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객관식 노동법 1, 2

객관식 노동법 1, 2 (김희성 외)

(공인노무사 1차 시험대비 객관식 문제해설)

김희성, 이윤탁 (지은이)
신조사
2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객관식 노동법 1, 2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객관식 노동법 1, 2 (김희성 외) (공인노무사 1차 시험대비 객관식 문제해설)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산업인력관리공단 > 공인노무사 > 1차 과목
· ISBN : 9791186377031
· 쪽수 : 562쪽
· 출판일 : 2015-03-20

책 소개

객관적으로 아무런 다툼이 없는 이론, 법조문, 주요 판례 그리고 최신 기출문제(공인노무사, 사법시험)를 수록하였다. 노동법 관련 시험을 준비하는 독자들은 이 책을 통해 효율적인 학습을 할 수 있을 것이며, 원하는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제1부] 노동법 총론
제1절 서 론
제2절 노동기본권

[제2부] 노동법 (1)
제1절 근로기준법의 적용관계와 기본원칙
제2절 근로계약과 근로관계
제3절 임 금
제4절 근로시간·휴게·휴일 및 휴가
제5절 여성과 소년
제6절 인사이동 및 근로관계의 이전
제7절 근로관계의 종료
제8절 파견근로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9절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10절 산업안전보건법
제11절 직업안정법
제12절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제13절 최저임금법
제14절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제15절 임금채권보장법
제16절 근로복지기본법
제17절 외국인근로자의 고용 등에 관한 법률

[제3부] 노동법 (2)
제1절 집단적 노사관계의 개념
제2절 노동조합
제3절 단체교섭
제4절 단체협약
제5절 쟁의행위
제6절 노동쟁의의 조정
제7절 부당노동행위
제8절 근로자 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
제9절 노동위원회법
제10절 공무원의 노동조합 설립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제11절 교원의 노동조합 설립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저자소개

김희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법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현재 강원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로 재직 중. 주요 경력으로는 (사)한국비교노동법학회 회장과 강원도지방소청심사위원장을을 역임했으며, 현재 (사)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와 (사)한국노동법학회 수석부회장으로 있으며, 주요 저서로, 「노동사회의 변화와 노동법」(2007), 「통상임금 소송에서 신의칙 적용 판단기준」(공저, 2019) 등이 있음.
펼치기
이윤탁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 졸업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 대학원 前 메가CST 경찰공무원학원 대표 강사 前 대전국민경찰학원 대표 강사 現 법검단기 형사소송법 대표 강사 現 공단기 형사소송법 대표 강사 現 교정보호단기 형사소송법 대표 강사 現 경찰간부단기 형사법 대표 강사
펼치기

