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글 대표 선수 10+9

한글 대표 선수 10+9

김슬옹, 김응 (지은이), 이수진 (그림)
창비교육
1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0,800원 -10% 2,500원
600원
12,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9개 1,3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8,400원 -10% 420원 7,140원 >

책 이미지

한글 대표 선수 10+9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글 대표 선수 10+9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인문/사회
· ISBN : 9791186367698
· 쪽수 : 224쪽
· 출판일 : 2017-09-18

책 소개

제3회 창비 청소년 도서상 수상자인 한글학자 김슬옹과 시인 김응이 함께 쓰고 화가 이수진이 그린 <한글 대표 선수 10+9>. 훈민정음을 창제한 세종의 뜻을 이어, 한글을 천대하고 한글을 쓰지 못했던 시기에 한글을 지키고 가꾼 사람들의 이야기가 담겨 있다.

목차

1부 조선에서 만나다
1. 세종 · 세상에 없던, 세상을 바꾼 한글의 창시자
2. 문종 · 한글 창제와 반포의 숨은 공로자
3. 신숙주 · 한글 반포에 큰 공을 세운 최고의 언어 능력자
4. 최세진 · 실용 한글 교육 시대를 연 동시 통역사
5. 허균 · 홍길동을 꿈꾼 문제의 한글 소설 작가
6. 김만중 · 한글 문학을 진정한 문학으로 여긴 특별한 양반
7. 장계향 · 한글 요리책으로 사람을 살린 살림의 고수
8. 정조 · 애정도 걱정도 한글 편지에 담은 편지 애호가
9. 전기수 · 한글 소설로 관중을 쥐락펴락하는 거리의 이야기꾼
10. 빙허각 이씨 · 한글 백과사전으로 여성들을 도운 만물박사

2부 근현대에서 만나다
1. 헐버트 · 외국인 열혈 한글 홍보 대사
2. 주시경 · 한글 대중화와 근대화의 개척자
3. 최현배 · 귀에 쏙쏙 들어오는 토박이말의 대가
4. 이극로 · 우리말 사전 편찬의 선구자
5. 박두성 · 여섯 개의 점으로 어두운 세상을 밝힌 길잡이
6. 전형필 · 온몸으로 훈민정음을 지켜 낸 문화재 거인
7. 공병우 · 타닥타닥 한글 기계화의 아버지
8. 최정호 · 글씨 하나하나에 혼을 박은 글꼴 장인
9. 금수현 · 아름다운 한글 이름 짓기의 달인

저자소개

김슬옹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77년 철도고 1학년 때 최현배 선생의 ≪우리말 존중의 근본 뜻≫, ≪한글갈≫을 읽고 한글운동가와 한글학자의 길을 걷기 위해 연세대 국어국문학과에 입학하여 학사, 석사, 박사를 마쳤고 38회 외솔상을 받았다. 현재 세종국어문화원 원장, 한글닷컴한글연구소 소장으로 봉사하며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 객원교수로 후학을 양성하고 있다. 한글운동 공로로 문화체육부장관상(2013), 한글학 공로와 박사학위 세 개 받은 학술 연구 업적 공로로 세종문화상 대통령상(2022)을 받았다. 세계 한류문화에 이바지 한 공로로 대한민국 한류대상(2019), 세계한류문화공헌대상(2022) 등을, 시각장애인 소리책 제작 봉사로 연세봉사상과 국가대표 33인상을, 20여 년간의 독서논술운동으로 독서문화출판진흥대상을 받았다. 연세대 재학시절(1984) ‘동아리’라는 말을 전국에 최초로 보급하였으며, 간송미술문화재단 요청으로 ≪훈민정음≫ 해례본 원본을 최초로 직접 보고 해설하였으며 한글, 우리말 관련 123권을 저술하였고(공저 71권) 140여 편의 학술 논문을, 대중 칼럼 천여 편을 발표하였다. 교보 코칭센터 조사 가장 듣고 싶은 강사 1위에 선정되었고, 강사 신분으로 대학강의 평가 1위상을 2회 받았다.
펼치기
김응 (지은이)    정보 더보기
바닷마을 작업실 메리응유에서 동생 김유 작가와 함께 글을 씁니다. 산문집 《아직도 같이 삽니다》, 그림책 《우리는 보통 가족입니다》, 청소년 시집 《웃는 버릇》, 동시집 《개떡 똥떡》, 《똥개가 잘 사는 법》《둘이라서 좋아》《마음속 딱 한 글자》 등을 냈습니다.
펼치기
이수진 (그림)    정보 더보기
한국적 그림과 옛이야기 그림책 작업에 힘쓰고 있다. 《가시내》 《재주 있는 처녀》 《조마구》 《꼭두랑 꽃상여랑》 《춘향전》 《박문수전》 등에 그림을 그렸다. 그림 연극 《용궁의 검은 고양이》로 일본 고잔상을 받았다.
펼치기

