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금강산 가는 길

금강산 가는 길

(우리 선현들의 명시 명문장)

전규호 (엮은이)
명문당
2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700원 -10% 0원
1,150원
19,5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4개 17,9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금강산 가는 길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금강산 가는 길 (우리 선현들의 명시 명문장)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한국시
· ISBN : 9791188020997
· 쪽수 : 448쪽
· 출판일 : 2019-07-10

책 소개

우리 선현들의 명시, 명문장을 엮은 책. 기행문은 동양의 신익성, 백호 윤휴, 목재 홍여하 순으로 순서를 잡았고, 시는 율곡의 장시를 위시하여 많은 선현들의 시를 기록하였다.

목차

들어가는 말

백파(白坡) 신헌구의 금강산 여행 여정표
백호(白湖) 윤휴의 금강산 여행 여정표
금강산(金剛山)의 유래
내외금강산 유람기 -신익성(申翊聖)
금강산 기행문 -윤휴(尹鑴)
금강산 유람기 -홍여하(洪汝河)
망양정기(望洋亭記 -이산해(李山海)
금강산에서 본 것을 기록하다 -이이(李珥)
합강정(合江亭)에 오르다 -황경원(黃景源)
합강정(合江亭)에서 현판 위의 시운을 차운(次韻)하다
낭교역(狼交驛)에 가는 도중에
연수파(延壽坡) -일명은 미시령(尾始嶺)이다
양양(襄陽)으로 가는 도중에
낙산사(洛山寺)
낙산사 중 -익장(益莊)
낙산사 -김부의(金富儀)
비를 만나서 모산(茅山)에 사는 진사 최명근(崔命根)의 집에서 자고, 자리 위에서 시를 지어 주었다
경포대(鏡浦臺)에서 현판 위의 시운을 차운하다
경포대(鏡浦臺)에서 《여지승람》 시에 차운하다 -윤증(尹拯)
경포대기(鏡浦臺記) -장유(張維)
청간정(淸澗亭)
청간정(淸澗亭) -최립(崔岦)
청간정(淸澗亭) -유몽인(柳夢寅)
건봉사(乾鳳寺)
건봉사(乾鳳寺)에 묵으며 빗소리를 듣고 -신흠(申欽)
총석정(叢石亭) 시운(詩韻)을 차운하다 -안축(安軸)
삼일포(三日浦)
삼일포(三日浦) -최립(崔岦)
다시 한 수를 더 짓다 -최립(崔岦)
삼일포 유람기 -홍여하(洪汝河)
풍악(楓嶽)으로 향하다
풍악산(楓嶽山)으로 돌아가는 승(僧)을 보내며 2수 -이산해(李山海)
신계(神溪)에 들어가다
비가 오므로 신계사神溪寺에 머무르다
신계사 -황경원(黃景源)
전의 시운을 써서 용허사(龍虛師)에게 주다
장난삼아 시를 지어 영하상인(映河上人)에게 주다
비 온 뒤 외금강에 가는 도중에 3수를 짓다
오선암(五仙巖)
앙지대(仰止臺)
앙지대(仰止臺) -이항로(李恒老)
옥룡관(玉龍關)
옥류동(玉流洞)
옥류동(玉流洞) -채제공(蔡濟恭)
옥류동 -황경원(黃景源)
비봉폭(飛鳳瀑)
험함을 기록하다
구룡연(九龍淵)
청학동(靑鶴洞) 구룡연기(九龍淵記) -허목(許穆)
단오일에 내금강산 도중에 3수를 읊다
도중에서 만형상인(萬亨上人)을 이별하다
칠보대(七寶臺)
보현동(普賢洞)에서
유점사(楡岾寺)
유점사에서 기록하다 -윤증(尹拯)
반야암(般若庵)
효운동(曉雲洞)
은선대(隱仙臺)
은선대(隱仙臺) -김정희(金正喜)
풍악만록(楓嶽漫錄) -홍여하(洪如河)
안문령(鴈門嶺)
묘길상(妙吉祥)
묘길상암(妙吉祥庵) -성현(成俔)
불지암(佛地庵)
마하연(摩訶衍)
