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바로잡은 주역

바로잡은 주역

(동양철학과 인문학의 고전 읽기)

이중수 (지은이)
별글
1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0,800원 -10% 2,500원
600원
12,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8개 6,79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7,560원 -10% 370원 6,430원 >

책 이미지

바로잡은 주역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바로잡은 주역 (동양철학과 인문학의 고전 읽기)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유교철학/주역 > 주역
· ISBN : 9791186877265
· 쪽수 : 196쪽
· 출판일 : 2016-07-08

책 소개

조선시대에 편찬된 내각본 <주역>을 텍스트의 정본으로 삼은 주해서다. 왕필과 정이, 주자의 해석서를 2차 본으로 하였으며, 국내 학자와 저술가들의 저서도 주요 문헌으로 추가하였다. 특히 최근 눈에 띄는 국내와 중국, 대만의 연구 성과와 저서의 내용을 참고하였다.

목차

머리말 · 4

제1장_ 주역의 이해 · 9

제2장_ 계사전(繫辭傳) 上 · 23
1. 쉽고 간명하게 천하의 이치를 얻을 수 있다 024
2. 강함과 부드러움이 부딪쳐 변화가 일어난다 030
3. 잘못을 보완하거나 뉘우칠 줄 알면 허물이 없다 034
4. 천지만물의 생성과 변화의 이치를 알 수 있다 038
5. 도를 완성한 것이 본성이다 044
6. 역에는 천지간의 모든 것이 들어 있다 049
7. 도를 깨치려면 본성을 들여다볼 수 있어야 한다 051
8. 인간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말과 행동이다 053
9. 변화의 길을 파악하면 신과도 만날 수 있다 069
10. 일어날 듯 말 듯한 기미 조차도 소홀히 하지 않는다 076
11. 하늘의 뜻을 알면 길흉도 좌우할 수 있다 083
12. 변하고 통하는 일의 주체는 사람이다 095

제3장_ 계사전 (繫辭傳) 下 · 103
13. 인간사에서 귀하게 여기는 것은 바른 자리이다 104
14. 궁하면 변하고 변하면 통하고 통하면 오래 지속된다 110
15. 변동이 있는 곳에서 길흉이 생긴다 125
16. 음양으로 군자의 도리를 찾는다 126
17. 선택한 길은 달라도 결국은 같은 곳으로 가고 있다 127
18. 사물을 정확히 분별하고 판단을 분명하게 내려준다 148
19. 인간사의 패턴은 특정한 괘상으로 보여줄 수 있다 153
20. 사정이 바뀜에 따라 대처하는 방법도 달라진다 159
21. 하는 일의 결과를 분명하게 보여준다 161
22. 제자리에 있지 않으면 길흉이 생긴다 165
23. 세상에 공손하고 두려워할 줄 알면 흠이 없다 167
24. 길흉은 다스려지고, 노력하면 얻는다 169

제4장_ 서괘전 (序卦傳) · 177
1. 크게 갖고도 능히 겸손함이 반드시 즐겁다 178
2. 어긋나면 어려움이 따르고 어려움은 반드시 풀어진다 181

제5장_ 점으로 보는 주역 · 185
1. 들어가는 말 186
2. 점치는 절차 188
3. 점괘에 대한 해석 192

에필로그 · 193
참고문헌 · 195

저자소개

이중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종합일간지 「세계일보」와 경제지 「파이낸셜뉴스」 등 언론사 몇 곳에서 기자로 글을 썼으며, 경제신문 「머니투데이」에서 온라인에디터(부국장)를 끝으로 20년이 조금 못 미치는 기자 인생을 마감했다. 이후 공공 부문에 들어가 행정자치부 혁신홍보 팀장,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홍보실장 등을 지냈다. 어린 시절 철학과 사상서에 심취했던 기억이 난다. 이제 쉬는 나이가 되면서 그 결실을 끄집어내어 하나씩 엮어볼 생각이다. 문화와 ICT가 결합된 사이버플랫폼을 만들기 위해 자바 언어와 웹 기술의 최신판도 새로 배우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궁하면 변하고 변하면 통하고
통하면 오래 지속된다

