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밀교, 마음의 부처 찾아가는 가장 빠른 길

밀교, 마음의 부처 찾아가는 가장 빠른 길

카츠마타 슌쿄 (지은이), 석혜능 (옮긴이)
부다가야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7,100원 -5% 0원
540원
16,56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밀교, 마음의 부처 찾아가는 가장 빠른 길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밀교, 마음의 부처 찾아가는 가장 빠른 길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티베트 불교 > 티베트 불교 일반
· ISBN : 9791198873507
· 쪽수 : 291쪽
· 출판일 : 2024-09-26

목차

머리말 _14

│ 제1부 │ 밀교의 개요

제1 밀교란 무엇인가 _19
1. 밀교·진언종의 의미 _19
⑴ 밀교-불교의 한 유파 _19
⑵ 인도에서 유파의 명칭 _21
⑶ 쿠카이空海 대사의 용어 _24
⑷ 진언종 _25
2. 밀교의 분류 _27
⑴ 지역별로 본 밀교의 분류 _27
⑵ 인도 밀교의 분류 _29
⑶ 중국·일본에서의 분류 방법 _30
⑷ 티베트불교에서의 분류 방법 _31

제2 밀교 경전의 성립과 특색 _36
1. 밀교의 원류 - 인도 고대의 베다종교 _36
2. 불교에서의 밀교의 발전 과정 _39
⑴ 초기불교 _39
⑵ 부파불교에서 대승불교·밀교로 _40
⑶ 밀교 경전의 성립 과정 _41
3. 밀교 경전의 분류 _45
⑴ 태장법부胎藏法部 _45
⑵ 금강정부金剛頂部 _45
⑶ 제경부諸經部 _46
⑷ 보살부菩薩部 _46
⑸ 명왕부明王部 _47
⑹ 천부天部 _48
4. 밀교 경전의 특색 _49
⑴ 경전과 의궤 _49
⑵ 밀교 경전은 다라니장陀羅尼藏 _50
⑶ 밀교 경전에 설해진 밀교적인 것 _51
⑷ 신앙의 대상 -보문과 일문 _53
⑸ 관법과 기원 _54

제3 중국 밀교의 성립 _57
1. 밀교 경전의 번역 - 삼국시대에서 초당 시대까지 _57
2. 중국 밀교의 성립 - 中唐 이후 _59
⑴ 선무외善無畏(637-735) _59
⑵ 금강지金剛智(671-741) _60
⑶ 일행一行(683-727) _61
⑷ 불공不空(705-774) _62
⑸ 혜과慧果(745-805) _63

제4 나라奈良 시대의 밀교 _65
⑴ 밀교 경전의 전래 _65
⑵ 밀교가 보급된 형태 _66

제5 공해空海 대사의 입당구법과 진언종 _68
1. 젊은 날의 수행 _68
2. 입당구법入唐求法 _71
3. 새로운 밀교 - 진언종의 개종 _76
⑴ 고웅산사高雄山寺시대 _76
⑵ 고야산의 개창 _77
⑶ 동사東寺의 경영 _79
⑷ 사회적 활동 _80
⑸ 문예방면의 활동 _81

│ 제2부 │ 진언밀교의 사상

제1 밀교 사상의 조직화 _87
제2 밀교 사상의 교판 _90
1. 진언밀교의 교판 _90
2. 현밀이교의 교판 _92
⑴ 능설能說의 불신佛身 _93
⑵ 소설所說의 교법 _94
⑶ 수행의 방법 _96
⑷ 성불의 빠르고 더딤 _96
⑸ 교익敎益의 우열 _99

