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문학사
· ISBN : 9791186478899
· 쪽수 : 282쪽
· 출판일 : 2016-04-1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첫째마당 현대시조의 여명기
1. 대한매일신보와 대한민보 12
2. 대한유학생회보 19
3. [少年]誌 20
4. [靑春]誌 21
5. 개화기 시조 22
둘째 마당 시조부흥운동
1. 시조론 정립과 시조부흥 29
2. 가투놀이와 시조부흥운동 33
3. 시조부흥논쟁(1) 35
4. 시조부흥논쟁(2) 38
5. 시조부흥논쟁(3) 41
셋째마당 현대시조론
1. 안자산설 47
2. 조윤제설 48
3. 조운설 50
4. 가람설 51
넷째 마당 현대시조 작가론(1)
1. 최남선론 59
2. 정인보론 66
3. 이희승론 72
4. 안확론 79
5. 장정심론 90
다섯째 마당 현대시조 작가론(2)
1. 이병기론 103
2. 노산 이은상론 108
3. 조종현론 120
4. 김오남론 126
5. 이호우론 131
6. 조운론 143
여섯째 마당 현대시조 작가론(3)
1. 조남령론 153
2. 오신혜론 158
3. 이영도론 168
4. 월하 이태극론 178
5. 초정 김상옥론 192
부록
1. 시조의 세계화를 꿈꾼다 201
2. 현대시조의 현주소(당면과제와 해결 방안) 204
3. 월하 이태극론 월하의 사랑과 이별 그리고 회한 212
4. 자연과 생명 그리고 시조 224
5. 시조와 문화 시조가 조선조 문화에 끼친 영향 237
■참고문헌 / 찾아보기 263
책속에서
본서는 현대시조의 흐름을 한 자리에 옮겨 놓은 것이다. 그 동안 여기저기에 발표한 것들과 새로 정리한 것들을 모아 현대시조문학사를 엮어 보았다. 갑오경장을 기점으로 현대시조의 여명기를 거쳐, 시조부흥운동, 현대시조 형태론, 및 현대시조 작가론을 최남선으로부터 김상옥까지 시조계의 중심에 있었던 작고시인을 중심으로 다루었다. 아쉽게 못다 다룬 분도 있다. 이는 앞으로 차차 이어갈 것이다. 이를 통해 보다 쉽게 현대시조문학사를 개괄해 볼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머리말 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