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개혁주의 신학

개혁주의 신학

(현대 개혁주의 역사)

데이빗 웰스 (지은이), 박용규 (옮긴이)
한국기독교사연구소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5,200원 -10% 0원
1,400원
23,8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8개 11,99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개혁주의 신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개혁주의 신학 (현대 개혁주의 역사)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91187274087
· 쪽수 : 526쪽
· 출판일 : 2017-12-31

책 소개

개혁주의라는 말이 한국교회 한쪽에서는 점차 사라지고 있고 다른 한쪽에서는 홍수처럼 넘쳐나고 있다. 그런데도 정작 ‘개혁주의가 무엇인가’를 물으면 대답을 잘 하지 못한다. 이 책은 개혁주의를 표방하는 교단이나 목회자, 신학자들에는 물론 다른 전통에 있는 이들에게도 개혁주의가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알려주는 나침반과 같은 안내서가 될 것이다.

목차

역자 머리말 • 5
개혁주의 신학: 현대 개혁주의 역사 해제 • 9
개혁주의와 미국: 조지 말스던(George M. Marsden) • 25
제 I 부 프린스턴 신학
1장 프린스턴신학: 마크 놀(Mark A. Noll) • 43
2장 찰스 핫지: 데이빗 웰스(David F. Wells) • 72
3장 벤자민 워필드: 앤드류 호페커(W. Andrew Hoffecker) • 108
제 II 부 웨스트민스터 신학
4장 웨스트민스터 학파: 로버트 갓프리(W. Robert Godfery) • 148
5장 그레삼 메이첸: 스텐포드 리드(W. Stanford Reid) • 168
6장 코넬리우스 반틸: 웨슬리 로버트(Wesley A. Roberts) • 194
제 III 부 화란 개혁주의
7장 화란 개혁주의 학파: 제임스 브라트(James D. Bratt) • 216
8장 루이스 벌코프: 헨리 즈완스트라(Henry Zwaanstra) • 242
9장 북아메리카의 헤르만 도이벨트: 칼 매킨타이어(Carl
T. McIntire)• 268
제 IV 부 남부 개혁주의 전통
10장 남부 개혁주의 전통: 몰톤 스미스(Morton Smith) • 288
11장 로버트 루이스 답네: 더글러스 플로이드 캘리
(Douglas Floyd Kelly) • 314
12장 제임스 헨리 돈웰: 루더 위틀락(Luder G. Whitlock, JR.) • 352
제 V 부 신정통주의 신학
13장 신정통주의: 데니스 보스퀼(Dennis Voskuil) • 370
14장 라인홀드 니버: 가브리엘 파커(Gabriel Fackre) • 396
15장 리차드 니버: 말콤 리드 (Malcom Reid) • 422
개혁주의 전망: 제임스 몽고메리 보이스(James Montgomery Boice) • 449
부록: 프린스턴신학과 보편실재론 • 467
참고문헌 • 481
색인 • 521

