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건강정보 > 건강에세이/건강정보
· ISBN : 9791187077282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20-12-1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004
01 요양병원에 대하여
1. 요양병원 생활의 이모저모
요양병원 병실 풍경들 012 / 요양병원의 식사시간 013 / 목욕시키기
015 / 환자 약 먹이기 016 / 요양병원에서 발생하는 돌연사 017 /
입원환자들의 자리 애착 019 / 노인환자들의 집단 증상 020 /
외모를 중시하는 한국인 021 / 요양병원 생활의 어려움 022 /
요양병원은 사회적 수용시설 023 / 환자의 거짓말 025 / 집중
치료실에서 일어나는 일들 027 / 입원환자의 병원탈출 029 /
인간에게도 유통기한이 적용되는가 03
2. 어느 요양병원에 모실 것인가
요양병원 선택 요령 034 / 요양병원에서 병실 선택 037 / 간병인의
중요성 038 / 요양병원의 사회적 인식
3. 요양병원의 성격과 현황들
요양병원이란? 042 / 왜 요양병원이 필요한가? 043 / 요양병원에
대한 간단한 질의응답 045 / 요양병원에는 어떤 환자가 입원할까?
046 / 요양병원의 치료목표 047
4. 요양병원의 진료현황
노년기 환자들의 특징 049 / 의료인의 관심과 환자의 예후 051 /
안전을 최우선으로 삼는 요양병원 052 / 요양병원의 연명치료 054
/ 의사의 방어진료 057 / 치료거부 059 / 주말 진료의 애로사항
061 / 신체보호대 062 / 위약 효과 064
5. 요양병원에서 일하는 사람들
요양병원의 의사들 구성 065 / 간호사의 인력관리 068 / 기타
부서의 인력관리 069 / 요양병원의 간호사 인력난 070 / 격무에
시달리는 요양병원 간호사 072 / 불분명한 업무한계 073
6. 요양병원에서 벌어지는 갑질
완장을 채워주면 077 / 아침 회진 079 / 의사의 갑질 080 /
수간호사의 갑질 081 / 간병인에게 갑질하는 사람들 083 /
보호자가 없으면 서러운 요양병원 084 / 간호사와 보호자 085 /
치료비 내는 날 088
7. 요양병원의 제도적 문제점
치료비 청구제도 090 / 요양병원의 미불금 091 / 요양병원의
의료적인 문제점 093 / 몸 성한 환자들 094 / 요양병원의
물리치료 096 / 장기환자의 입원료 삭감 098 / 요양병원은 의사와
간호사들의 유급 양로원인가? 100 / 적정성평가 102 / 행정기관의
탁상행정 105
8. 요양병원의 운영은 어떻게 하나?
요양병원의 환자유치 108 / 환자의 등급 112 / 포괄수가제 114 /
요양병원에서 발생하는 골절 116 / 안전 제일주의 118 / 병원에서
뼈가 부러지면 의료사고인가? 120 / 지역언론과 유대관계가 좋아야
121 / 요양병원의 영업정지 124 / 행정기관과의 유연한 관계 125
9. 요양병원, 요양원, 양로원은 어떻게 다른가?
요양병원과 요양원의 차이 127 / 간병인과 요양보호사의 차이 130 /
요양원의 역할과 인력구성 131 / 양로원과 요양원의 다른 점 132
02 요양병원에서 다루는 중요한 두 가지 질병
1. 노년의 불청객 치매
치매는 얼마나 발병하나? 138 / 치매의 위험인자 139 / 치매란
어떤 병인가? 141 / 치매와 구별해야 되는 병 143 / 예쁜치매,
미운치매 148 / 치매로 인해 나타나는 인지기능의 장애 150 /
일상생활 능력장애 157 / 치매환자의 이상행동과 심리증상 160 /
치매는 인생의 역주행 180 / 치매의 치료 191 / 치매의 예방법 193 /
치매환자를 위한 사회복지서비스 197
2. 육체를 고통으로 몰아넣는 골다공증
골다공증이란 200 / 골다공증의 위험인자 202 / 골다공증 진단 203
/ 골다공증의 예방 204 / 비타민 D의 효능에 대한 자세한 보고 206
/ 수술을 해약한 어느 할머니 207 / 건강한 노후를 위해 마스크를
벗자 208
03 품격 있는 노년을 위하여
1. 노년과 효 사상
우리나라의 효 사상 214 / 조선시대의 효 사상 전개 218 / 요양병원
입원과 효도 222 / 긴병에 효자 없다 223
2. 노년에 겪는 일들
인간의 수명 225 / 한국인의 건강수명 227 / 황혼이혼 229 /
황혼이혼의 대안은 없나 231 / 사별 233 / 좋은 죽음 234 / 노인의
자살 236 / 독거노인과 고독사 239
3. 노년과 운동
노년에 나타나는 현상들 241 / 노화의 예방 244 / 노화현상?산소의
두 얼굴 246 / 노년에 과도한 운동이 왜 나쁜가? 248
4. 노년을 어떻게 생각할 것인가?