古者包犧氏之王天下也
仰則觀象於天 俯則觀法於地 觀鳥獸之文 與地之宜
近取諸身 遠取諸物 於是始作八卦
以通神明之德 以類萬物之情

옛날 복희씨가 천하를 다스릴 때
위로는 하늘의 상을 보고 아래로는 땅의 법칙을 살펴,
새와 짐승의 무늬와 땅의 특성을 관찰하였다.
그래서 가깝게는 몸에서 취하고 멀리는 사물에서 취한 것으로
이에 비로소 팔괘를 만들어 신령의 덕(능력)을 꿰뚫어보고
만물을 (괘상으로) 분류할 수 있게 했다.

王天下也(왕천하야) 해석이 다른 두 주장이 있다.
① 천하를 다스리다. (대부분)
② 문화가 일어나고 문자가 시작되다. 《주역계사 강의》
以類萬物之情(이류만물지정)에서 類(류)에 대한 해석이 갈린다
① 유추하다, 類推(유추)해 알 수 있다. 《주역계사 강의》
② 분류하다, 같은 류끼리 분류하다. →萬物之情 如雷風山澤之象 《주역 본
의》 ‘만물의 정이란 예를 들어 뇌풍산택의 상과 같은 것이다’ 즉, 바로 앞 문장
에서 팔괘를 만들었다고 하였으므로 만물을 뇌풍산택 등의 괘상으로 분류하
여 64괘를 만들고 점을 칠 수 있도록 했다는 말이다.

作結繩而罔罟 以佃以漁 蓋取諸離

노끈을 묶어 그물을 만들어
그것으로 사냥하고 물고기를 잡으니
이는 重火離괘에서 가져왔다.

繩(승) : 노끈
노 : 실, 삼, 종이 따위를 가늘게 비비거나 꼬아 만든 줄
새끼 : 짚으로 꼬아 줄처럼 만든 것
매듭 : 노, 실, 끈 따위를 잡아매어 마디를 이룬 것
⇒⇒이를 종합해 보면 繩을 ‘노끈’으로 해독하면 좀더 포괄적인 해석이 가능해 보인다.
罔(망) : 덮어씌워 새나 짐승을 잡는 그물(물에서 쓰는 그물 = 《주역계사 강의》)
罟(고) : 물고기 그물 (들짐승용 그물 = 《주역계사 강의》)
佃(전) : 밭갈다, 사냥하다

包犧氏沒 神農氏作 斲木爲耜 揉木爲耒 耒耨之利
以敎天下 蓋取諸益

복희씨가 죽고 신농씨가 이어서
나무를 깎아 보습을 만들고 또 구부려 쟁기를 만들어,
밭 갈고 김매는 이로움을 주어 천하를 가르치니
이는 風雷益괘에서 가져왔다.

斲(착) : 깍다, 새기다
耜(사) : 보습, 쟁기날 / 따비로 갈다
揉(유) : 주무르다, 휘다, 바로잡다
耒(뢰) : 가래, 쟁기. 예) ?? 뇌사 논밭가는 농기구
耨(누) : 김매다 / 호미, 괭이 예) ?農
蓋(개) : 덮다, 대개, 모두
日中爲市 致天下之民 聚天下之貨 交易而退
各得其所 蓋取諸筮嗑

한낮이면 시장을 열어 천하의 사람들이 몰려들고
재화를 모아 교역을 하고 물러나 각 물건이 그 쓰임을 얻게 하니
이는 火雷噬嗑괘에서 가져왔다.

各得其所(각득기소) :
① 각 물건이 쓰임을 얻다
② 각각의 물건이 그 장소를 얻다. 《주역 본의》
‘교역을 하고 나서 얻은 물건을 갖고 물러나오면, 그 물건으로 새로운 쓰임새
가 생긴다‘는 의미의 글이다.
噬(서) : 씹다, 삼키다
嗑(합) : 입 다물다, 말이 많다 / 웃음소리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868772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