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도해 화엄경

도해 화엄경

(“경전중의 왕”을 읽고 이해하기)

쟈써 (엮은이), 여천 무비 (감수), 석혜능 (편역)
부다가야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도해 화엄경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도해 화엄경 (“경전중의 왕”을 읽고 이해하기)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경전/법문
· ISBN : 9791186628225
· 쪽수 : 385쪽
· 출판일 : 2021-08-01

목차

선재동자 53선지식 참방 안내도 _1
석가모니 부처님의 회상 _8
추천사 : 마음과 부처와 중생, 이 셋은 차별이 없네 - 화엄학인 여천 무비 _10
머리말 : 원융조화의 찬란한 세계 _12
본 책 내용 가이드 _20

제1장 경전중의 왕 : 《대방광불화엄경》
1. 부처님이 깨달음을 얻은 후 설하신 첫 번째 경전 : 《화엄경》 _24
2. '경전중의 왕' : 일체 교법을 두루 섭렵한 원교圓敎 _28
3. 대방광불화엄경 : 경명해석 _30
4. 보신불의 경계 : 무량한 정토를 교화하다 _32
5. 《화엄경》의 유래 : 용궁에서 가져온 진귀한 보배 _34
6. 《화엄경》의 전파 : 동남아에서 동아시아 _38
7. 《화엄경》의 한문 번역본 : 《육십화엄》 《팔십화엄》 그리고 《사십화엄》 _42
8. 《육십화엄》의 번역자 : 불타발타라佛陀跋陀羅 _46
9. 《팔십화엄》의 번역가 : 실차난타實叉難陀 _48
10. 《사십화엄》의 번역자 : 반야삼장 _50
11.《화엄경》을 위한 해석 : 인도의 논사와 중국의 주석가들 _52
12.《화엄경》의 영향 : 일대一代 종파의 시작 _56

제2장 화엄9회 : 7곳의 광명처소에서 설법
1. 《화엄경》의 구조 : 7처處 · 9회會 · 39품品 _64
2. 보리도량 : 장엄하고 수승한 금강좌 _70
3. 보광명전 : 용왕이 부처님을 위해 지은 궁전 _74
4. 도리천 : 마야부인의 소재처所在處 _76
5. 야마천 : 천상의 하루, 인간세상의 2백년 _78
6. 도솔천 : 모든 부처님 강생降生 전의 환승역 _80
7. 타화자재천 : 다른 신들의 즐거움을 자신의 즐거움으로 만들어 즐기다 _82
8. 두 번의 보광명전 설법 : 제7, 8차의 설법 _84
9. 서다림 : 화엄회를 원만하게 마치다 _86
10. 천룡팔부 : 불법의 경건한 호위자 _88

제3장 대중들을 위한 청법請法 : 《화엄경》과 관련 있는 보살들
1. 단정하고 엄숙하고 장엄한 모습으로 : 유정을 이롭고 안락하게 하는 님들 _94
2. 층층이 중복되다 : 법회장소에서 설법을 하는 보살들 _96
3. 화엄보살의 상수 첫째 : 문수보살 _100
4. 화엄보살의 상수 둘째 : 보현보살 _104
5. 일체의 괴로움과 액난에서 구제하시는 : 관세음보살 _108
6. 깊고 광대한 원력과 자비로 세상을 구제하시는 : 지장보살 _112
7. 곧 성불할 법왕자 : 미륵보살 _116
8. 마군을 항복 받는 용맹한 힘을 가진 님 : 금강수보살 _120
9. 진언으로 기억력을 증장시키는 : 허공장보살虛空藏菩薩 _122
10. 제개장원除蓋障院의 주존 : 제개장보살 _124

제4장 화엄경의 세계관 : 화장세계
1. 화장세계 : 비로자나불여래의 불국토 _128
2. 시공관 : 불교의 '세世'와 '계界' _130
3. 무량무변하고 방대한 세계해 : 말할 수 없고 말할 수 없는 열 가지 일 _132
4. 화장세계의 구조 : 일화일세계, 일엽일보리 _136
5. 바다 위에 불국토가 생겨나다 : 한없이 미묘하고 아름다운 화장세계해 _138
6. 불국간의 경계 : 푸른 물결이 출렁이는 향수해 _142
7. 사바세계 : 거대한 연꽃 속의 한 꽃술 _146
8. 화장세계의 유래 : 미묘하고 향기롭고 깨끗함이 모두 뛰어난 곳 _150

