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곡식 채소 나들이도감

곡식 채소 나들이도감

(우리 땅에 자라는 곡식과 채소 50종)

김종현 (글), 임병국, 장순일, 안경자, 윤은주 (그림), 안완식 (감수)
보리
1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0,800원 -10% 2,500원
600원
12,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곡식 채소 나들이도감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곡식 채소 나들이도감 (우리 땅에 자라는 곡식과 채소 50종)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동물과 식물 > 식물도감
· ISBN : 9791163140900
· 쪽수 : 316쪽
· 출판일 : 2019-10-10

책 소개

늘 손에 들고 다니며 텃밭 농사를 자기 손으로 지을 수 있다. 언제 심고, 어떻게 가꾸고, 언제 어떻게 거두고 갈무리하는지 한눈에 볼 수 있는 책이다.

목차

일러두기 4
그림으로 찾아보기 8

농작물 재배 시기 정리 16
달과 절기에 따른 농사일 20

1부 곡식과 채소

낟알 곡식
귀리 30
기장 36
메밀 42
밀 48
호밀 54
벼 56
보리 62
수수 68
옥수수 74
완두 80
조 86
콩 92
강낭콩 98
까치콩 100
녹두 102
동부 104
작두콩 106
팥 108

열매채소
가지 116
고추 122
땅콩 128
박 134
오이 140
참외 146
토마토 152
호박 158

잎줄기채소
갓 166
근대 172
미나리 178
배추 184
양배추 190
부추 192
상추 198
시금치 204
쑥갓 210
아욱 216
파 222
쪽파 228

덩이줄기/비늘줄기 채소
감자 232
마늘 238
생강 244
양파 250
토란 256

뿌리채소
고구마 264
당근 270
무 276
순무 282
우엉 284

기름채소
들깨 292
참깨 298

찾아보기

학명 찾아보기 306
우리말 찾아보기 308
참고한 책 311
저자 소개 315

저자소개

장순일 (그림)    정보 더보기
대학교에서 서양화를 전공하고, 어린이책에 그림을 그린다. 쓰고 그린 책으로 『호미 아줌마랑 텃밭에 가요』 『직녀와 목화의 바느질 공방』이 있으며, 그린 책으로 『똥 선생님』 『여기는 텃밭 놀이터』 『이 풀도 먹는 거예요?』 등이 있다.
펼치기
안경자 (그림)    정보 더보기
산 좋고 물 맑은 충청북도 청원에서 태어났습니다. 대학교에서 서양화를 공부한 뒤 어린이들에게 그림을 가르쳤고, 지금은 식물 세밀화와 생태 그림을 그리고 있답니다. 숨어 있는 곤충이나 작은 풀들을 잘 찾아내서 주위 사람들을 깜짝 놀라게 하지요. 할머니가 되어서도 자연의 아름다움을 그리는 것이 꿈이랍니다. 《풀이 좋아》, 《세밀화로 그린 보리 어린이 풀 도감》, 《꽃이랑 소리로 배우는 훈민정음 ㄱㄴㄷ》, 《아침에 일어나면 뽀뽀》, 《파브르에게 배우는 식물 이야기》, 《무당벌레가 들려주는 텃밭 이야기》, 《콩 농사짓는 마을에 가 볼래요?》, 《동물이랑 식물이 같다고요?!》, 《식물은 떡잎부터 다르다고요?!》, 《동물은 뼈부터 다르다고요?!》, 《우주랑 사람이 같다고요?!》, 《김치 도감》, 《밥 도감》, 《국·찌개 도감》 등에 그림을 그렸습니다.
펼치기
임병국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71년 인천 강화에서 태어났다. 홍익대학교 회화과에서 공부했다. <보리 제1회 세밀화 공모전>에서 대상을 받았다. 《세밀화로 그린 보리 어린이 곡식 채소 도감》 《버섯 도감-세밀화로 그린 보리 큰도감》 《동물 도감-세밀화로 그린 보리 큰도감》에 그림을 그렸다.
펼치기
김종현 (글)    정보 더보기
여러 가지 글을 쓰고, 책을 기획하고, 편집하고, 그림을 그리는 일을 하고 있다. 《세밀화로 그린 보리 어린이 바닷물고기 도감》, 《세밀화로 그린 보리 어린이 잠자리 도감》, 《세밀화로 그린 보리 어린이 나비 도감》, 《한반도 바닷물고기 세밀화 대도감》 같은 책을 편집했고, 《곡식 채소 나들이도감》, 《약초 도감 - 세밀화로 그린 보리 큰도감》, 《딱정벌레 도감 - 세밀화로 그린 보리 큰도감》에 글을 썼다. 또 어린이 장편 만화 <바다 아이 창대>(모두 3권), 옛이야기 책 《무서운 옛이야기》, 《꾀보 바보 옛이야기》, 《꿀단지 복단지 옛이야기》, 그림책 《무엇이 다를까?》, 《누구 양말일까?》 에 글을 썼다.
펼치기
안완식 (감수)    정보 더보기
1942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농과대학을 졸업하고, 강원대학교에서 농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농촌진흥청 연구원으로서 멕시코 국제맥류옥수수연구소, 일본 농생물자원연구소, 미국 오리건대학교 연수를 마치고 돌아와 밀 육종과 식물유전자원을 연구했으며, 여러 차례 식물유전자원 국제회의에 한국 대표로 참석했다. 농업과학기술원 생물자원부 유전자원과장 및 책임연구관으로 있었으며, 한국생물다양성협의회 운영위원과 한국토종연구회 회장을 지냈다. 현재 한국토종연구회 고문으로 활동하고 있다. ● 주요 저서 ≪우리가 지켜야 할 우리종자(1999)≫, ≪식물유전자원학(공저, 2004)≫, ≪내 손으로 받는 우리종자(2007)≫, ≪한국토종작물자원도감(2009)≫, ≪우리 매화의 모든 것(2011)≫, ≪씨앗박사 안완식 우리 땅에 생명을 싹틔우다(2014)≫, ≪생명을 살리는 토종씨앗기행 30년(2020)≫
펼치기