책속에서

지식 실용화를 무기로 삼은 일본을 지식 실용화를 거부한 우리가 막아 내기는 어려운 일이었다. 그래서 7년 동안 임진왜란을, 36년 동안 일제 강점기를 겪으며 참혹하게 살아야 했다.
이런 역사 속에서도 한글의 참뜻을 세우고 지키고 키우기 위해 애써 온 사람이 많다. 한글을 창제하고 반포한 세종부터 한글을 지키고 가꾼 사람들까지 많은 위인이 한글의 위대한 꿈을 이어 왔다.
10월 9일은 한글날이다. 훈민정음, 곧 한글을 창제해서 세상에 펴낸 것을 기념하는 날이다. 뜻깊은 한글날을 더욱더 알리고 기리고자 특별히 조선과 근현대로 나누어 ‘10+9’인을 뽑았다. 열아홉 위인의 삶을 통해 한글에 담긴 영광의 역사를 아로새기길 바란다. 더불어 많은 이들이
소중하게 지켜 온 한글 사랑 정신이 더욱 빛나면 좋겠다.
_ 머리말에서


“네, 전하. 뒤죽박죽인 마음을 다스리는 데는 붓글씨가 최고이옵니다.”
“허허. 그렇소. 그런데 뒤죽박죽인 마음은 한자로 어떻게 쓰시오.”
중전은 어떻게 대답해야 할지 몰라 머뭇거렸다.
“옛 성현들의 말씀을 그저 옮겨 적는 것이지 뒤죽박죽인 제 마음을 적는 것은 아니옵니다.”
그때 세종의 머릿속에 또다시 번뜩이는 생각이 떠올랐다.
“뒤죽박죽인 마음을 적을 수 있는 문자를 만들자.”
그날 저녁 세종은 신하들을 데리고 저잣거리로 나갔다. 왁자지껄 떠들며 술을 마시는 백성들의 말이 귓전을 때렸다. 어떤 노인은 거나하게 취해 노랫가락을 불러 댔다.
세종은 우두커니 백성들의 말과 노래를 들으며 더욱 마음을 다졌다.
“그래, 저들의 말을 그대로 적을 수 있는 문자를 만들겠노라.”
궁으로 돌아온 세종은 새 문자에 대한 꿈으로 촛불을 더욱 밝혔다.
_ 세종


청계천 다리 아래에 전기수가 나타나자 사람들이 하나둘 그곳으로 모여들더니 어느새 전기수 주변을 가득 에워쌌다. 전기수는 사람들에게 『심청전』을 읽어 주며 때로는 어리석은 심 봉사가 되기도 하고, 때로는 효녀 심청이 되기도 하고, 때로는 심술궂고 수다스러운 뺑덕어멈이 되기도 했다.
“망망한 너른 바다 위 제물이 된 심청이가 인당수에 몸을 던지려고 뱃머리에 올라섰는데.”
사람들은 눈물을 흘리며 다음 이야기를 기다렸지만 전기수는 갑자기 입을 다물고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늘 그렇듯 가장 긴장되고 중요한 대목에서 이야기를 멈춘 것이었다. 그러면 사람들이 다음 대목을 듣고 싶어서 앞다투어 돈을 던졌다.
_ 전기수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863678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