책속에서

초판 머리말
노동법은 현대 후기산업사회에서는 매우 중요한 법분야인 것은 누구나 알고 있는 주지의 사실이다. 자본주의가 성립하면서 산업사회로의 시작은 노동과 자본, 근로자와 사용자라는 두 관계의 성립, 전개, 대립, 진화라는 양상을 띠면서 노동 내지 노사관계를 둘러싼 법적 분쟁이 이 사회의 중핵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이 분쟁을 해결하고 사전에 이러한 문제를 예방하는 지위와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공인노무사 내지 노동전문법률가의 위상은 높아지고 있다.
그러면 이들이 담당하고 있는 법률분쟁의 전제가 되는 노동법은 무엇이고 그 체계와 구조는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가? 노동법은 일하는 자(취업자)의 대다수인 근로자들의 근로관계를 다루는 법률(학)이지만 근로자보호라는 노동법의 기본목적에 덧붙여 기업이 사업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불가결한 인적 부분을 규율하는 법분야이고, 유럽에서는 비즈니스 로(business law)의 기본과목으로 위치지워져 있듯이 기업사회에서도 불가결하게 중요한 법분야이다. 그 중 개별적 근로관계법은 그 기본이념이 근로자보호이지만 현대사회에서는 노동시장과의 유기적 관련성도 중요한 주제라는 것을 수험생들은 이해하여야 한다. 특히 현대산업사회에서의 노동법의 사명은 근로자의 노동인격의 완성이라는 것을 파악하기 위해 현행 개별적 근로관계법의 체계와 이론을 체계적으로 학습하여야 한다. 그리고 집단적 노사관계법은 그 기본이념이 협약자치(집단적 노사자치)로서 단체협약의 체결을 통한 근로조건의 집단적 규율과 노사의 평화적 질서형성이 중요한 주제라는 것을 수험생들은 이해하여야 한다. 특히 현대산업사회에서의 집단적 노동법의 사명은 노사 간의 집단적 협약자치의 완성이라는 것을 파악하기 위해 현행 집단적 노사관계법의 체계와 이론을 체계적으로 학습하여야 한다. 현재 우리나라의 노동법은 중층(3층) 구조를 이루고 있다 할 것이다. 1층 구조는 근로기준법을 중심으로 한 최저임금법,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산업안전보건법이 차지하고 있고, 2층 구조에는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이, 그리고 3층 구조에는 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이 그 내용을 이루고 있다. 사실 이 노동법체계는 정규근로관계를 전제로 한 것으로서 현재의 노동법제는 비정규근로관계를 염두에 둔 것이 아니라 할 것이다. 비정규근로관계를 포함하는 새로운 노동법의 체계구성이 필요한 시점임은 노동법전문가라면 모두가 다 익히 알고 있는 사실이다.
아무튼 노동법의 구조를 간략히 설명하면, 우선 1층 구조는 개별근로자와 사용자 사이의 근로계약관계를 규율하고 있는 개별적 근로관계법이다. 그리고 1층 구조 중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법은 근로기준법이다. 이 법의 특징은 국가가 근로조건의 최저기준을 정해서 이를 강제적으로 시행하는 데 있으며, 현실적으로 법의 준수를 확보하기 위하여 공무원에 의한 근로감독을 실시하고 있다. 2층 구조에 속하는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은 근로자들의 집단적 대표기구인 노동조합과 사용자가 단체협약을 체결함으로써 근로조건을 집단적으로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노동조합과 사용자에 의한 협약자치는 적어도 국가가 정해 놓은 근로기준법의 최저기준 이상의 근로조건을 확보하거나(임금 개선, 퇴직금누진제 채택 등), 근로기준법 내에 규정되어 있지 않은 근로조건 내지 대우를 창설(상여금 지급, 자녀학자금 지원, 경조금 지급 등)하는 데 그 기본적 의의가 있다. 근로자의 참가를 통한 노사의 협력을 바탕으로 근로자의 지위개선을 지향하는 노동법의 구조가 세 번째의 구조다. 이 제3층의 구조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는 우리나라의 법은 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이다. 이 법률의 본래적 성격은 경영참가적 유형에 속하는 노사협의제도를 규율하고 있는 법이다.
이렇게 정규근로관계를 전제로 한 노동법의 중층(3층) 체계에 관한 법률과 비정규근로관계를 규율대상으로 하고 있는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보호에 관한 법률, 파견근로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 공인노무사시험, 사법시험을 비롯한 노동법 관련 시험의 범위이다. 따라서 이 책의 구성도 제1부 노동법 총론, 제2부 노동법 (1)(근로기준법을 비롯한 기타 개별법), 제3부 노동법 (2)(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 등)로 되어 있다.
그러면 이 책의 특징을 소개한다. 첫째, 노동법의 주요 이론을 문제화하였다. 둘째, 노동법의 주요 판례를 빠짐없이 문제로 만들었으며 최신판례까지 반영하였다. 셋째, 노동관련 주요법을 비롯한 공인노무사 출제범위 법의 주요 내용을 꼼꼼하게 수록하였다. 넷째, 공인노무사시험 문제를 비롯해 사법시험 등의 노동법 관련 기출문제를 정밀하게 검토하여 수록하였다.
또한 이 책을 가지고 학습하는 수험생들에게 요구되고 주의해야 할 사항을 적시하고자 한다. 강조하건대 공인노무사시험, 사법시험을 비롯한 노동법관련 시험은 시험일 당시에 시행되는 출제범위 법규정과 주요 판례를 중심으로 학습하면 된다. 명심해야 할 점은 노동법이론과 관련해 견해대립이 있는 것이라든지 학설 등의 문제는 출제되지 않음을 유의해야 한다. 실제 노동문제를 둘러싼 노동분쟁현장에서는 견해대립이 있는 쟁점이 중요한 문제로 되어 있는 것들도 많지만, 이러한 쟁점들이 아직 확정적으로 대법원이나 헌법재판소의 판결례 및 노동법학자들의 대다수가 동의하는 이론으로 객관화되지 않는 한, 객관식 문제로는 나올 수 없음을 알아야 한다. 객관화되지 못한 문제는 자칫 문제의 객관성 내지 공정성 시비에 휘말리기 때문에 출제위원들이 출제 당시에 이러한 문제를 지양하고 있어서 출제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명심해서 공부해야 한다. 이렇게 학습하면 매우 시간도 절약되고 효율적으로 학습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노동법에서 객관적으로 아무런 다툼이 없는 이론 그리고 법조문, 주요 판례만 제대로 숙지하면 노동법 관련 시험에서 훌륭한 성과를 거둘 것이다. 이 책을 통해 학습한 수험생들을 비롯한 독자 여러분들의 꿈이 이루어지길 기원한다.
끝으로 저자와 공저하여 이 책이 출간되는 데 기여한 이윤탁 선생과 이 책이 나오기까지 언제나 고생을 해 주신 이명재 사장님과 송일근 주간님께 깊은 감사를 드린다.

2014.1.
봄내골 뒷뜰에서
김 희성, Kim Hee-Sung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