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인문/사회/법(고등고시) > 변호사시험 > 헌법
· ISBN : 9791186376966
· 쪽수 : 496쪽
· 출판일 : 2017-05-30
책 소개
목차
제1부 헌법
제1편 헌법총론
제1장 헌법과 헌법학 3
제1절 헌법의 개념과 헌법의 분류 3
제2절 헌법관의 기본 내용 3
제3절 헌법의 특성 3
제4절 헌법의 해석 3
제5절 헌법의 제정 3
제6절 헌법의 개정 3
제7절 헌법의 변천 3
제8절 헌법의 수호 3
제2장 대한민국헌법총설 4
제1절 한국헌법의 개정 4
제2절 헌법의 적용범위 4
제3절 대한민국의 국가형태 5
제4절 한국헌법의 기본원리 5
제2편 기본권
제1장 기본권 총론 18
제1절 기본권보장의 역사 18
제2절 기본권의 성격 18
제3절 기본권의 주체 18
제4절 기본권의 포기 21
제5절 기본권의 효력 21
제6절 기본권의 보호 의무 22
제7절 기본권의 경합과 충돌 24
제8절 기본권의 제한과 그 한계 27
제2장 인간의 존엄과 가치ㆍ행복추구권ㆍ평등권 35
제1절 인간의 존엄과 가치ㆍ행복추구권 35
제2절 평등권 42
제3장 자유권적 기본권 50
제1절 인신에 관한 자유 50
제2절 사생활영역의 자유 67
제3절 정신생활영역의 자유 75
제4절 경제생활영역의 자유 97
제4장 정치적 기본권 119
제1절 정치적 자유권 119
제2절 참정권 121
제5장 청구권적 기본권 131
제2절 청원권 131
제3절 재판청구권 131
제4절 국가배상청구권 138
제5절 형사보상청구권 140
제6절 범죄피해자구조청구권 140
제6장 사회적 기본권 141
제1절 사회적 기본권의 개관 141
제2절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 141
제3절 교육을 받을 권리 145
제4절 근로의 권리 149
제5절 근로3권 151
제6절 환경권 156
제7절 혼인과 가족생활의 보장 156
제8절 모성의 보호와 보건권 158
제7장 국민의 기본적 의무 159
제3편 통치구조
제1장 통치구조의 구성원리 160
제1절 대의제의 원리 160
제2절 권력분립의 원리 162
제3절 정부형태 164
제4절 정당제도 164
제5절 선거제도 170
제6절 공무원제도 185
제7절 지방자치제도 186
제2장 국회 195
제1절 의회주의 195
제2절 국회의 구성과 조직 195
제3절 국회의 운영과 의사절차 196
제4절 국회의 권한 198
제5절 국회의원의 헌법상 지위와 특권 211
제3장 대통령과 정부 217
제1절 대통령 217
제2절 행정부 232
제3절 선거관리위원회 237
제4장 법원 238
제1절 사법권의 독립 238
제2절 법원의 조직 239
제3절 사법절차와 운영 240
제5장 헌법재판소 241
제2절 헌법재판소의 헌법상 지위 241
제3절 헌법재판소의 구성과 조직 241
제4절 헌법재판소의 일반심판절차 241
제5절 위헌법률심판 246
제6절 헌법소원심판 259
제7절 권한쟁의심판 281
제2부 행정법
제1편 행정법통론
제1장 행정의 의의 295
제2장 행정법 295
제1절 행정법의 의의 295
제2절 법치행정의 원리 297
제3절 행정법의 일반원칙 297
제3장 행정법관계 302
제2절 행정상의 법률관계의 당사자 302
제3절 행정상의 법률관계의 내용 302
제4절 특별권력관계이론 303
제5절 행정법상의 법률요건과 법률사실 303
제2편 행정작용법
제1장 행정입법 307
제2절 법규명령 307
제3절 행정규칙 310
제4절 형식과 실질의 불일치 311
제2장 행정행위 315
제1절 행정행위의 개념 315
제2절 행정행위의 종류 315
제3절 행정행위의 부관 324
제4절 행정행위의 적법요건 및 효력발생요건 327
제5절 행정행위의 효력 329
제6절 행정행위의 하자 332
제7절 행정행위의 취소ㆍ철회 및 실효 339
제3장 그 밖의 행정의 주요행위형식 343
제3편 행정절차ㆍ행정정보공개
제1장 행정절차 350
제2절 행정절차법의 주요내용 350
제3절 절차하자와 독자적 위법사유 353
제4절 복합민원절차로서 인ㆍ허가 의제제도 353
제2장 행정정보공개 355
제1절 개설 355
제2절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의 주요 내용 355
제4편 행정상의 의무이행확보수단
제1장 개 관 358
제2장 행정강제 358
제2절 행정상 강제집행 358
제3절 행정상 즉시강제 362
제4절 행정조사 363
제3장 행정벌 364
제4장 새로운 의무이행확보수단 365
제5편 행정구제법
제2장 행정상 손해전보 367
제1절 국가배상 367
제2절 행정상의 손실보상 377
제3절 행정상 손해전보제도의 흠결과 그 보완 379
제4절 공법상의 부당이득반환청구권 379
제3장 행정쟁송 382
Part 2. 행정심판 382
제1절 개설 382
제2절 행정심판의 종류 382
제3절 행정심판의 당사자 및 관계인 382
제4절 행정심판기관 382
제5절 행정심판의 청구요건 382
제6절 행정심판의 가구제 384
제7절 행정심판의 심리 384
제8절 행정심판의 재결 384
제9절 고지제도 386
Part 3. 행정소송 387
제1절 개설 387
제2절 항고소송 387
제3절 당사자소송 422
제4절 객관소송 428
제6편 행정조직법
제1장 행정조직법의 의의 429
제2절 행정주체와 행정기관 429
제3절 행정청 429
제4절 행정청 상호간의 관계 432
제2장 국가행정조직법 433
제3장 지방자치법 433
제2절 지방자치단체의 구성요소 433
제3절 지방자치단체의 사무 440
제4절 지방자치단체의 기관 442
제5절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국가의 관여 443
제4장 공무원법 446
제1절 공무원관계의 발생ㆍ변경ㆍ소멸 446
제2절 권익의 보장 및 행정구제 448
제3절 공무원의 권리ㆍ의무ㆍ책임 448
제7편 특별행정작용법
제1장 경찰행정법 450
제2절 경찰작용의 근거 450
제3절 경찰작용의 한계 450
제2장 급부행정법 451
제1절 공물법 451
제2절 공기업과 특허기업 456
제3절 자금지원행정 456
제3장 공용부담법 457
제2절 부담금 457
제3절 공용제한 457
제4절 공용수용 457
제5절 공용환지ㆍ공용환권 460
제4장 지역개발행정법 463
제5장 환경행정법 463
제6장 조세법 464
공법기록서식례 466
판례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