제3 십주심十住心의 사상 _101
1. 십주심 사상의 구성 _101
⑴ 열 가지의 주심住心 _101
① 이생저양주심異生?羊住心 _104
② 우동지재주심愚童持齋住心 _105
③ 영동무외주심?童無畏住心 _106
④ 유온무아주심唯蘊無我住心 _107
⑤ 발업인종주심拔業因種住心 _107
⑥ 타연대승주심他緣大乘住心 _108
⑦ 각심불생주심覺心不生住心 _109
⑧ 일도무위주심一道無爲住心 _109
⑨ 극무자성주심極無自性住心 _110
⑩ 비밀장엄주심秘密莊嚴住心 _111
⑵ 구현일밀九顯一密과 구현십밀九顯十密 _112
2. 십주심사상의 특징 _114
⑴ 인간 마음의 여러 가지 모습 _114
⑵ 비교 사상론적 고찰 _115
⑶ 마음의 만다라 _116
제4 밀교의 불타관 _117
1. 총설 _119
⑴ 석가모니불에서 제불·제보살로 _119
⑵ 통일적인 불타관의 성립 _121
2. 본존 - 구제적인 신앙의 대상 _126
3. 대일여래와 4불四佛 _128
4. 불신관佛身觀 _131
⑴ 1신설에서 2신설로 _131
⑵ 2신설에서 3신설로 _132
⑶ 밀교의 불신관 - 4신설四身說 _133
5. 신앙의 대상 _136
⑴ 여래부[佛部] _136
⑵ 불정부佛頂部 _138
⑶ 불안부佛眼部 _138
⑷ 금강부金剛部 _139
⑸ 보살부 _140
⑹ 명왕부明王部 _141
⑺ 천부天部 _142
6. 팔조八祖 _144
⑴ 부법의 팔조 _144
⑵ 전지傳持의 8조 _145
7. 만다라 _147
⑴ 만다라의 성립과 의미 _147
⑵ 양부兩部 만다라 _148
1 ) 태장계만다라 _152
① 중대팔엽원中臺八葉院 _153
② 변지원遍知院 _154
③ 지명원持明院 _155
④ 관음원觀音院 _156
⑤ 금강수원金剛手院 _157
⑥ 석가원釋迦院 _158
⑦ 문수원文殊院 _158
⑧ 제개장원除蓋障院 _159
⑨ 지장원地藏院 _159
⑩ 허공장원虛空藏院 _160
⑪ 소실지원蘇悉地院 _161
⑫ 외금강부원外金剛部院 _161
2) 금강계만다라 _166
① 갈마회?磨會 _166
② 삼마야회三摩耶會 _169
③ 미세회微細會 _170
④ 공양회供養會 _171
⑤ 사인회四印會 _172
⑥ 일인회一印會 _172
⑦ 이취회理趣會 _173
⑧ 항삼세갈마회降三世?磨會 _174
⑨ 항삼세삼마야회降三世三摩耶會 _175
3) 사종만다라四種曼茶羅 _177
⑴ 대만다라大曼茶羅 _177
⑵ 삼매야만다라三昧耶曼茶羅 _177
⑶ 법만다라法曼茶羅 _178
⑷ 갈마만다라?磨曼茶羅 _179
⑸ 만다라의 확대해석 _179
4) 마음의 만다라 _181
5) 별존만다라別尊曼茶羅 _184

제5 진언밀교의 인간관 _186
1. 홍법 대사의 구법의 중심과제 _187
2. 미오적 존재로서의 인간 _190
3. 마음의 본성 탐구 _192
4. 심성본정心性本淨의 사상 _194
5. 깨달음이란 ? 비밀장엄심·마음의 만다라 _198
6. 범성불이凡聖不二 _200
7. 자심불사상自心佛思想 _202

