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신앙생활 > 간증/영적성장
· ISBN : 9791186387252
· 쪽수 : 211쪽
· 출판일 : 2017-09-27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 8
재판을 내며 / 11
스위스에서 온 편지 / 14
01. 나는 왜 글을 쓰는가? / 17
02. 들으며 묵상하며 / 21
03. 지난날의 회상 / 31
04. 인격적 치유 / 45
05. 3차원의 의학 / 75
06. 여성의 치유 / 99
07. 고난의 신비 / 119
08. 결혼생활의 비법 / 153
09. 어떻게 늙어야 하나? / 163
10. 내 인생에 기본 요소 / 191
11. 지금도 새 모험을 향하여… / 205
책속에서
사람들이 누구나 모든 것을 다 말할 수는 없는 것입니다. 중요한 것은 어떻게 그들의 감정을 해소시키느냐는 것입니다. 인간에게 있어서 억압된 감정은 미처 겉으로 표출되지 않고 마음속에 남아 있어서, 그들의 삶에 자연적인 흐름을 가로막고 있는 것입니다. 우리가 자신의 부끄러운 사실들을 용감하게 받아들일 때 숨겨진 마음의 비밀들이 겉으로 드러나게 되고 문제는 해결됩니다. 뿐만 아니라 별것도 아닌 경험을 우연히 말함으로써 문제의 해답을 얻을 수도 있습니다. 반대로 아주 값지고 중요한 일들을 무심히 넘겨 버려 인생에 큰 계기가 되는 기회를 잃게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묵상(silence)을 어떻게 정의할 수 있습니까?
참으로 정의하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음성을 기다리는 것(waiting)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나는 나 자신을 새롭게 하기 위해서 하나님의 말씀을 기다립니다. 사도 바울이 말한 것처럼 울리는 꽹과리가 되지 않으려면 나 스스로가 창조적인 생각을 가져야 합니다. 이것이 나의 삶의 기본적인 철학입니다. 나로 하여금 사람들의 문제에 관심을 갖게 하고, 그것을 하나님의 관점에서 보게 하는 것은 이 침묵의 생활이 가능하게 하는 일입니다.
정신의학자는 환자들의 이야기를 듣습니다. 그들의 생활 이야기를 듣고 자신들의 문제점에 대해 이야기하도록 합니다. 그러나 그가 피해야 할 중요한 것은, 과학자로서의 물질적 자세입니다. 과학자들은 모든 재료를 조사하고 이를 기록, 분석하려 하지만, 진정으로 환자들이 필요한 일에 대해서는 아무 것도 말해 주지 않습니다.
찰스 오디어(Charles Odier) 박사는 “의사는 이제 곧 과학의 고자세에서 내려와 참 인간적인 입장에 서야 한다.”라고 말했습니다. 정신과 의사가 얼마나 마음이 넓어야 하는가를 말해주는 충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