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신개념 침구학

신개념 침구학

(신지식인과 유학생을 위한)

김호준 (지은이)
씨에이치문화원(CH출판)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신개념 침구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신개념 침구학 (신지식인과 유학생을 위한)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한의학 > 침구
· ISBN : 9791187169000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16-02-29

책 소개

현재 중국의 보통고등교육 “十二五” 국가급규획교재(國家級規?敎材)인 전국고등중의약원교교재(全國高等中醫?院校敎材)를 기본으로 하여, 너무 난해하거나 복잡한 내용을 초심자도 이해 가능하게 편집하여 번역되었다.

목차

상편(上篇) 침구기초이론(?灸基?理論).

제 1 장 경락총론(經絡悤論)
제 1 절 경락계통(經絡系?)의 구성
제 2 절 경락의 표본(標本), 근결(根結), 기가(氣街) 및 사해(四海)
제 3 절 경락(經絡)의 작용 및 경락학설(經絡學?)의 임상응용

제 2 장 수혈총론(?穴悤論)
제 1 절 수혈(?穴)의 분류 와 명칭
제 2 절 수혈(?穴)의 주치(主治) 특징과 규칙
제 3 절 특정혈(特定穴)
제 4 절 수혈(?穴)의 정위방법(定位方法)


제 3 장 경락수혈각론(經絡?穴各論)
제 1 절 12경맥(十二經脈)과 관련한 수혈(?穴)
제 2 절 기경팔맥(奇經八脈)과 관련한 수혈(?穴)

중편(中篇) 침구기술(?灸技朮)

제 4 장 침구기술총론(?灸技朮悤論)
제 1 절 상용침구기구(常用?灸器具)
제 2 절 상용침구체위(常用?灸體位)
제 3 절 상규침구치료량(常規?灸治療量)
제 4 절 침구시술(?灸施朮)의 주의사항

제 5 장 침구기술각론(?灸技朮各論)
제 1 절 호침자법(毫?刺法)
제 2 절 구법(灸法)
제 3 절 부항요법(:拔罐法)
제 4 절 특수침구자법(特殊?灸刺法)
제 5 절 전침법(電?法)
제 6 절 혈위주사법(穴位注射法)
제 7 절 혈위첩부법(穴位?敷法)
제 8 절 혈위매선법(穴位埋?法)
제 9 절 두침법(頭?法)
제 10 절 이침법(耳?法)

하편(下篇) 침구치료(?灸治療)

제 6 장 침구치료총론(?灸治療悤論)
제 1 절 침구치료의 원칙
제 2 절 침구치료의 작용
제 3 절 침구치료의 특징
제 4 절 침구진료(?灸?療)의 규칙
제 5 절 침구처방(?灸處方)
제 6 절 특정혈(特定穴)의 임상응용

제 7 장 침구치료각론(?灸治療各論)
제 1 절 머리 및 몸통부위 통증(:頭面軀體痛?)
제 2 절 내과병증(內科病?)
제 3 절 부인과병증(:婦科病?)
제 4 절 소아과병증(:兒科病?)
제 5 절 피부과 및 외과 병증(:皮外傷科病?)
제 6 절 오관과병증(五官科病?)
제 7 절 급증(急症)
제 8 절 기타병증(其他病?)

경혈 찾아보기 (Index)

저자소개

김호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졸업 (학사) ·미국 미시간주립대학원 졸업 (석사) ·중국 요녕중의약대학 침구과정 (수료) ·중국 요녕중의약대학 졸업 (박사) ·현 CH문화원 객원교수 ·신개념 침구학 편역자
펼치기
김호준의 다른 책 >

책속에서

인체의 오장육부(五臟六腑).사지백해(四肢百骸).오관구규(五官九竅).피육근골(皮肉筋骨) 등의 조직기관은 상호 지속적으로 통일적인 협조를 이루어서 정상적인 생리활동을 완성하며, 경락계통의 연락과 소통을 실현한다. 경락에 속하는 경맥.경별.기경팔맥 및 15낙맥은 종횡(?橫)으로 교차하며, 안으로 들어와 밖으로 나가고, 위아래로 통하며, 인체의 각 장부조직을 연결한다. 경근과 피부는 지체(肢體).근육.피부를 연결한다. 부락과 손락은 인체의 미세한 부분을 연결한다. 이와 같이 경락은 인체를 연결하여 하나의 유기적인 정체(整體)를 이룬다.
경락은 연결과 소통의 작용을 통하여 전도기능을 갖는다. 몸의 표면은 병사(病邪) 및 각종 자극을 받아서 장부(臟腑)에 전도한다. 장부의 생리기능이 비정상이면 몸의 표면에 반영되는데, 이는 모두 경락의 연결과 소통 작용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기혈(氣血)은 인체의 생명활동의 기초물질이며, 인체의 각 조직기관은 기혈의 따뜻하고 윤택한 기운을 얻어야만 정상적인 생리기능을 완성하게 된다. 경락은 인체 내 기혈의 운행통로이며, 인체의 각 조직과 장기에 영양물질을 전파하고, 장부조직에 영양을 공급하며, 근골을 윤택하게 하고, 관절을 잘 통하게 한다.
영기(營氣)는 맥(脈) 안에서 흐르고, 위기(?氣)는 맥 바깥에서 흐른다. 경락은 “혈기(血氣)”를 흐르게 하여 영위(營?)의 기(氣)를 전신에 조밀하게 분포하고, 안으로는 오장(五臟)과 서로 조화를 이루고 육부(六腑)에 흩어져 배열되어, 바깥에서 병사(病邪)를 방어하여 침입하지 못하게 한다. 외사(外邪)는 인체의 안팎을 경유하여 침입하는데, 먼저 피모(皮毛)를 따라 침입하기 시작한다. 경맥에 충분한 위기(?氣)가 흐르고, 경맥이 몸 전체에 산포(散布)되어 피부에 조밀하게 분포되면, 외사가 인체에 침범할 때 위기를 발휘하여 외사를 방어하는 인체의 보호막 작용을 한다.
경락(經絡)은 인체의 내부를 거쳐서 외부에 도달하는 하나의 연락체계인 동시에, 생리기능이 비정상이면 병사(病邪)가 퍼져서 주입되는 경로이기 때문에 병후(病候)적 특징을 반영한다. 예를 들면, 어떤 질병은 병리 과정에서 경락이 순행하는 통로에서 항상 명확한 압통 혹은 결절, 조색 등의 반응물과 상응 부위의 피부색깔.형태.온도 등에 변화가 나타난다. 환자의 기색을 파악하고, 경락을 따라서 반응물을 만져보며, 손으로 눌러보는 것 등을 통해서 질병의 병리상황을 추리하여 판단할 수 있게 한다.
침구치료는 자침(刺?)과 애구(艾灸) 등을 통하여 인체 표면에 있는 경락의 수혈(?穴)에 자극을 주어 경기(經氣)를 소통시키고, 장부의 기혈(氣血)을 조절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것이다. 수혈의 선택 및 침구방법의 선택적 사용은 침구치료의 양대 핵심이며, 이는 경락학설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