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김형관 피디의 중국 조선족 아리랑

김형관 피디의 중국 조선족 아리랑

김형관 (지은이)
솔과학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0,000원 -0% 0원
0원
30,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3개 10,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김형관 피디의 중국 조선족 아리랑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김형관 피디의 중국 조선족 아리랑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음악 > 한국 전통음악
· ISBN : 9791187124221
· 쪽수 : 407쪽
· 출판일 : 2017-05-26

책 소개

김형관 피디는 조선족 문화 속에 변질되지 않은 채 남아있는 전통과 민속, 민요 등을 “조선족 촌을 찾아서”라는 방송 프로그램으로 생생하게 재탄생시켰고, 드디어 책이라는 기록물을 내놓음으로써 우리의 아리랑의 원형 자료들을 담게 되었다.

목차

책을 출간하며... / 5

제1장 중국 조선족 민요 "아리랑"
1. '한민족의 문화', '중국 소수민족 문화' / 15
2. 민간 문화예술의 채보정리 사업 / 19
3. 조선족 문화 예술 속의 "아리랑" / 24
4. 중국 소수민족 조선족들이 생각하는 "아리랑" / 39
5. 아리랑!중국 국가 급 무형문화재이다. / 41
6. 조선족의 문화에서 나타난 "아리랑" / 45
7. 조선족 민요 속에서 "아리랑"은 어디에 있는가? / 50
8. 한민족 민요 "아리랑"의 특징 / 52

제2장 가극으로 꽃 핀 "아리랑"
1. 1938년 중국 무한의 한구 광명극장 / 59
2. "아리랑"이 맺어준 김산과 님 웨일즈 / 64
3-1. 1940년 서안에서 가극 "아리랑" (1) / 75
3-2. 1940년 서안에서 가극 "아리랑" (2) / 80
4. 가극 "아리랑" 무한시(武汉市) / 84
5. 조선의용대 김위(金媁) / 92
6. 한유한(韓悠韓)의 가극 "아리랑" / 100
7. 전설 극 "아리랑" / 104
8. 연변가무단 가극 "아리랑" / 113
9. 조선족 사회의 "꿈의 아리랑" / 115

제3장 "항일가요"와 "아리랑"
1. 항일가요와 아리랑 / 119
2. 항일무장 투쟁과 1939년 5. 1절 / 126
3. 간삼봉에 울려 퍼진 "아리랑" 노래 / 129
4. 밀림속의 오락회 / 132
5. 불굴의 아동유희 / 137
6. 유격대행진곡 “아리랑” 부르며 / 147

제4장 민간, 민요수집과 아리랑
1. 중국 "조선족"과 "아리랑" / 153
2. 한민족의 민요"아리랑"의 전승과 수집 / 157
3. 해방 후 중국에서 창작된 "아리랑" / 161
4. 라디오방송국과 텔레비전 방송국에서 "아리랑" / 163
5. 전설과 문학창작이 된 "아리랑" / 165
6. 출판문화와 문화지로 된 "아리랑" / 166
7. 조선족 민요수집에서 수록된 "아리랑" / 167
8. 조선민족의 멜로디 "아리랑" / 171

제5장 전통 민요 "아리랑"과 "창작 아리랑"
1. 중국에서 채보 된 전통민요 "아리랑" 악보 / 179
2. 중국 동북지방 해방 전∙후의 아리랑 / 255

제6장 중국 동북에서 태어난 창작 아리랑
1.『장백의 새 아리랑』 창작 아리랑 / 289
2.『연변 아리랑』 창작 아리랑 / 292

제7장 연변 조선족 자치주 기념 "아리랑"
1. 연변조선족자치주 창립 10돐 경축대회 / 331
2. 연변 조선족 자치주 40주년 기념 / 333
3. 연변 조선족 자치주 50주년 기념 / 335
4. 연변 조선족 자치주 성립 60주년 기념 / 345
5. 연변 라디오 텔레비전의 가요 700수중에서 "아리랑"
아리랑 내 사랑 방송, 노래 책(연변 라지오텔레비전
방송국 방영) / 371

저자소개

김형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북 부안군 보안면 상입석리에서 출생했고, 중앙대학교 민속학과와 고려사이버대 한국어과를 졸업했다. 한국방송KBS 에서 프로듀서로 활동했다. 〈6시 내 고향〉에 방영할 중국 조선족 동포들의 삶을 다룬 프로그램을 제작하면서 우연하게 중국 동북에 있는 고구려와 발해의 역사 유적인 ‘산성’을 발견하게 되었다. 이때부터 우리나라 산성 유적에 깊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 다큐멘터리 작품의 하나로 고향인 부안군의 산성들을 촬영하면서 해안가와 강가의 낮은 구릉지에 밀집해 분포한 부안 산성들의 독특함에 반하게 되었다. 이 무렵부터 부안 곳곳을 돌아다니며 우리 기억에서 잊혀진, 그래서 잃어버린 부안의 산성을 찾고자 했다. 그 결실을 책으로 엮었다. 지은이에게 이 책은 부안을 다룬 세 번째 프로젝트이다. 최근에는 우리 대학교육에서도 보기 드문 영상민속학을 강의하며 부안의 역사·민속·민요 등을 수집하고 있다. 저서로는 《내 고향 보안》, 《영암 갈곡 들노래》, 《보안초등학교 77년사》, 《김형관 피디의 중국 조선족 아리랑》이 있다. sundor10@hanmail.net 블로그 _ 김형관의 영상민속학 blog.daum.net/sundor10
펼치기
김형관의 다른 책 >

