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동물과 식물 > 꽃과 나무
· ISBN : 9791186127261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23-04-03
책 소개
목차
펴내는 글
동백자생지인 한국의 아름다운 동백-한국토종연구소장 매우(梅友) 안완식
“동백꽃 필 무렵”-흙살림연구소 소장 윤성희
014 아름다운 우리 동백
030 세계의 동백나무 분포 및 한국 동백의 자생지
세계의 동백나무 분포 / 한국 동백의 자생지 / 동백의 관찰 포인트
043 자생지에서 관찰한 동백꽃
제주특별자치도 044 위미리 동백나무 군락 054 신흥리 동백나무 군락
056 선흘곶 동백동산 060 카멜리아힐 수목원
064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 066 제주 수산초등학교 내 교정의 백동백
068 제주 성산면 삼달1리 암홍동백 070 제주 환상숲 가을 동백
경상남도
거제도 074 동부면 학동리 동백나무 숲 082 공곶이둘레길
084 거제면 외간리 동백나무 086 거제시 지심도
통영시 098 충렬사 동백나무 102 우도 106 두미도
울산광역시 112 울산광역시청 및 울산광역시 중구청 학성공원
전라남도
여수시 120 돌산도와 오동도 122 금오도·안도 동백
광양시 128 광양시 옥룡사지
장흥군 132 천관산수목원
강진군 140 백련사 동백군락
완도군 148 군외면·약산면 156 완도 은초록식물원
158 보길면 보길도 세연정 일원 동백
168 보길도 공룡알해변과 보옥마을 동백
172 보길도 정자리 고택 동백 176 보길도 황원포항 인근 동백
180 보길도 부황리 김성우 씨 정원과 부용동 마을
182 보길도 예송리 상록수림 동백
183 보길도 망끝전망대 분홍동백
나주시 184 금사정 동백
전라북도
고창군 186 선운사
군산시 194 고군산 방축도, 광대도 동백
충청남도
서천군 198 마량리 동백정
보령시 212 외연도 상록수림
태안군 220 옹도 동백나무 224 근흥면 도황길 민가
228 근흥면 근흥중학교 교정 230 안면읍 내파수도
경기도
234 동백 분한계 대청도
경상북도
242 울릉도
244 저동리 계곡과 태하등대 일대 248 저동항과 내수전 전망대 부근
에필로그│이 동백꽃들이 우리나라 고유의 자원임을 세계에 알리는 자료가 될 수 있기를……
부록│특성조사표
책속에서
“한국의 동백은 우리 고유의 자원이다! ”
《아름다운 한국의 동백》은 제주도로부터 울릉도, 남부 해안지대와 크고 작은 도서 그리고 대청도를 잇는 서해안 지대의 우리나라 동백자생지를 찾아 돌아보면서 그 지역의 특성에 따라서 그 지역에서 보여주는 특유의 동백꽃의 섬세한 유전적 표현형 차이를 관찰하여 특성을 조사하고 꽃의 색, 모양, 크기 등을 위주로 사진을 촬영한 자료를 기록·정리하였다.
● ‘우리가 꼭 알아야 할 한국의 동백 특성은……’
첫째, 가장 추운 1월 평균온도가 0℃ 이상 되는 등온선 상에서는 거의 다 동백이 월동할 수 있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대부분의 섬 지역과 서남부 해안가 지역이 이에 해당하므로, 서남해안 대부분 섬과 동해의 울릉도까지 동백이 자생할 조건을 모두 갖추고 있다.
둘째, 한자로 쓰는 동백(冬栢)이라는 명칭은 고유말이었을 ‘동백’의 음차 기록으로 봐야 한다는 것이다. 한자로 기록되면서 동백꽃이 겨울에만 피어야 할 것처럼 오해를 낳고 있지만, 실제로는 수선화나 매화, 벚꽃이 피는 계절에 가장 활짝 피어난다.
셋째, 조매화로 분류되어서 동박새 등 새들만이 수정을 시킬 것 같지만 따뜻한 봄날에는 곤충인 꿀벌도 활발히 수정을 시킨다.
넷째, 자생 동백은 향기가 없다고 알려졌지만, 실제로는 향기 있는 개체가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향이 아열대~열대원산 품종처럼 강하지는 않기 때문에 가까이 맡아야 느낄 수 있는 점 등이다.
- <펴내는 글>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