제6 즉신성불의 길 -진실한 삶의 길 _207
1. 귀의삼보 _208
2. 발보리심 _210
3. 보리심계를 지킴 - 삼매야계 _212
⑴ 보리심계[삼매야계]의 의미 _212
⑵ 보리심계를 갖추는 방법 _213
⑶ 보리심계를 지키는 의미 _215
4. 보리심의 내용 _216
⑴ 신심信心 _216
⑵ 승의심勝義心 _216
⑶ 행원심行願心 _217
⑷ 대보리심大菩提心 _217
5. 정보리심淨菩提心을 관하는 방법 _219
⑴ 월륜관月輪觀 _219
⑵ 아자관阿字觀 _221
6. 사중금계四重禁戒 _225
⑴ 대승의 가르침을 비방해서는 안 된다. _225
⑵ 보리심을 버려서는 안 된다. _226
⑶ 교법을 아껴서는 안 된다. _226
⑷ 사람들을 괴롭게 해서는 안 된다. _227
7. 십선계十善戒를 지킨다. _228
8. 보리심계와 종래의 계와의 관계 _232
9. 사은四恩 - 네 가지 은혜를 알고[知恩] 보답한다[報恩] _234
10. 사섭四攝의 이타행 _238
⑴ 보시布施 _238
⑵ 애어愛語 _239
⑶ 이행利行 _240
⑷ 동사同事 _241

제7 즉신성불 사상 -원리와 실천 _244
1. 즉신성불 사상의 원류 _244
2. 『즉신성불의』의 성립 _246
3. 육대무애六大無碍 _249
⑴ 육대 _249
⑵ 육대체대六大體大·육대능생六大能生 _250
⑶ 육대무애六大無? _251
⑷ 육대연기 _252
4. 사만각불리四曼各不離 _253
⑴ 사종만다라 _253
⑵ 만다라적인 세계관 _254
⑶ 사만각불리 _255
5. 삼밀가지 _256
⑴ 삼밀 _256
⑵ 삼밀가지성불三密加持成佛 _256
6. 즉신卽身의 의미 _260
7. 체·상·용의 삼대三大 _261
8. 일체지지·오지·실각지 _262
9. 세 가지 즉신성불卽身成佛 _264
⑴ 이구성불 _264
⑵ 가지성불 _265
⑶ 현득성불 _267

제8 밀교의 특성 _269
1. 신비성[深秘性] _269
2. 상징성 _272
3. 주술성 _274
4. 사상事相과 교상敎相 _275
5. 양재초복과 즉신성불 _278
⑴ 양재초복 _278
⑵ 속질성불·즉신성불 _279

│ 부록 │

티베트불교에서의 밀교 _289

역자후기 _374

저자소개

카츠마타 슌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밀교, 마음의 부처 찾아가는 가장 빠른 길>
펼치기
석혜능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불심도문(佛心道文) 스님을 은사로 출가하였고, 자운성우(慈雲盛祐) 스님을 계사로 비구계와 보살계를 수지하였다. 동국대학교 불교학과와 동 대학원에서 불교학을 전공하고, 해인사 해인총림율원과 파계사 영산율원에서 계율학을 연찬하였고, 일본 진언종의 총본산인 고야산(高野山)과 인도 다람살라의 규또사원(上密院)에서 밀교학을 연찬하였으며, 해인총림율원 율원장과 한국역경학회(Maha Kasyapa's Society) 회장을 역임하였다. 제14대 달라이 라마 존자로부터 관정과 삼마야계를 받으면서 ‘텐진 카샤파(Tenzin Kasyapa)’라는 법명을 받았다. 현재 인도 다람살라 규또사원(上密院)과 람림의 마을 보리원(菩提苑)에서 쫑카빠 대사의 람림(Lamrim, 보리도차제)을 바탕으로 한 보리심(菩提心)과 지관쌍운(止觀雙運)의 교학과 수행 체계를 연찬하며 역경(譯經)과 수행(修行)에 전념하고 있다. 번역서로는 ‘반야이취경 강해’(松長有慶 지음, 동국역경원), ‘법화경의 세계’(平川彰 지음, 부다가야), ‘사미학처’(하늘북), ‘원시불교의 연구’(平川彰 지음, 민족사), ‘비구계의 연구’1, 2(平川彰 지음, 민족사), ‘티벳불교 보드가야 대기원법회 독송집’(제17대 까르마빠 지음, 부다가야), ‘보살37수행’(톡메 상보 지음, 티베트하우스 코리아), ‘입보살행론’(산티데바 지음, 부다가야)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