제5장 초세관 : 《화엄경》의 제1급 수행계단
1. 네 가지 성스러운 진리[四聖諦] : 부처님의 초전법륜 _156
2. 문수보살이 설한 괴로움[苦] (1) : 삼계육도는 모두 고통이다 _158
3. 문수보살이 설한 괴로움[苦] (2) : 고과苦果, 고상苦相 그리고 고제苦諦의 네 가지 행상 _160
4. 문수보살이 설한 괴로움의 원인[集] (1) : 무명과 번뇌 _164
5. 문수보살이 설한 괴로움의 원인[集] (2) : 업력과 집제의 네 가지 행상 _166
6. 문수보살이 설한 괴로움의 소멸[滅] (1) : 괴로움이 없는 경계 _168
7. 문수보살이 설한 괴로움의 소멸[滅] (2) : 두 종류 열반과 멸제의 네 가지 행상 _170
8. 문수보살이 설한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道] (1) : 열반에 이르는 길의 단계 _172
9. 문수보살이 설한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道] (2) : 견도見道 후의 성인의 길 _174
10. 문수보살이 설한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道] (3) : 팔정도와 도제의 네 가지 행상 _176
11. 윤회를 멀리 여의다 : 성도의 세 가지 요점 가운데 출리심 _178

제6장 보살행 : 《화엄경》의 제2급 수행계단
1. 보리심 : 인류의 가장 위대한 자애의 마음 _184
2. 개인만을 위한 해탈인가 중생을 위한 해탈인가 : 작은 수레와 큰 수레의 경계 _186
3. 공통점과 차이점 : 선심善心, 자심慈心 그리고 보리심 _188
4. 십신十信 : 대승에 입문하는 방식 _190
5. 정행품淨行品 : 《화엄경》의 보살 행위 수칙 _194
6. 십주十住 : 굳건한 보리심 _196
7. 십행十行 : 보살행을 널리 배우고 닦는다 _198
8. 십회향十廻向 : 자기의 공덕으로 중생에게 보답하다 _202
9. 십지품十地品 : 영향력이 넓은 화엄의 핵심 _204
10. 마치 마니보처럼 : 보리심의 공덕 _210
11. 보리심을 내다 : 수행자의 앞길을 비춰주는 등불을 밝히다 _214

제7장 공성견 : 《화엄경》의 제3급 수행계단
1. 세존 성불 후의 탄식
: 기이하도다! 일체중생은 모두 여래의 덕상을 가지고 있다 _220
2. 공성을 관하다 : 《화엄경》의 진리관 _222
3. 공성空性 : 집착을 끊는 예리한 무기[利器] _224
4. 연기緣起와 성공性空 : 타파해야 할 아我와 체달해야 할 무아無我 _226
5. 삼주요도三主要道 : 출리심, 보리심 그리고 공성견 _230

제8장 보살이 부처가 되다 : 십지를 원만하면 부처가 될 수 있다
1. 부처님의 지덕智德 : 열 가지 부사의十不思議 법문 _236
2. 부처님의 장엄 : 십신상해十身相海 _240
3. 일대사인연 : 제불이 출현하여 법을 설하는 목적 _244
4. 마지막 계단 : 부처와 보살의 차별 _246
5. 열 가지 명호 : 부처님 명호의 의미 _248
6. 한 중생도 버리지 않는다 : 사바세계와 인연이 있는 부처님 _250

제9장 스승을 친견하는 길 : 불교와 동방문화의 스승을 존경하는 전통
1. 입법계품入法界品 : 선재동자가 선지식을 참방하는 여정 _256
2. 53참방의 작은 이야기 (1) : 비구를 참방하다 _258
3. 53참방의 작은 이야기 (2) : 비구니를 참방하다 _260
4. 53참방의 작은 이야기 (3) : 우바새를 참방하다 _262
5. 53참방의 작은 이야기 (4) : 우바이를 참방하다 _264
6. 53참방의 작은 이야기 (5) : 야신夜神, 왕비 등을 참방하다 _266
7. 53참방의 작은 이야기 (6) : 외도 · 폭군 · 음녀 등을 참방하다 _270
8. 법계에 깨달아 들어가다 : 선재동자 참방의 원만한 결말 _274
9. 불경에서 세속으로 : 스승을 존경하는 깊은 뜻은 영원히 이어갈 것이다 _276
10. 스승과 제자 관계 수립 : 스승과 제자를 어떻게 선택할 것인가 _280

제10장 부처님의 경계를 성취하는 법문 : 보현보살의 광대한 행원
1. 대행 보현보살 : 선법을 행함에 있어 피곤함이 없다 _286
2. 십대행원 : 화엄의 경계를 증득하는 과정 _288

제11장 화엄과 관련하여 : 예로부터 지금까지 화엄을 보아 오다
1. 상서로운 새가 꽃을 물고, 푸른 옷 입은 동자가 시봉하다
: 《화엄경》 지송으로 일어난 감동적인 이야기 _296
2. 신수봉행信受奉行 : 무측천과 《화엄경》 _300
3. 천고에 전해지는 게송, 각 가지에 피어난 꽃들 : 《화엄경》과 중국 문인들 _302
4. 미진, 우주 : 《화엄경》과 과학의 대응 _306