노년을 바로 보자 250 / 노년의 단계 252 / 노년에 갖춰야 할
것들 254
5. 노년의 마무리
노년에 대한 단상斷想 262 / 노인 차별주의 265 / 고령화 사회에
대한 편견 267 / 노인들의 사회적 위치 270 / 노년의 마음가짐 272 /
노년의 긍정 276 / 노년기 예찬 278 / 당당한 노년 280
참고문헌 283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품격 있는 노년을 보내려면
후박(厚薄)이란 말이 있습니다. 후(厚)는 지나치지 않는 것이고,
박(薄)은 부족하지 않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 중도(中道)를 의미하는
말입니다. 자연에 사계절이 있듯이 인생에도 시기가 있습니다.
만물이 나고 자라고 열매를 맺듯이, 사람도 시기를 놓치지 않아야
노년을 아름답고 편안하게 지낼 수 있습니다. 사람이 나이 드는 것은
보편적인 자연현상입니다. 아름답게 나이 들려면 그것은 자신이
만들어야 합니다. 노년기에는 세상의 애착(愛着)·탐착(貪着)·원착(怨着)을
내려놓아야 합니다. 애착은 사랑하는 사람과의 이별을 견디지 못하는 것이고,
탐착은 재색명리(財色名利)에 대한 욕심이며, 원착은 미워하는 사람을
용서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이 세 가지를 버리지 않고서는
결코 아름답고 품격 있는 노년을 살아갈 수 없습니다. 《오늘, 행복학교》의
슬로건이 담긴 이야기입니다.
양병원의 병실 풍경들
12장
요양병원의 병실에 들어서면 흐뭇한 풍경이 여기저기서 펼쳐진다. 어느 효자도 하기 힘든 정성어린 수발이다. 여기가 바로 극락이요, 천국이다.
손·발톱을 깎아드린다. 머리를 감겨드린다. 세수를 해드린다. 눈곱을 닦아드린다. 머리를 빗겨드린다. 면도를 해드린다. 머리를 깎아드린다. 밥을 먹여드린다. 양치질을 해드린다. 몸을 일으켜세운다. 배설물
냄새가 진동하는 기저귀를 갈아드린다. 환자들을 수발하는 이런저런모습들이 여기저기서 벌어진다.
요양병원에 입원한 환자 중에는 스스로 몸을 관리할 수 없는 환자가 대부분이다. 몸을 꼼짝도 할 수 없는 와상臥床환자도 있다. 인지기능이 좋지 않거나 손이 떨리거나 시력이 좋지 않아 간단한 도구조차 제
대로 다루지 못하는 환자가 대부분이다. 여기서는 숟가락질만 할 수 있어도 큰 축복을 받은 환자이다.
요양병원은 세월의 무게를 이기지 못하여 몸과 마음이 지쳐버린 어르신의 손과 발이 되어주고 아픈 마음을 어루만져주는 곳이다. 자식들에게 신세를 지지 않고 내 몸을 맡길 수 있는 노년의 공간이다. 노후에
찾아야 할 안식처이고, 노년의 아픈 몸을 치료해주는 현대판 효자가 기다리는 곳이 바로 오늘날의 요양병원이다.
치매는 얼마나 발병하나 치매는 뇌가 노화되어 나타나는 퇴행성질환이다. 그러므로 나이가
많이 들수록 치매환자가 점점 더 많이 나타나는 것은 어쩔 수 없는 현상이다. 노령화 현상이 심한 우리나라에서는 앞으로 치매환자가 꾸준히 증가하리라고 전망한다.
2012년에 시행된 전국적인 치매역학조사의 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65세 이상 노인에게서 발생하는 치매 유병률은 9.18퍼센트로 나타났다.
연령별 유병률은 65세를 기준으로 하여 5세가 증가할 때마다 거의 2배로 늘어났다. 즉 65~69세 사이는 1.3퍼센트였던 유병률이 85세가 넘어서면 33.9퍼센트로 증가하게 된다. 그 중 알츠하이머 치매 유병률은 6.54
퍼센트로 전체 치매의 71.3퍼센트를 차지하였고, 혈관성 치매가 1.55퍼센트로 전체 치매의 16.9퍼센트를 차지하였다.(한국치매예방협회)실제로 분당서울대학교병원의 연구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급속한 인구 고령화와 평균수명 증가에 따라노인 인구가 6백만 명임을 감안했을 때 12분마다 1명씩 새로운 치매환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60분마다 1명씩 치매환자가 사망하는 것으로 추정했다. 특히 74세 이하의 초기 노년기에는
매년 노인인구 1천 명당 3.5명씩 치매환자가 발생하는 반면, 75세 이상의후기 노년기에는 매년 노인인구 1천 명당 14.7명씩 치매환자가 발생하고있다. 또한 치매 전 단계에서 나타나는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경우, 치매
로 진행될 가능성은 10~15퍼센트이며, 정상 노인에 비해 치매 발병 위험이 5.7배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의학신문 2015. 09.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