책속에서

배추

역사

배추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많이 먹는 채소다. 중국 북쪽 지방인 양주에서 키우던 순무와 중국 남쪽 지방에서 키우던 청경채가 중국 북쪽 지방인 양주에서 자연스레 섞여 배추가 되었다. 이때 배추는 지금과 달리 속이 안 차는 배추였다. 그 뒤로 이 배추를 줄곧 심고 가꾸면서 생김새가 점점 바뀌어 16세기에 속이 반쯤 차는 배추가, 18세기에는 속이 꽉 차는 배추가 나왔다. 중국에서 6세기에 펴낸 ≪제민요술≫에 “배추와 무를 가꾸는 방법은 수무와 같다.”라고 했다. 5~6세기인 남북조 시대에 남쪽에서 이미 배추를 심었고, 7~10세기에는 북쪽 지방에서도 길렀다고 한다. 중국에서는 겨울에도 시들지 않고 소나무처럼 푸르다는 뜻으로 ‘숭(崧)’이라고 했다. 또 배추 줄기가 하얗다고 ‘바이채(白菜)’라고 했는데, 이 말이 바뀌어서 ‘배추’가 되었다고 한다. 중국 기록을 봐서는 우리나라에서는 삼국 시대부터 기른 것 같지만 책이나 기록에는 안 나오고, 13세기쯤 고려 때 펴낸 ≪향약구급방(鄕藥救急方)≫에 배추를 뜻하는 이름인 ‘숭(崧)’이 처음으로 나온다.

기르기와 거두기
배추는 봄에도 심어 먹고, 가을에도 심어 먹는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늘 겨울에 김장을 담기 때문에 가을배추를 가장 많이 심는다. 서늘한 날씨에 잘 자라서 여름에 씨를 뿌리고 김장철인 늦가을이나 겨울 들머리에 뽑는다. 포기 속이 80%쯤 찼을 때 거둔다. 봄여름에는 씨앗을 뿌린 뒤 30~40일쯤 지나 거둔다. 18∼21도에서 가장 잘 자란다. 10도 밑으로 떨어지면 더디게 자라고 5도 밑으로 떨어지면 안 자란다. 또 거꾸로 23도 위로 올라가면 더디게 자라고 병에 잘 걸린다.