책속에서

1. 책을 출간하며
중국에서 살고 있는 조선족에게 "아리랑"은 타 민요보다 민족의 상징성을 느끼며, "중국 속에서 살아가지만 한민족의 피를 이어받은 중국 사람입니다." 라는 말을 하며 살아가고 있다.
"아리랑"은 과연 누구의 것인가? 참으로 아이러니하게도 아리랑은 중국에서 먼저 국가문화재로 등록하였고 이후 한국에서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고 2014년에는 북한에서도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중국, 북한, 한국이 각각 자국의 문화재로 등재시키는 이 현실에서 과연 아리랑은 누구의 문화로 보아야 할까?
중국 조선족들의 아리랑은 압록강과 두만강을 건너 중국 동북에서 자리 잡기까지의 과정에 자신들의 생존과 발전의 길에서 중국내 소수민족과 이주민족 사이에서 좀 다른 길을 걷지 않으면 안 되었던 삶이 있었던 것이다. 중국 동북지역의 개간 산업과 일제 강점기의 치욕적인 삶과 항쟁의 생활을 함께 하면서 우리의 전통을 이어가려는 한민족의 뿌리를 버리지 않았던 것이다. 항일가요, 구전민요, 신 아리랑, 창작아리랑에 대한 노래뿐만 아니라 하나의 공연문화로 자리 잡고 있다. 조선족들의 살아온 시대적 표징이요 정신적 좌표로서 조선족 정서를 표현하였는바 조선족 음악보물의 진품 일뿐만 아니라 조선족들에게는 한 떨기 아름다운 진달래가 되기는 손색이 없을 것이다. 중국은 아리랑뿐 아니라 여러 조선족 문화재를 세계급, 국가급, 성급, 주급, 시급 등으로 문화재로 전산작업 및 기록을 하고 있다. - (중략) -
이렇게 기록으로 담지 않았으면 현재에는 사라질 뻔한 자료들이 한 둘이 아니다. 연변 조선족 자치주 50주년 때는 전체적인 무용을 담당했던 김정훈 선생님이 촬영 이후로 중풍으로 쓰러져 민족의 전통을 이어가지 못할 위기에 닥친 적이 있으며, 가야금 산조를 북한에서 배워 후배들에게 전수를 하신 김진 선생님은 벌써 하늘나라로 가신지가 10여년이 되었고, 1982년 “장백의 새 아리랑”을 작곡하여 중국 조선들의 사랑을 많이 받으신 안계린 선생님도 2014년(지난) 7월에 돌아가셨다.
이것을 지켜보던 나로서는 지금까지 가지고 있던 내용을 하루 빨리 책(자료)으로 만들어야겠다는 책임감이 절로 들게 되었다. 많은 문화속의 전통을 이어 오시는 분들이 한분, 한분 사라져 가는 것을 보면서 하루 빨리 영상 작업과 발자취를 따라가 보고 싶었다.
한국에서는 "강릉 단오제"가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고 중국조선족은 "농악무"를 세계문화유산으로 올리면서 양국 간의 소리 없는 문화 싸움이 시작되었다. "아리랑"조차 한국에서는 우리의 “아리랑”이라고 하고, 중국 조선족들은 같은 한민족으로 조선족들의 “아리랑”이 조선족의 자랑이라고 힘을 모아 문화재로 등록을 하였다고 한다. 이것이야말로 문화 전쟁이요, 국제적인 문화재로 선점을 하기 위한 전초전이 아닐까 생각한다.
"아리랑"이 한국, 북한, 중국 등 한민족의 다국적 문화재로 등재를 했으면 하는 바람이었지만 그렇지 못하게 되었다. 중국 조선족의 아리랑은 220만 조선족들이 불러지는 것이고, 한민족의 뿌리인 동시에 고난과 애환, 슬픔, 환희의 아리랑인 것이다.
2002년 조선족 자치주 50주년의 행사 때와 2012년 조선족 자치주 60주년 행사와는 과거의 조선족과 현대, 미래의 조선족의 모습을 보는 느낌이었다. 이주 1세대의 "아리랑"과 이주 이전의 "아리랑"은 현재의 "창작 아리랑"에서 한민족의 동질성과 민족성이 나타난다. 아리랑은 조선족의 단순한 민요가락이 아니라 한민족의 고향의 노래이고 핏줄에 얽힌 한 맺힌 노래로서 기쁠 때나, 슬플 때나 함께하는 노래인 것이다. - (중략) -
세계에서 제일 아름다운 노래, 한민족의 노래, 통일의 노래, 한민족의 문화 중심의 아이콘이자 한민족의 정서인 아리랑! 한 사람이 아닌 한민족의 한마음으로 "중국 조선족의 아리랑" 글을 봐주시면 하는 마음입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