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질병치료와 예방 > 중풍과 치매
· ISBN : 9791186155417
· 쪽수 : 232쪽
· 출판일 : 2019-10-31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제1장|정보가 전달되지 않으면 병이 된다
호르몬과 신경 전달 물질
수용체는 어디에 있는가?
얼 서덜랜드 교수의 대발견
캐스케이드 반응은 정보 릴레이
제2장|정보는 뇌를 순환하며 기억이 된다
신경세포는 어떻게 정보를 전달하는가?
뇌의 기본적 구조
해마는 어떤 방식으로 기억하는가?
뇌의 가소성과 장기간 증강 작용
장기간 증강 작용의 메커니즘
질병 발생 장소가 되는 뇌
제3장|알츠하이머 병이란 어떤 질병인가
생활습관병이란 무엇인가?
노화란 무엇인가?
증가 일로에 있는 알츠하이머병
기억에는 여러 종류가 있다
해마와 기억에 관한 HM의 공헌
알츠하이머병의 원인 물질
아밀로이드 캐스케이드 가설
알츠하이머병으로 해마가 맨 처음 손상된다
알츠하이머병의 위험 인자
알츠하이머병의 증상
왜 알츠하이머병은 여성이 많이 걸리는가?
알츠하이머병은 ‘증상 발현 전’부터 발병한다
뇌 영상을 통한 객관적 진단이 필수
왜 근본적 치료법은 없는가?
제4장|당뇨병은 어떤 질병인가?
지구상에 당뇨병 환자가 넘쳐난다
무증상이지만 위험한 질병
왜 당뇨병에 걸리는 것일까?
인슐린 저항성은 모든 악의 근원
비만은 직접적인 원인이 아니다
당뇨병은 놓치기 쉽다
예비군인지 아닌지를 철저히 확인한다
가족 중에 당뇨병 환자가 있을 때 추천하는 검사
혈당치와 혈압은 낮을수록 좋다
제5장|인슐린 측면에서 살펴본 알츠하이머병
알츠하이머병과 당뇨병은 나란히 증가하고 있다
해마의 세포는 췌장의 베타세포와 비슷하다
인슐린은 기억 물질이기도 하다
인슐린의 역할을 좌우하는 릴레이 주자
왜 인슐린이 작동하지 않으면 알츠하이머병이 생기는가?
제6장|실험과 임상 데이터에 의한 검증
새로운 가설을 입증하기 위한 동물실험
‘뇌만 당뇨병’인 래트를 제작하다
‘뇌 당뇨병 래트’의 인지 기능을 조사하다
‘뇌 당뇨병 래트’는 알츠하이머병에 걸려 있었다
임상 데이터로 살펴본 당뇨병과 알츠하이머병
당뇨병 환자의 해마는 절반 이상이 위축 상태였다
당뇨병력이 길수록 해마의 위축이 심해진다
제7장|알츠하이머병에 걸리지 않으려면
알츠하이머병 예방은 당뇨병 예방과 같다
당뇨병은 ‘환자 자신이 주치의’
당뇨병 환자가 하지 말아야 할 일
당뇨병의 운동 요법
당뇨병의 식사 요법
식사 요법의 기본은 ‘지중해식 식단’
금연은 알츠하이머병 예방에 필수
알코올은 ‘기억의 지우개’
수면 부족이 인슐린 작용을 저하시킨다
실험에서 밝혀진 성호르몬의 유용성
활성산소 대책도 필요하다
지질이상과 인슐린 저항성의 측정 방법
새로운 일에 도전한다
일반적인 건강법이 알츠하이머병을 예방한다
제8장|알츠하이머병에 근본적 치료약은 있는가?
대표적인 약제인 도네페질의 한계
개발 중인 약도 효과는 한정적이다
코 흡입용 인슐린에 대한 기대
당뇨병 약에는 2종류가 있다
인크레틴 관련약이 제일의 선택이다
알츠하이머병에도 가장 유력한 당뇨병 약
기타 당뇨병 약과 알츠하이머병 치료
호르몬 보충 요법의 인지증 예방 효과
건강 보조 식품도 시도해 보자
알츠하이머병 환자가 받지 말아야 할 치료
알츠하이머병 치료의 대전환기에 들어서다
맺음말
옮긴이의 말
참고 문헌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