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87023197
· 쪽수 : 168쪽
· 출판일 : 2021-06-30
목차
머리말 5
1장 길을 찾아서 10
1. 진로도 운명인가 10
2. 사나이라는 덕목의 유산 27
2장 교수의 길과 유학생활 36
1. 어쩌다 교수의 길로 36
2. 가깝고도 먼 유학 44
3. 학위논문 준비, 화석을 찾아 나서다 64
3장 공룡화석의 발견 72
1. 국내 최초로 공룡 알화석을 발견하다 72
2. 덕명리 해안에서 공룡발자국을 찾다 77
3. 그 밖에 공룡화석을 발견하다 88
4. 조류의 발자국과 익룡 화석의 발견 94
4장 지질학사전과 전문서적 출간 104
1. 지질학사전 104
2. 교재와 전문서적 출판 110
5장 진화론에 얽힌 이야기 120
1. 건널 수 없는 강, 창조론자와 과학자 120
2. 찰스 다윈의 위대성 128
6장 한국화석회 활동과 화석표본 관리 136
1. [화석회] 발족과 활동 136
2. 화석표본의 관리 142
3. 화석발견에 얽힌 에피소드 146
4. 남은 이야기 157
에필로그 160
용어설명 165
저자소개
책속에서
머리말
우리에게 디지털 시대에 적응하는 순발력도 긴요하지만, 넘치는 정보의 심층과 맥락을 해독하는 지적 안목이 더욱 절실하다. 지금은 평생토록 공부하는 ‘학습사회’다. 무엇보다도 스스로 학습하는 능력을 지속적으로 축적하는 게 중요하다. 이런 지적 안목과 학습능력은 일차적으로 책 읽기를 통해서 길러진다. 우리가 책을 읽는 것은 결국 자기 자신을 해독하는 과정이다. 삶이 앎으로 엮인 책들이 모여 세상은 그만큼 좋은 쪽으로 바뀐다.
이런 취지에서 사회적협동조합 <지식과세상>은 ‘읽고 쓰기’의 틈새를 메워주는 ‘작은책’ 시리즈를 기획했다. 우리의 ‘작은책’ 발간은 삶과 일이 하나 된 집필자의 인생보고서이기도 하다. 이 시리즈 기획이 자라나는 세대에게 말이 글이 되고 글이 삶이 되는 하나의 창구가 되길 바란다. 현장교사들에게는 우리의 핸드북이 교과와 진로지도의 자원으로 원용되길 바란다. 나아가 시민들의 평생교육에서 ‘서로 배움’의 매체로 우리의 핸드북이 두루 활용되었으면 싶다.
이 책은 <지식과세상> 기획 시리즈로 양승영 선생님(경북대 명예교수)이 집필하셨다. 선생님은 광복 후 우리나라 지질학계의 1세대로 평생 화석을 찾아 전국을 헤집고 밟았다. 그 결과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공룡 알과 공룡 생흔 화석을 발견해 국내외 지질학계에 선풍을 일으켰다. 선생님은 학회 차원에서도 여의치 않던 <지질학사전>을 10여 년 동안 매달린 끝에 단독으로 편찬?발간하는 놀라운 저력을 보였다. 선생님은 스스로 삶이 앎이 되고, 앎이 삶이 되셨다. 선생님의 삶의 여정이 젊은 세대에게 신선한 자극이 되길 바란다.
끝으로, <지식과세상>에서 기획한 ‘작은책’ 시리즈를 잘 이해하고, 출판을 맡아준 <도서출판참>에 고마움을 전한다.
2021년 6월
<지식과세상>사회적협동조합 ‘작은책’편집위원회
무엇을 발견한다는 것은 찾을 대상이 머릿속에 들어 있어야 눈에 들어오는 것이다. 결국은 생각이 대상을 찾아낸다. 그리고 생각이 대상을 규정한다.
일이란 것은 얼마나 열심히 집중하여 추진하는가에 달려 있는 것 아닌가. 나는 <지질학사전> 작업을 밀고 나가기로 결심하고, 그 외의 다른 연구는 모두 접어두기로 했다. 오직 사전편찬에만 몰두하기로 했다. …(중략) 마침내 수록된 용어 약 1만2천여 개에 1천 쪽이 넘는 <지질학사전>이 출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