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노손병담

노손병담

(손자병법의 형성 과정을 추적한 서사)

이창선 (지은이)
우물이있는집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500원 -10% 0원
1,250원
21,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6개 20,5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노손병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노손병담 (손자병법의 형성 과정을 추적한 서사)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중국철학
· ISBN : 9791190631556
· 쪽수 : 592쪽
· 출판일 : 2022-10-15

책 소개

위서 논쟁의 와중에 있는 <손무병법 82편> 일명 “장장본”에 숨겨진 코드를 풀려는 시도에서 쓰였다. 죽간에서 필사한 초본으로 전해진 손무병법 82편은 일명 장장본이라고 알려져 있으며 현재 중국 손자학회로부터는 추방된 위서이다.

목차

일러두기/ 8
들어가면서 / 14

1장. <손자병법 장장본 82편>의 발견/ 21
발견과 전래 / 22
위서논란/ 24
장장본張藏本 속의 발견들/ 31
가. 한신비주韓信批註/ 31
나. 경림간景林簡의 정체/ 52
다. 제齊 안성간安城簡과 진궁秦宮 미오간郿鄔簡 / 59
축간縮簡 과정의 산책刪冊과 재조합/ 66
가. 13편은 82편을 축간한 것인가?/ 66
나. 공개된 장장본 82편의 편제 순서와 구신자九神者/ 70
다. 한신韓信의 병법 서차序次/ 73
라. 82편의 출몰/ 74
2장. 장장본으로 풀리는 <손자병법>의 비밀/ 83
손무병법 82편 속의 암호들/ 84
가. 글에 손무孫武라는 이름을 직접 사용한 점/ 84
나. 주오민周吳民, 吳나라인가? 나의 나라인가?/ 86
다. <손무병법 82편> 집필 시기 분석과 손무의 생애 재조정/ 91
라. 손무는 어디에 있었나?/ 104
마. 전차 기동전이 가능한 지역은 어디였나?/ 141
바. 왕도王道와 패도覇道의 이해로 본 <82편의 성립 시기>/ 145
사. 82편과 13편 모두에 보이는 漢代 이후의 글자들/ 148
아. 깨우친 노예 민敃과 그들의 글 예서隸書/ 155
자. 개두문의 “孫子曰” 유무/ 159
차. 과연 처음부터 13편이었나?/ 161
吳나라, 사라진 해양 제국/ 166
가. 吳나라의 국제적 지위와 손자의 역활/ 166
나. 吳의 중심은 어디었나?/ 178
다. 가나 마타이 (가야와 야마타이)/ 208
라. 오왕광검吳王光劍, 중국 역사의 물화 현장/ 215
장장본과 은작산 죽간과의 관계로 나타난 손빈병법의 허구성/ 224
가. 사서에 언급된 손빈孫臏/ 224
나. 손빈병법은 왜 전승되지 않았나?/ 227
다. 마릉 전투의 설계자, 다시 孫氏에서 田氏로/ 237
라. 13편에 보이는 손빈의 흔적들/ 245
<좌전>에 없는 영웅의 의미 / 256
가. <좌전>의 성격/ 256
나. 섭적葉適의 손자 좌전무대론/ 257
다. 13편에 숨어있는 불편한 영웅들/ 262
라. 손성연의 고민, <좌전>에 없는 손무는 유령인가?/ 274
3장. 도가와 병가의 하이브리드, 81편의 둔갑/ 285
立言(머릿말)에 숨겨진 비밀/ 286
가. 九神者/ 287
나. 노자와 손자의 초청 메타버스/ 289
가전家傳과 세전世傳의 분계分界/ 317
가. 잔도棧道의 싸움/ 317
나. 조조曹操와 장로張魯의 대화/ 326
대도大道와 잔도棧道에서의 행공行空/ 338
손은孫恩의 반란/ 349
가. 여산盧山에서 태호太湖까지/ 349
나. 손은孫恩의 반란/ 355
다. 위화존魏華存(서기 252~334)/ 381
전쟁 기록의 모음 <도덕경>/ 399
부록/ 415
1. <손자병법> 문서 가설도/ 416
2. 장장본 초본발문抄本跋文/ 417
3. 장씨가전수초본張氏家傳手抄本 원본 및 해석/ 420
4. 축간 과정 요소(3才와 5事)로 분류한 13편/ 578
5. 손자병법 演流/ 581
참고문헌과 World wide web/ 587
<老孫兵談>을 탈고하며/ 592

