에서 보여주는 특유의 동백꽃에 대한 사진과 특성을 조사·기록하였다. 꽃의 색, 모양, 크기 등을 위주로 조사하여 기록한 것을 내용으로 다루었다.

목차

펴내는 글
동백자생지인 한국의 아름다운 동백-한국토종연구소장 매우(梅友) 안완식
“동백꽃 필 무렵”-흙살림연구소 소장 윤성희

014 아름다운 우리 동백

030 세계의 동백나무 분포 및 한국 동백의 자생지
세계의 동백나무 분포 / 한국 동백의 자생지 / 동백의 관찰 포인트

043 자생지에서 관찰한 동백꽃
제주특별자치도 044 위미리 동백나무 군락 054 신흥리 동백나무 군락
056 선흘곶 동백동산 060 카멜리아힐 수목원
064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 066 제주 수산초등학교 내 교정의 백동백
068 제주 성산면 삼달1리 암홍동백 070 제주 환상숲 가을 동백
경상남도
거제도 074 동부면 학동리 동백나무 숲 082 공곶이둘레길
084 거제면 외간리 동백나무 086 거제시 지심도
통영시 098 충렬사 동백나무 102 우도 106 두미도
울산광역시 112 울산광역시청 및 울산광역시 중구청 학성공원
전라남도
여수시 120 돌산도와 오동도 122 금오도·안도 동백
광양시 128 광양시 옥룡사지
장흥군 132 천관산수목원
강진군 140 백련사 동백군락
완도군 148 군외면·약산면 156 완도 은초록식물원
158 보길면 보길도 세연정 일원 동백
168 보길도 공룡알해변과 보옥마을 동백
172 보길도 정자리 고택 동백 176 보길도 황원포항 인근 동백
180 보길도 부황리 김성우 씨 정원과 부용동 마을
182 보길도 예송리 상록수림 동백
183 보길도 망끝전망대 분홍동백
나주시 184 금사정 동백
전라북도
고창군 186 선운사
군산시 194 고군산 방축도, 광대도 동백
충청남도
서천군 198 마량리 동백정
보령시 212 외연도 상록수림
태안군 220 옹도 동백나무 224 근흥면 도황길 민가
228 근흥면 근흥중학교 교정 230 안면읍 내파수도
경기도
234 동백 분한계 대청도
경상북도
242 울릉도
244 저동리 계곡과 태하등대 일대 248 저동항과 내수전 전망대 부근
에필로그│이 동백꽃들이 우리나라 고유의 자원임을 세계에 알리는 자료가 될 수 있기를……
부록│특성조사표

저자소개

안완식 (감수)    정보 더보기
1942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농과대학을 졸업하고, 강원대학교에서 농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농촌진흥청 연구원으로서 멕시코 국제맥류옥수수연구소, 일본 농생물자원연구소, 미국 오리건대학교 연수를 마치고 돌아와 밀 육종과 식물유전자원을 연구했으며, 여러 차례 식물유전자원 국제회의에 한국 대표로 참석했다. 농업과학기술원 생물자원부 유전자원과장 및 책임연구관으로 있었으며, 한국생물다양성협의회 운영위원과 한국토종연구회 회장을 지냈다. 현재 한국토종연구회 고문으로 활동하고 있다. ● 주요 저서 ≪우리가 지켜야 할 우리종자(1999)≫, ≪식물유전자원학(공저, 2004)≫, ≪내 손으로 받는 우리종자(2007)≫, ≪한국토종작물자원도감(2009)≫, ≪우리 매화의 모든 것(2011)≫, ≪씨앗박사 안완식 우리 땅에 생명을 싹틔우다(2014)≫, ≪생명을 살리는 토종씨앗기행 30년(2020)≫
펼치기
윤성희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65년에 충청남도 서산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농과대학을 졸업하였으며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대학원에서 작물학 석사를 취득하였다. 1994년부터 현재(2022년)까지 흙살림연구소에서 근무하면서 유기농업관련 연구, 교육 및 컨설팅, 유기종자 및 토종종자 연구, 동백탐사 활동을 하고 있다. 현재 흙살림연구소 소장이다. ● 주요 저서 ≪친환경농업의 이론과 실제(공저, 흙살림)≫, ≪이 땅에서 농업을 하는 의미(역서, 흙살림)≫
펼치기

책속에서

“한국의 동백은 우리 고유의 자원이다! ”

《아름다운 한국의 동백》은 제주도로부터 울릉도, 남부 해안지대와 크고 작은 도서 그리고 대청도를 잇는 서해안 지대의 우리나라 동백자생지를 찾아 돌아보면서 그 지역의 특성에 따라서 그 지역에서 보여주는 특유의 동백꽃의 섬세한 유전적 표현형 차이를 관찰하여 특성을 조사하고 꽃의 색, 모양, 크기 등을 위주로 사진을 촬영한 자료를 기록·정리하였다.

● ‘우리가 꼭 알아야 할 한국의 동백 특성은……’
첫째, 가장 추운 1월 평균온도가 0℃ 이상 되는 등온선 상에서는 거의 다 동백이 월동할 수 있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대부분의 섬 지역과 서남부 해안가 지역이 이에 해당하므로, 서남해안 대부분 섬과 동해의 울릉도까지 동백이 자생할 조건을 모두 갖추고 있다.

둘째, 한자로 쓰는 동백(冬栢)이라는 명칭은 고유말이었을 ‘동백’의 음차 기록으로 봐야 한다는 것이다. 한자로 기록되면서 동백꽃이 겨울에만 피어야 할 것처럼 오해를 낳고 있지만, 실제로는 수선화나 매화, 벚꽃이 피는 계절에 가장 활짝 피어난다.

셋째, 조매화로 분류되어서 동박새 등 새들만이 수정을 시킬 것 같지만 따뜻한 봄날에는 곤충인 꿀벌도 활발히 수정을 시킨다.

넷째, 자생 동백은 향기가 없다고 알려졌지만, 실제로는 향기 있는 개체가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향이 아열대~열대원산 품종처럼 강하지는 않기 때문에 가까이 맡아야 느낄 수 있는 점 등이다.

- <펴내는 글> 중에서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