부록 부록1 : 대방광불화엄경 제26 십지품 중송분 _310
부록2 : 대방광불화엄경 입부사의해탈경계보현행원품 _345
부록3 : 균여대사 『보현십종원왕가』 _356
부록4 : 화엄금사자장 _359
부록5 : 대화엄일승법계도 주해 _363
부록6 : 티베트어역 《화엄경》의 개요 _374
부록7 : 《화엄경》 구성표 _378

역자 후기 _380

저자소개

무비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3년 영덕에서 출생하였다. 1958년 출가하여 덕흥사, 불국사, 범어사를 거쳐 1964년 해인사 강원을 졸업하고 동국역경연수원에서 수학하였다. 10여 년 선원생활을 하고 1976년 탄허 스님에게 『화엄경』을 수학하고 전법, 이후 통도사 강주, 범어사 강주, 은해사 승가대학원장,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원장, 동국역경원장, 동화사 한문불전승가대학원장 등을 역임하였다. 2018년 5월에는 수행력과 지도력을 갖춘 승랍 40년 이상 되는 스님에게 품서되는 대종사 법계를 받았다. 현재 부산 문수선원 문수경전연구회에서 150여 명의 스님과 300여 명의 재가 신도들에게 『화엄경』을 강의하고 있다. 또한 다음 카페 <염화실>을 통해 ‘모든 사람을 부처님으로 받들어 섬김으로써 이 땅에 평화와 행복을 가져오게 한다.’는 인불사상(人佛思想)을 펼치고 있다. 저서로 『대방광불화엄경 강설』(전 81권), 『무비스님의 유마경 강설』(전 3권), 『대방광불화엄경 실마리』, 『무비스님의 왕복서 강설』, 『무비스님이 풀어 쓴 김시습의 법성게 선해』, 『법화경 법문』, 『신금강경 강의』, 『직지 강설』(전 2권), 『법화경 강의』(전 2권), 『신심명 강의』, 『임제록 강설』, 『대승찬 강설』, 『유마경 강설』, 『당신은 부처님』, 『사람이 부처님이다』, 『이것이 간화선이다』, 『무비 스님과 함께하는 불교공부』, 『무비 스님의 증도가 강의』, 『일곱 번의 작별인사』, 무비 스님이 가려 뽑은 명구 100선 시리즈(전 4권) 등이 있고 편찬하고 번역한 책으로 『화엄경(한글)』(전 10권), 『화엄경(한문)』(전 4권), 『금강경 오가해 』 등이 있다. 또한 사경집으로 『대방광불화엄경 사경』(전 81권), 『금강반야바라밀경 사경』, 『반야바라밀다심경 사경』, 『보현행원품 사경』, 『관세음보살보문품 사경』, 『천수경 사경』, 『묘법연화경 사경』(전 7권), 『법화경약찬게 사경』 , 『우리말 금강경 사경』 등 무비 스님의 사경 시리즈가 있다.
펼치기
석혜능 (옮긴이)    정보 더보기
불심도문(佛心道文) 스님을 은사로 출가하였고, 자운성우(慈雲盛祐) 스님을 계사로 비구계와 보살계를 수지하였다. 동국대학교 불교학과와 동 대학원에서 불교학을 전공하고, 해인사 해인총림율원과 파계사 영산율원에서 계율학을 연찬하였고, 일본 진언종의 총본산인 고야산(高野山)과 인도 다람살라의 규또사원(上密院)에서 밀교학을 연찬하였으며, 해인총림율원 율원장과 한국역경학회(Maha Kasyapa's Society) 회장을 역임하였다. 제14대 달라이 라마 존자로부터 관정과 삼마야계를 받으면서 ‘텐진 카샤파(Tenzin Kasyapa)’라는 법명을 받았다. 현재 인도 다람살라 규또사원(上密院)과 람림의 마을 보리원(菩提苑)에서 쫑카빠 대사의 람림(Lamrim, 보리도차제)을 바탕으로 한 보리심(菩提心)과 지관쌍운(止觀雙運)의 교학과 수행 체계를 연찬하며 역경(譯經)과 수행(修行)에 전념하고 있다. 번역서로는 ‘반야이취경 강해’(松長有慶 지음, 동국역경원), ‘법화경의 세계’(平川彰 지음, 부다가야), ‘사미학처’(하늘북), ‘원시불교의 연구’(平川彰 지음, 민족사), ‘비구계의 연구’1, 2(平川彰 지음, 민족사), ‘티벳불교 보드가야 대기원법회 독송집’(제17대 까르마빠 지음, 부다가야), ‘보살37수행’(톡메 상보 지음, 티베트하우스 코리아), ‘입보살행론’(산티데바 지음, 부다가야)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