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중국철학
· ISBN : 9791186430057
· 쪽수 : 622쪽
· 출판일 : 2015-09-15
책 소개
목차
일러두기 … …………………………………………………… 6
책머리에… …………………………………………………… 8
손자 13편의 순서………………………………………………14
상권
상권을 읽기 전에……………………………………………22
계計 …………………………………………………………25
작전作戰 ……………………………………………………55
모공謀攻 …………………………………………………81
형形 …………………………………………………… 113
중권
중권을 읽기 전에………………………………………… 142
세勢 …………………………………………………… 145
실허實虛 ………………………………………………… 181
군쟁軍爭 ……………………………………………… 231
구변九變 ……………………………………………… 281
행군行軍 ………………………………………………… 309
하권
하권을 읽기 전에………………………………………… 382
지형地形 ………………………………………………… 385
구지九地 ……………………………………………… 417
화공火攻 ……………………………………………… 523
용간用間 …………………………………………… 555
부록
《손자병법》 연표 ………………………………………… 613
저자소개
책속에서
권(?)과 권(卷)은 음이 같은 통가자로 볼 수 있으나 실상은 의미 이상의 차이가 있다. 죽간에 보이는 권(?)은 《설문해자(說文解字)》에는 “권(?)이란 팔을 걷어 올려 묶는 것(?臂繩也).”이라고 풀이한다. 전래본의 권(卷)은 죽책(竹冊)을 둘둘 말아 묶는대서 유래한 글자로 권갑(卷甲)이란 기병의 비늘 갑옷을 말아 둔 것이다. 그러므로 죽간본의 의미는 갑옷을 벗지 않은 것이고 전래본은 갑옷을 벗어 후속하는 치중대의 수레에 실은 것으로 전투준비태세에 차이점이 있다. 죽간의 의미는 무거운 갑옷을 입은 채로 과도한 속도로 달렸으니 병마(兵馬)가 피로하여 형세가 약해진 무리한 군쟁(軍爭)을 말하고 있다. 전래본에서는 손자의 본의가 후에 발전한 작전 개념과 뒤섞여, 기동력을 배가하기 위해 경량화된 부대가 무리하게 작전 반경을 벗어난 것을 경계한 것이다.
20세기에도 거대한 군쟁이 일어났다. 2차대전에서 승리한 미국은 유럽 전역(戰域)의 아이젠하워와 태평양 전역(戰域)의 맥아더 간에 정치적 충돌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었고, 대전을 승리로 이끈 이 두 장군은 국민적 영웅이며 인기의 최정상이었다. 군국주의의 위험성을 감지한 투르먼 대통령은 맥아더를 극동에 묶어 두려는 차에 한국전쟁이 일어난다. 한국전쟁은 결국, 맥아더의 정치적 몰락을 가져온 사건이었고, 한국전쟁의 기원에 관한 논쟁이 아직도 이어지고 있는 대전략적 군쟁(軍爭)이었다. 한국전쟁은 아이젠하워가 대통령에 취임한 지 6개월 후인 1953년 7월 휴전한다.
죽간과 전래본(진잔본~손교본)의 주요 차이를 음미하는데 문구에 있는 것으로 한정하면 그 맛이 깊지 않다. 죽간에서 전래본으로 변이되는 과정은 사뭇 정치적이다. 죽간은 보다 비호전 전략적이고 전래본은 대개 호전 전술적이다. 죽간은 정치가 배제된 군사이고 전래본은 정치가 녹아든 군사이다. 죽간은 함의와 광의성이 있고 전래본은 의미를 규정하고 교조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