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중국문화
· ISBN : 9788926881392
· 쪽수 : 125쪽
· 출판일 : 2017-10-20
책 소개
목차
책을 내며
제1장 서문
1. 개요 및 연구방향
2. 연구배경
제2장 종묘의 고문자와 궁묘유적지
1. 갑골문⋅금문 등에 표현된 조⋅묘의 상형
2. 종묘도와 주대의 궁묘유적지
1) 예서의 종묘도
2) 주대의 궁묘유적지
3) 종묘도와 유적지 구조의 동이同異
3. 소⋅목의 정렬 및 계층별 소유 묘수 규정과 실제
4. 종묘의 기능과 역할에 관한 문헌적 사례
5. 정리
<부록> 廟(묘)와 殿(전)
제3장 종묘에 대한 유교경전의 이해와 후대의 인식
1. 주대의 종법제도
2. 고전에서의 종묘 용례 분석
1) 『논어』
2) 『맹자』⋅『순자』⋅『예기』
3. 선군 묘의 명칭 및 소유 대수의 규정과 실제
4. 종묘 명칭 사용의 신분적 한계
5. 정리
제4장 종묘의 배치 – 좌조우사와 전묘후침
1. 종묘를 의미하는 여러 가지 표현
2. 종묘와 사직의 배치: 좌조우사⋅좌묘우사
3. 묘와 침의 배치: 전묘후침
4. 정리
제5장 종묘 – 명당과 벽옹
1. 명당
2. 벽옹
3. 정리
제6장 주나라의 국도와 풍수지리 이론
1. 주대의 의례 전당
1) 명당과 그 기능
2) 벽옹의 기능과 입지 환경
3) 반궁의 기능과 입지 환경
2. 풍수지리 초기 이론서에서 명당과 혈
1) 묘장 의례와 음택풍수
2) 감여와 풍수 명칭의 시원
3) 『청오경』⋅『금낭경』에서의 명당과 혈
3. 정리 / 258
<부록> 『장서』에서의 “『경』왈”과 『청오경』
제7장 종묘 제사와 상제 – 체 의례
1. 은⋅주시대의 상제
1) 은나라의 상제: 조상신과 지상신의 혼재
2) 주나라의 상제와 천: 조상신과 지상신의 혼효
2. 주대의 체 의례: 조상신의 분립과 탈신성화
3. 금문에서의 啻(시)의 의미: 適(적)과 禘(체)의 혼용
4. 祭(제)⋅祀(사)⋅祠(사)⋅享(향)
1) 祭(제)
2) 祀(사)
3) 祠(사)
4) 享(향)
5.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