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교회 > 교회일반
· ISBN : 9791187254324
· 쪽수 : 252쪽
· 출판일 : 2020-08-31
책 소개
목차
추천사
책을 펴내며
프롤로그
첫째 마당 한국장로교회의 분열史
1차 분열
2차 분열
3차 분열
재연합을 위한 시도와 좌절
분열의 원인
개혁교회 일반의 분열 원인
둘째 마당 WCC의 교회론 - 일치 추구를 위한 신학적 토대
WCC 교회론의 변천(變遷)
· 비교교회론적 접근
· 기독론적 교회론으로의 전환
· 삼위일체론적 일치 근거의 확인
· 협의회를 통한 친교로의 발전
JWG의 “지역교회와 보편교회”
· 코이노니아(Koinonia) 교회론
· 지역적 코이노니아와 보편적 코이노니아
· 코이노니아의 교회적 요소들
셋째 마당 <신앙과 직제>「산티아고 대회」(1993) 고찰
산티아고를 향하여
「산티아고 대회」의 역사적 의의
코이노니아로서의 교회의 일치
분과 보고서 「신앙, 삶, 그리고 증거에 있어서 코이노니아를 향하여」
· 1분과 : 코이노니아에 대한 이해와 함의들
· 2분과 : 하나님의 영광을 위한 하나의 신앙을 고백함
· 3분과 : 그리스도 안에서 나누는 삶
· 4분과 : 새로워진 세계를 위한 공동 증거로의 소명
넷째 마당 「산티아고 대회」 분과 보고서에 조명한 한국장로교회의 일치 추구
분열의 원인과 남겨진 짐
일치 추구를 위한 신학적 토대 - WCC 교회론
「산티아고 대회」 분과 보고서에 조명한 일치 추구
· 선물인 동시에 과제로서의 코이노니아
· 신앙을 고백함에 있어서의 코이노니아
· 그리스도 안에서 공동의 삶을 나누는 코이노니아
· 새로워진 세계를 위한 공동 증거에 있어서의 코이노니아
다섯째 마당 <신앙과 직제>, 그 지속적인 신학적 대화의 역사와 미래
「신앙과 직제 위원회」의 목적, 구조, 운영방법
<신앙과 직제>의 정체성 - 지속적인 신학적 대화
신앙과 직제 운동의 성과
계속되는 논쟁과 이슈들
신앙과 직제 운동의 의의와 미래
에필로그
참고문헌
<부록 Ⅰ> 한국장로교회사 연대표
<부록 Ⅱ> 20세기 에큐메니칼 운동사 연대표
저자소개
책속에서
첫째 마당에서는 먼저 한국장로교회의 분열의 역사를 고찰하고, 그 분열의 원인들을 신학적으로, 그리고 신학외적으로 확인한다.
둘째 마당에서는 먼저 WCC의 가시적 교회일치 추구의 역사를 개괄하고, 특히 WCC의 교회론에 나타난 교회일치를 위한 개념의 변천을 고찰한다. 다음으로 WCC의 일치 추구의 과정에서 중요한 고비를 이루고 있는 뉴델리 총회와 나이로비 총회에서 확인되는 “각 장소의 모든 그리스도인들”과 “모든 장소의 모든 그리스도인들” 문제를 JWG(1990) 제6차 보고서의 부록으로 제출된 “지역교회와 보편교회”에 조명하여 살펴본다.
셋째 마당에서는 <신앙과 직제> 「산티아고 대회」(1993)에 이르기까지 신앙, 삶, 그리고 직제에 있어서 <신앙과 직제>의 신학적 수렴의 역사를 개괄하고, 산티아고 대회 분과 보고서인 「신앙, 삶, 그리고 증거에 있어서 코이노니아를 향하여」를 분석, 고찰한다.
넷째 마당에서는 첫째 마당, 둘째 마당, 셋째 마당을 요약하고, 동시에 <신앙과 직제>를 중심으로 WCC가 추구해 온 교회일치 추구에 조명하여 한국장로교회 협력과 일치 추구의 방향들을 제시한다.
다섯째 마당에서는 WCC의 대표적 기구의 하나인 <신앙과 직제>가 걸어 온 역사를 재조명해 봄으로써 그 지속적인 신학적 대화의 내용과 의의를 숙고하고, 나아가 그 신학적 대화의 미래 전망을 시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