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디자인/공예 > 공예/도자
· ISBN : 9791186156117
· 쪽수 : 292쪽
· 출판일 : 2022-04-15
책 소개
목차
목차-프롤로그. 도장, 마음에 새기다, 석한남
1부. 청사 안광석의 글씨와 인장
한영이귀 / 도계 / 연하벽 독서광 끽묵치 난가우 / 유방행화 / 연북생애 / 관해자 난위수 / 무기성자한 / 요차불피 / 상이무사 급기유사 / 운학유천 군홍희해 / 당휘지검단중마 / 도상무위 이무불위 / 아호박고 / 유음 / 자석문객 / 여금시 운산설소 화잔월궐 / 반야 / 도재와벽 / 제연근본아 일체법원심 / 어언대요종 진실선지식 / 멸생섭리 / 유의시적 / 치 / 입어진여 귀어무위 / 사모롱두자전끽 / 자실인의 / 상수심생 / 고가불외금준공 / 구향관주인 / 목족병행 / 다경유시한상교 / 향예(향홍) / 금강보검불천개 / 일편신광횡세계 / 충기이위화 / 시 계해 맹하 청사 안광석 전 병수탁 / 반야 / 경어 / 사 청사 / 좌단시방 / 연비어약 / 이근보졸 / 장수 / 류 호·사·구 / 인마묵 묵마인 / 일이관지 / 장지 / 천산백신동 / 고현입사후 상대승선 / 화광동진 / 양심왕 / 고주명월객 / 절묵지보화 / 안씨장 자장지 / 비서부좌 비주불와 / 화지지락 / 화죽수이야 문장노갱성 / 원여불해 주선객음주 / 지유천지 / 빈지여귀 / 길상 묘길실주인 연사십이후작 / 현자이후낙차 / 취후해의사화 분향조의작서 / 대화 대화화 화화화 / 불수육양재 주인 / 시 임술 삼월 칠십구수 오창석 / 임술 춘화 오창석 년 칠십우구 / 시 계해맹하 청사 안광석 전 병수탁우우린각
상덕부덕 / 대명무명 사지인 / 불개기락 경신 유월 안석 작 / 빈풍하우 기미 춘 청사 / 진덕수업 기미 춘 청사
2부. 청사가 엮은 운여의 인보
여인존 장지 제단 / 청남 선생 혜존 운여 근정 / 여인존 병오 이월 광석 / 세 병오 여월 삭조 광릉 안광석 전병식 / 읍강 운여 / 여 유자 재전자 / 길 / 오묘자 / 한와실 / 기고재 / 운여경목 / 긍민항회 / 시대력 / 이애촌벽 / 오소호 / 고고정금 / 예 / 고자명 / 초형인 / 안광석 위간거사 / 목작천하 / 대화 대화화 화화화 / 의자손 / 미진 / 서기집문 / 인 / 중판홍해 / 지족상락 / 이가문구불가언 / 공산진 / 자손 / 장언내 / 일여운 막여광 / 존의 / 장갈 / 입간수구 / 마 / 율 / 이마내리 / 불타담 / 난유길 / 장흥 / 대길창거 / 병오 이월 십오일 / 여란여설 / 황려 운여 / 광업지새 / 운여 / 광업 / 김씨새 / 김 / 광 / 장 / 생우병오 / 여 / 운 / 여 / 수덕 / 운여진애물 / 이수
-에필로그. 청사와 운여가 지은 ‘문자의 집’에 거하는 즐거움, 김원
저자소개
책속에서
-- ‘도계(都契)’ 중에서
『포박자(抱朴子)』에는 생각을 적게 함(少思), 지나친 걱정은 삼감(少念), 욕심을 덜 부림(少欲), 일을 적게 함(少事), 말을 적게 함(少語), 웃음을 자제함(少笑), 근심을 적게 함(少愁), 적게 즐김(少樂), 기쁨을 억제함(少喜), 분노를 자제함(少怒), 좋아하는 것을 줄임(少好), 미움을 줄임(少惡) 등 12가지를 ‘도계(都契)’로 규정하고, 이를 양생(養生)의 도계라 했다.
-- ‘상이무사 급기유사(常以無事 及其有事)’ 중에서
노자는 “천하를 다스리는 것은 항상 억지로 함이 없어야 하니 무리해서 일삼게 된다면 세상을 다스리기에 충분하지 못하다(取天下 常以無事 及其有事 不足以取天下 취천하 상이무사 급기유사 부족이취천하)”라고 하며 ‘다스리는 자’의 덕목을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