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철학
· ISBN : 9791186853856
· 쪽수 : 506쪽
· 출판일 : 2020-12-30
책 소개
목차
•글머리
가. 집필 동기 및 개요
나. 이 책에서 주제를 대하는 구도
다. 고전 원문을 대하는 방식
제1부 주대의 태음력과 하력
제1장 주나라 왕력과 『춘추』
(1) 왕력의 정의
(2) 『춘추』와 춘추3전
(3) 『춘추공양전』으로부터 형성된 대일통 이념
(4) 역법의 분야별 연구 개요
제2장 춘추역법의 개월·개시 논의
1. 호안국과 정이·주희의 춘추역법 이해
(1) 호안국의 춘추 역설
(2) 정이와 주희의 춘추 역설
1) 정이의 설
2) 주희의 설
2. 주자 이후 춘추역법에 대한 여러 이해
(1) 채침의 춘추 역설
(2) 정단학의 춘추 역설
(3) 왕극관의 춘추 역설
(4) 남구만의 춘추 역설
(5) 왕수인의 춘추 역설
3. 기타의 논의 : 본질에서 멀어짐 가려내기
4. 정리
제3장 주나라의 역법
1. 『춘추』 왕력의 태음 역법과 치윤 방법
2. 서주시기 역법 : 왕력
3. 동주시기 역법
(1) 춘추시대
(2) 전국시대 : 주력·하력의 혼용
1) 『맹자』에서의 주력·하력의 혼용
2) 『좌전』에서의 주력·하력의 혼용
4. 삼정의 정의
5. 정리
제4장 주력에서 하력으로, 공자의 “행하지시行夏之時”
1. 하력과 절기력
2. 위방의 방편으로서의 하력 : “행하지시”
3. ‘하력’이라는 이름의 형성
4. 정리
제5장 『춘추』의 의례 기사와 춘하추동
1. 『춘추』 경문의 의례 기사에 보이는 계절
(1) 증烝 의례 기사
(2) 상嘗 의례 기사
(3) 우雩 례 기사
2. 춘·하·추·동의 자형과 자의
(1) 춘春 : 한 점의 양이 생장을 시작함
(2) 하夏 : 완연한 봄의 축제
(3) 추秋 : 벼 해충, 무르익어 가는 벼
(4) 동冬 : 한 해 계절의 마침
3. 『춘추』 왕력 연구에서의 의외의 사색
(1) 보통명사 ‘춘추’
(2) 춘하추동 본의와 육서법
4. 정리
제1부의 미주
제2부 한대 간지 천체력의 독법
제6장 한대 간지세력 원리 고찰의 필요성
1. 문제의 제기
2. 천체력 기년 원리와 주변 연구
(1) 천체력 기년 방식의 원리
1) 세 가지 천체 기년법 : ‘간지’·‘태세’·‘세성’
2) 성차와 연명 간의 양면거울효과
(2) 간지력에 대한 주변 연구
3. 고찰의 필요성 및 방향 제언
(1) 천체력 기년 원리 고찰의 필요성
(2) 천체력 기년 원리 논의 방향과 연구방법 제언
4. 천체력의 나침반 28수를 보는 방법
5. 정리(향후 연구 결과물에 대한 선행적 기대)
제7장 28수와 12차 이론의 기원
1. 중국 고유의 별자리 및 28수
(1) 『서경』에 보이는 28수 기록
1) 『서경』의 구성과 성립
2) ‘서書’의 본의와 하도·낙서
3) 『서경』 「요전」의 성수 기록
(2) 『시경』에 보이는 28수 기록
1) 『시경』의 구성과 성립
2) 『시경』 가사 속의 성수 기록
(3) 「하소정」에 보이는 28수 기록
1) 예에 대한 기록 ‘예기’
2) 「하소정」의 성수 기록
(4) 28수 설정 이유
2. 28수 기원 및 고대 동서양의 교류
3. 중국의 12차 이론과 서양의 황도12궁 비교
(1) 중국의 12차 이론과 28수
1) 12차 및 28수 성수 분도
2) 12차와 28수의 연계성
(2) 서양의 황도12궁과 동서 천문관 비교
1) 고대 바빌로니아 기록물과 『사기』 「천관서」 비교
2) 황도대 주요 붙박이별 길흉 상징성의 동서양 비교
(3) 12차 명칭과 황도12궁의 비교
4. 정리
제8장 일월오성의 순천·역천 개념
1. 일월오성 운행 방향 표현의 두 방식
(1) 좌선은 ‘좌에서 선회’, 동선은 ‘동으로 선회’
(2) ‘소강절의 「설괘전」 해설’을 통한 천도운행의 본의적 이해
(3) ‘소강절의 「설괘전」 해석’에 대한 『역학계몽』에서의 새로운 이해
(4) ‘소강절의 「설괘전」 해석’에 대한 여러 이해
(5) ‘좌선’과 ‘우선’에 대한 네 가지 견해 정리
2. 좌우 및 동서 방향 진행의 구체적 사례
3. 일월 순천 관념의 성숙과 유자儒者의 변환
4. 정리(성과 및 향후 과제)
제9장 장재의 천지관과 천체 이해
1. 삼양의 정의
2. 「삼양」편에서의 천지 논의와 왕부지의 주해
(1) 일월오성과 천지와의 관계
(2) 지地의 승강하는 유遊 운동
3. 유가의 천도(공자에서 장재까지 범설)
4. 정리
제10장 언천체자 3가 ‘주비·선야·혼천’
1. 개천설과, ‘칠정순천七政順天’과의 관계
2. 선야설과, 그 내용의 실체
3. 주비가에서 혼천가로, 보다 발전된 형태의 천체 이해
4. 정리(언천체자 3가, 중국만의 유산일까? 동서의 합작인가!)
제2부의 미주
•총괄 정리
•참고문헌
•본 책의 글이 발표된 학술지 및 학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