저자소개

이창선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8년 서울생. 미국과 동아시아를 오가며 동양 고전을 연구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평창 여우재 고개 우거에서,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빅베어 산에 은거한다. 간혹 댈라스나 하와이에서 보이기도 한다. 실증 역사의 관점에서 역사 기록물을 의심한다. 尊古와 疑古의 중간 어딘가에 서 있다. 주요저서: 《한국인 탈레반》(2004), 《물속의 섬》(2009), 《竹簡孫子論變》(2015), 《韓詩內傳》(2016), 《누구에게 역사인가?》(2021) 등의 저서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죽간 권책卷冊을 간단하게 줄이는 축간은 손무가 아들들에게 요구한 것으로 <장장본> 입언立言에 보인다. 따라서 13편이 82편을 토대로 재구성되었다고 판단할 수밖에 없다. 손무는 축간의 이유로 전쟁을 기획하고 전개하는 병법의 공포를 무마하고 "13편으로 압축하여 음살陰殺의 천기天機"를 가두어 두어야 하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결국 82편은 감추어지거나 폐기되어야 할 위험한 책이었다. 뒤에 음살은 13편을 지칭하는 말이 되었으나 唐의 이전李筌은 음살이 "음주살벌陰主殺伐, 주군을 숨기고 적을 정벌하는 것"으로 풀이를 달리했다.
82편의 편제명篇題名 배열은 내용의 올바른 이해 없이 가능하지 않다. 현대의 군사용어에 대입하는 것이 우선이지만, 고대 병서 용어는 양병과 용병이 혼합되어 있고 진법과 기동 배비 용어 역시 시대적 상황에 따라 의미가 다르다. 전략, 작전, 전술의 층위가 섞여 있는 고대 병법의 특성상 같은 단어의 해석이 달라질 수 있다. 문리의 범위에서 참을 수 있는 추정의 한도는 자의적이어서 이 책 안에서만 범례를 고정할 수밖에 없다. 81 편(預示 제외) 중 잔멸殘滅 41편을 제외하면 40편뿐이고 편제 순서를 가진 12편은 제목만 남아있어 28편만 내용을 알 수 있다. 더불어 편제의 순을 알 수 없는 편제명만 남은 잔문殘文이 20편이다. 따라서 콘텐츠의 알고리즘으로 12편, 또는 13편으로 분류되었음을 알기는 쉽지 않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병법이 漢代에 이르러 장량계와 한신계로 나뉘고 이를 확인해 준 것은 당대唐代였다. 축간縮簡과 편제의 배열 재조합은 상당한 시간이 지나며 음운을 통해 어느 정도 분류된 것으로 보인다. 이것의 전승이 기록에 의함보다는 암기와 구전으로 되었기 때문이다. 음운에 의한 편제의 분류에 오행이 차지하는 영향은 막대했다. 唐의 공영달은 오행을 배비시켜 "토는 궁宮, 금은 상商, 목은 각角, 화는 치徵, 수는 우羽이다"고 註했는데, 한자음 발음이 당나라 이전까지 한국어와 유사했을 거로 생각하면, 이는 "아설순치후"로 한 <훈민정음> 해례본의 오행 배속과 같았다. <홍무정운>과 <동국정운>의 음과 오행의 배치는 서로 일치하지 않고 이는 현재 음운학에서 해결되지 못한 문제이다. "나랏말쌈"이 달랐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중국어의 상형적 표기나 "뜻"의 몰입 방법이 서로 달랐기 때문이었다.
82편에서 13편으로의 재조합에 작용한 요소나 유통한 사고思考 통로에는 음운뿐만 아니라 손자 13편의 다섯 가지 핵심 비교 요소(道天地將法), 천지인 3재才, 5 행行(土金水木火)의 순환과 생극生克이 작용한다. 13편의 최초 計편에 등장하는 "다섯 가지를 행렬하여 계로써 비교하고 經之以五 校之以計"라는 문구가 후세의 주注에 의해 5사 7계로 잘못 연변 한 것은 손성연이 바로잡았지만 동방문자(한자)의 음운성에는 주목하지 않았다. 13편의 형성이 하루아침에 한 사람의 손에서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은 "정음正音"을 확립하고 체계화하려는 후세의 노력에 의한 흔적으로도 충분히 알 수 있다. 이것은 궁극적으로 언어의 기록은 음에 의한 것이므로 13편 분류에 영향 요소로 판단하는 것은 타당하다.


장장본이 위서라면 "손빈병법"으로 변조된 30편의 대부분 문구가 일치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1928년에 세상을 떠난 장루이지가 1972년에 발견된 죽간을 보고 베꼈을 리도 없다. 오히려 손빈병법의 잔멸된 죽간의 부분을 채울 수 있는 문리와 문맥에 맞는 단어를 장장본에서 손쉽게 찾을 수 있고, 한예체漢?體로 써진 죽간의 현대적 해석과 오류가 없다면, 손무 <손자병법>의 주요 문장과 사색의 연원이 장장본에 있음을 알게 된다. "손빈병법"이 재조再造되고 편수 번호가 주어진 상권 8편 "지보地?", 12편 살사 殺士, 하권 1편 십진十陣, 2편 십문十問을 제외하고는 모두 장장본에 들어 있다. 장장본에 없는 이 편수는 아마도 한신에 의해 정리된 "제안성간 89편"에 속했을 가능성이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이 4편은 유실한 82편의 어느 편수에 해당하거나 <제안성간>의 부분으로 볼 수 있다. 이 네 편 모두 문장은 다르지만 13편의 군사사상에 영향을 주었다


<손자>의 반전 평화는 태생이 도교적 원리에서 온 장장본에서 연류했다고 볼 수 있다. 손자 13편 <행군편>에 "凡四軍之利,黃帝之所以勝四帝也"라는 구절에 조조는 황제 이하를 삭제한다. 전통적 해석은 "네 가지 군사적 이점을 안 것은 황제가 주변의 사제를 이긴 이유였다."이지만, 다르게는 중화 인문(황제)가 주변의 신화적 존재들을 물리친 것으로 풀이할 수 있다. 황제는 물론 황건적의 상징물이고 조조가 토벌한 대상이었다. 이 문구는 송나라 태평어람에서 복원되어 현재 대다수 통행본에 기재되어 있다. "황제"는 분명 장장본의 흔적이다. 장각의 태평도에서 창천蒼天이 천인 감응의 漢나라이면, 황천黃天은 허황한 하늘이 아닌 누런 황토에 서 있는 백성의 나라였다. 도교가 인간 중심으로 변화하는 중요한 길목에서 병법으로 평화를 끌어내는 마중물을 남겼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