저자소개

데이빗 웰스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 고든-콘웰신학대학원 앤드루 머치 조직신학 및 역사신학 석좌교수이다. 그는 University of London(B.D.), Trinity Evangelical Divinity School(TEDS, Th.M.), University of Manchester(Ph.D.)를 졸업하고 시카고 트리니티신학교(TEDS) 교회사 교수를 거쳐 고든 콘웰신학교(Gordon-Conwell Theological Seminary)의 조직신학 및 역사신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그는 고든콘웰신학교 학감을 역임했고, 세계로잔복음화대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런던대 현대기독교연구소에서 강의하고 있다. No Place for Truth (1993)을 비롯한 복음주의, 포스트모더니즘, 미국기독교역사에 대한 탁월한 저술들을 통해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진 복음주의 역사신학자이다. 존 스타트와 제임스 패커의 신실한 친구며 평생 개혁주의적이고 복음주의적인 저술활동을 통해 세계신학계를 리드하고 있다. 탁월한 저술활동으로 학술공로를 인정 받아 세계적인 연구재단(the Pew Charitable Trust)으로부터 연구기금을 수여받았다. 역사의 지도교수인 TEDS의 John D. Woodbridge 교수와는 절친한 사이로 함께 오랫동안 공동으로 저술활동을 하였다. 그의 저서 가운데 기독론: 그리스도는 누구신가(2015), 위대하신 그리스도(2010), 윤리실종(2010), 신학실종(2010), 하나님의 거룩한 사랑(2015), 용기 있는 기독교(2010), 거룩하신 하나님(2010), 하나님께로 돌아오라(2014)가 번역 출간되었다.
펼치기
박용규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를 졸업하고, 총신대 신학대학원에서 목회학석사(M.Div.) 학위를 마쳤다. 그 후 미국 포틀랜드의 Western Evangelical Seminary에서 신학(M.A.)을 공부하고, 시카고 Trinity Evangelical Divinity School에서 역사신학으로 신학석사(Th.M.)와 철학박사(Ph.D.) 학위를 받았으며, 미국 Westminster Theological Seminary(1999)와 Yale Divinity School 객원교수(Visiting Fellow, 2006-2007)를 역임했다. 총신대 신학대학원 역사신학 교수(1991-2021)로 재직하면서 총신대 신학대학원장, 부총장, 총장대행을 역임했고, 현재는 총신대 신학대학원 명예교수로 한국기독교사연구소 소장으로 섬기고 있다. 1994년 저서 초대교회사로 제 1회 한국복음주의신학회 신학자 대상을, 1996년에는 죽산박형룡박사의 생애와 사상으로 한국기독교출판대상 우수상을, 2005년에는 한국기독교회사 1, 2로 총신학술상 최우수상을, 2006년 평양대부흥이야기로 한국기독교출판문화상 국내목회자료 부문 최우수상을, 그리고 2021년 성령의 복음으로 한국기독교출판문화상 신학국내 부문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저서로는 Korean Presbyterianism and Biblical Authority: The Role of Scripture in the Shaping of Korean Presbyterianism 1918-1953, 한국장로교사상사(1992), 죽산박형룡박사의 생애와 사상(1996, 이상 총신대출판부), 한국교회를 깨운 복음주의운동(두란노, 1998), 한국교회를 깨운다(1998), 평양대부흥운동(2000), 이 땅 부흥케 하소서(공저, 2004), 평양산정현교회(2006, 이상 생명의말씀사), 초대교회사(2016), 근대교회사(2016), 한국기독교회사 1, 2(2016), 3(2018), 세계부흥운동사 개정판(2016), 제주기독교회사(2017), 기독교역사와 역사의식(2018), 성령의 복음, 성령의 복음 입문(2020, 이상 한국기독교사연구소)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근본주의와 미국문화(생명의말씀사, 2004), 개혁주의 신학(한국기독교사연구소, 2017)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크리스찬 리폼드교회(CRC)에서 표현된 화란 신학에 대한 메이첸의 태도는 긍정적이다. 그는 1914년 칼빈신학교에서 강의하였으며, 1925년에는 특별히 그들의 기독교학교운동을 칭찬하면서 개혁교회를 매우 긍정적으로 썼다. 그는 칼빈신학교 교수 사무엘 볼비다(Samuel Volbeda)의 경건을 친찬하였다: “그의 경건은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신학의 기초가 결핍된 얄팍한 감정주의와는 다른 … 위대한 개혁주의 신앙에 깊이 뿌리 내려 있다.” 1930년 메이첸은 장로교의 소리 스테이트(the sorry state)를 화란의 개혁파 교회와 비교한 적이 있다: “화란에서 이슈는 분명히 직면하고 있었고 또한 정시에 직면하였다는 사실이다 … 칼빈주의자들 또는 복음주의자들이 국가교회에서 분리한 후 진실된 칼빈주의 교회를 설립하였다. 분명 그것은 그들이 신앙의 용기를 가졌기 때문이다. 그들은 진실된 교회 권징을 세우고 그것을 유지하였다.” 또한 메이첸은 훌륭한 교리적인 가르침과 훌륭한 교육제도에 의해서 지탱되고 있는 화란교회의 건장함을 보았다. 똑같은 강점은 “유명한 미국의 화란 크리스찬 리폼드교회”에서도 찾아 볼 수 있다고 기록하였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