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91187254591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24-11-15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4
첫째 글 재세례파와 시(市)개혁가들의 세례 논쟁과 개혁신학의 발전 : 후브마이어와 츠빙글리를 중심으로 25
1. 서론: 아나뱁티즘과 개혁주의 신학의 발전 28
2. 급진파와 시(市)개혁가들의 세례 논쟁 33
3. 개혁주의 신학 형성과 세례 논쟁의 의의 45
4. 요약 및 결론 63
둘째 글 칼뱅(Calvin) 신학의 윤리적 차원 : 에릭슨(E. H. Erikson)의 발달심리학으로 본 칼뱅 신학 71
1. 서론: 칼뱅 신학의 윤리적 지향 74
2. 에릭슨의 도덕 발달론 77
3. 칼뱅의 윤리적 신학 재(再)고찰 82
4. 결론 및 한국 장로교회를 위한 함의 96
셋째 글 슐라이어마허의 삼위일체론 : 『신앙론』에 나타난 인간학적 삼위일체 해석 101
1. 서론: 슐라이어마허의 삼위일체론 이해 104
2. 사상적 배경 및 슐라이어마허의 신학 107
3. 슐라이어마허의 삼위일체론에 대한 비판 117
4. 슐라이어마허의 인간학적 삼위일체 해석 131
5. 결론 143
넷째 글 성경의 권위에 대한 건설적 이해 : 칼뱅과 바르트의 자유주의적(liberal) 접근 147
1. 연구의 배경과 의의 150
2. 칼뱅과 바르트의 기본 입장 152
3. 성경의 권위에 대한 자유주의적 이해 155
4. 성경의 권위에 대한 긍정적 논의 162
5. 현대 독자들을 위한 함의 170
다섯째 글 바르트 신학의 ‘중심의 개방성’(Openness of the Center) 신학에서 '중심의 개방성'과 한국 개신교회의 과제 183
1. 서론: 바르트와 한국 교회/신학 186
2. 바르트 신학에서 ‘중심’ 개념 189
3. 신학에서 ‘중심의 개방성’과 한국 개신교회 199
4. 결론: 교회와 신학의 쇄신을 위한 제언 207
여섯째 글 틸리히와 생태신학 : ‘동일성 원리’(the Principle of Identity)의 생태학적 비전 211
1. 서론: 생태신학자 틸리히 214
2, 생태학적 위기와 신학적 응답 217
3, ‘동일성 원리’ 전통과 신학적 의미 224
4. 틸리히의 자연신학과 생태학적 비전 229
5. 결론: 생태학적 위기 시대의 신학적 과제 238
일곱째 글 몰트만의 생태-정치적 종말론 :이 세상의(this-worldly) 역사와 희망, 종말(Eschaton), 하나님 나라의 통합적 이해 243
1. 서론: 종말론과 윤리 246
2, 생태-정치신학적 종말론 249
3. '영원한 시간' 개념의 비평적 재고찰 264
4. 결론: 인간·역사·자연에 대한 긍정으로서의 종말 274
저자소개
책속에서
각각의 신학은 당대의(contemporary) 상황 속에서 하나님 앞에서 고유한 신앙적, 신학적, 실천적 응답을 해야 한다. 슐라이어마허, 바르트, 몰트만 등의 현대 신학자들은 모두 자신의 시대에 성실하게 응답하면서 개혁신학의 전통을 재해석하고 계승하는데 공헌했다. … 그러므로 개혁신학과 현대신학은 이분법적인 관계에 있는 것이 아니다. 과거의 개혁신학이 있었던 것처럼, 현대의 개혁신학이 있으며, 또한 미래의 개혁신학이 있을 것이다.
독자들, 특히 한국장로교회의 범주 안에 있는 신학도들과 목회자들은 오늘의 교회들이 여전히 직면해 있는 신학적, 목회적 논쟁의 주요 문제들을 개혁교회 전통의 주요 신학자들과의 비평적, 건설적 대화를 통해 숙고해 봄으로써 먼저는 개혁신학의 주요 특징들을 이해하고 나아가 종교개혁사상에 기초한 개혁주의 혹은 복음주의 신학의 노선 위에서 계승해 나가야 할 개혁교회 신학의 특징과 방향을 모색해 보도록 도전받게 될 것이다.
영적, 도덕적, 사회적 갱신 등 모든 측면을 포함하는 급진적 운동이었던 아나뱁티스트 그룹은 근대를 여는 사회·경제적, 정치적 사상의 발전에 기여한 것은 물론이고, 무엇보다 당시 로마 가톨릭교회의 신학 전통에 대립하는 것으로 부상한 개신교 신학, 특히 개혁교회 전통 신학의 발전을 촉진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