갈무리
배추는 물이 많이 들어 있어서 그냥 두면 썩는다. 서늘하고 바람이 잘 통하는 곳에 신문지로 싸 두면 한두 달은 먹을 수 있다. 김장 배추는 물이 안 고이는 땅을 파고 볏짚이나 신문지를 서너 겹 깐 뒤 묻으면 겨울에도 싱싱한 배추를 먹을 수 있다. 땅에 묻을 때는 겉잎과 뿌리를 떼어 내지 않는다. 배추를 안 뽑고 그대로 두면 시든 채로 겨울을 나고, 4월쯤에 꽃대가 올라와 노란 꽃이 피고 꼬투리가 여문다. 이때 씨를 받는다.

병해충
배추는 잎이 부드러워 잎벌레, 섬서구메뚜기, 배추흰나비 애벌레, 민달팽이, 배추순나방 벌레, 진딧물, 벼룩벌레 따위가 잎을 갉아 먹고 즙을 빨아 먹는다. 한 밭에서 여러 해 동안 배추를 심으면 벌레가 더 많이 꼬인다. 또 배추 포기 아래 흙이 닿는 곳이 썩는 무름병, 잎에 거무스름한 밤색 반점이 생기는 노균병, 뿌리에 혹이 생기는 무사마귀병에 잘 걸린다.

품종
옛날 배추는 속이 차지 않고 잎이 벌어지는 배추였다. 조선 중기까지는 속이 차는 배추가 없었다. 통이 찬 것을 ‘결구배추’라 하고, 통이 차지 않는 배추는 ‘비결구배추’라고 한다. 외국 품종이 들어오기 전까지는 개성배추와 서울배추 밖에 없었다. 1906년에 ‘개성배추’라는 품종 이름이 처음 나왔고, 개성배추를 서울에서 기르면서 서울배추가 되었다고 한다. 개성배추나 서울배추는 모두 속이 안 차는 배추다. 그밖에 토박이 배추로는 울산배추, 의성배추, 제주엇갈이배추 따위가 있다. 1900년쯤부터 일본과 중국에서 속이 차는 결구배추가 들어왔다. 또 배추는 한 해 두 번 키워 먹는데, 봄배추와 가을배추가 있다. 날씨가 따뜻한 남쪽 지방에서는 늦가을이나 겨울 들머리에 심어 이른 봄에 먹는 얼갈이배추, 봄동도 있다.

옛 책
≪증보산림경제≫(1766)에는 “땅이 기름지고 축축한 땅에 심는 것이 좋다. 음력 2월 초에 씨앗을 흩뿌리면 음력 3월 중순에 먹을 수 있다. 음력 5월 초에 씨앗을 흩뿌리면 음력 6월 중순에 먹을 수 있다. 씨를 뿌린 뒤 거름재로 덮고 물을 자주 준다. 가을에 심으려면 추석 뒤에 심는 것이 좋다.”라고 나온다. 또 “씨앗으로 기름을 짜서 머리에 바르면 머리카락이 나고, 칼에 바르면 녹이 안 슨다.”라고 했다.

쓰임
배추는 거의 김치를 담근다. 배춧잎으로 국을 끓이거나 전을 부쳐 먹기도 하고, 쌈으로도 먹는다. 배춧잎을 말려 시래기도 만든다. 배추 뿌리도 깎아 먹으면 아삭하고 달다.
배추는 알칼리성 식품으로 비타민C와 칼슘이 많다. 소화가 잘되게 돕고, 똥을 굳어 안 나오는 변비에도 좋다. 또 치질을 낫게 하며 대장암이 안 생기도록 돕는다. 배추는 서늘한 기운이 있다. 몸이 차고 소화가 잘 안 되고, 자주 물똥을 싸는 사람은 날로 안 먹는 게 좋다. 이런 때에는 생강, 마늘, 고추, 파 같은 맵고 따뜻한 양념을 넣으면 배추가 가진 차가운 성질을 누그러뜨린다.
≪동의보감≫에는 “성질이 차지도 덮지도 않다(서늘하다고도 한다). 맛은 달고 독이 없다(독이 조금 있다고도 한다). 음식이 잘 소화되도록 돕고 기를 내리며 장과 위를 잘 통하게 한다. 또한 가슴 속에 있는 열기를 없앤다. 술 마신 뒤에 생기는 목마름을 풀어 준다. 채소 가운데서 배추를 가장 많이 먹는다. 하지만 많이 먹으면 냉병이 생기는데 이때는 생강으로 풀어야 한다.”라고 나온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