마하연(摩訶衍) -김창협(金昌協)
만회암(萬灰庵)
백운대(白雲臺에서 운자(雲字)로 시를 짓다
가섭동(迦葉洞)
팔담을 지나 가섭동을 찾은 뒤 저녁에 마하연에서 묵다 -서영보(徐榮輔)
중향성(衆香城)
마하연에서 중향성을 바라보다 -황경원(黃景源)
보덕암(普德庵)
보덕암(普德庵)에서 2수 -남효온(南孝溫)
구담(九潭)에 대한 서문
화룡담(火龍潭)
화룡담(火龍潭) -허균(許筠)
선담(船潭)
구담(龜潭)
진주담(眞珠潭)
분설담(噴雪潭)
벽파담(碧波潭)
비파담(琵琶潭)
흑룡담(黑龍潭)
영화담(映花潭)
세두분(洗頭盆)
만폭동(萬瀑洞)
만폭동(萬瀑洞)에서 율곡선생의 시에 차운하다 -윤증(尹拯)
만폭동 어귀 -김창협(金昌協)
만폭동 -허균(許筠)
청호연(靑壺淵)
표훈사(表訓寺)
표훈사(表訓寺) -허균(許筠)
표훈사 -노수신(盧守愼)
표훈사 -조경(趙絅)
표훈사 -임춘(林椿)
표훈사 -김창흡(金昌翕)
표훈사 -박장원(朴長遠)
표훈사 -최창대(崔昌大)
정양사(正陽寺)
비 온 뒤에 정양사(正陽寺)에서 -최립(崔岦)
정양사에서 신광한(申光漢)의 시에 차운하다 -윤증(尹拯)
헐성루(歇惺樓)
이튿날 아침 비가 개어 헐성루에 오르다 -채제공(蔡濟恭)
천일대(天一臺)
천일대(天一臺) -황경원(黃景源)
백화암(白華庵)에서 완성법사(玩惺法師)에게 써서 주다
지장암(地藏庵)
지장암에서 -이의현(李宜顯)
옥경대(玉鏡臺)
장안사(長安寺)
장안사(長安寺)에서 묵다 -이곡(李穀)
장안사에 머물면서 읊다 -이규보(李奎報)
장안사 기행시 -허균(許筠)
장안사 입구에서 -최익현(崔益鉉)
장안사(長安寺) 벽의 이정李楨이 그린 영상화(影像畫)와 산수山水에 대한 노래 -허균(許筠)
장안사(長安寺)에서 고을을 나오면서 구호(口號)하다
장안사를 나가면서 -채제공(蔡濟恭)
그 두 번째 시
성의상인(性義上人)에게 주다 -곧 신계사 서기스님이 표훈사 서기 거문巨門과 같이 시종始終 따라다녔다.
거문(巨門)이라는 스님에게 주다
묵포령(墨浦嶺)
도중에서 고열(苦熱)이 있었다
밤에 회양부(淮陽府)에 들어가다
보리판(菩提坂)
보리판(菩提坂) -박태상(朴泰尙)
창도역(昌道驛)에서 밤에 집으로 보내는 서신을 쓰다
창도역(昌道驛)에서 자다 -임영(林泳)
창도역에서 -이민구(李敏求)
옥동(玉洞)의 창사倉舍에서 자다
옥동(玉洞)에서 시냇물이 불어나는 것을 보며 -김창협(金昌協)
길 떠나 이천에 이르러서 이윤복의 정사(精舍)에서 더위를 피했다
고우(苦雨)
아우의 고우시(苦雨詩)에 화답하다 -김돈중(金敦中)
양구의 늙은 기생이 객관에 백화주를 보내왔다
장마가 한 달 동안 개지 않아서 절구 한 수를 짓다
비 개인 날 회포를 읊다
노교점(蘆橋店)에서 자다
북관정[北寬亭(철원)]에서 포 연습함을 보다
김화(金化)에 가는 도중에
피금정(披襟亭)
피금정(披襟亭) -채제공(蔡濟恭)
피금정 석벽(石壁)에 어떤 무명씨(無名氏)가 쓴 시
피금정 박세당(朴世堂)
문소각기(聞韶閣記) -이민구(李敏求)
문소각(聞韶閣)
봉래각(蓬萊閣)
봉래각(蓬萊閣) -무명자(無名子)
관찰사 조구하(趙龜夏)가 밤에 춤을 보자고 청했다
청허루(淸虛樓)에서 두 조정의 어제(御製)의 시 추모하고 이어서 읊다
영월 보덕사(報德寺)
보덕사 누각에서 현판 위의 시에 차운하다 -홍직필(洪直弼)
금몽암(禁夢庵)
장릉[莊陵(단종의 릉)]을 봉심(奉審)하다
자규루(子規樓)
벽파령[碧坡嶺(계방산)]
벽파령(碧坡嶺) -정내교(鄭來僑)
도화유수관(桃花流水舘)에서 현판의 시운을 차운하다
백봉령(白峰嶺)
백봉령에 올라 -정범조(丁範祖)
산행(山行)하며 눈앞의 경치를 읊다
월송정(越松亭) -평해(平海)에 있다
망양정(望洋亭) -울진(蔚珍)에 있다
죽서루기(竹西樓記) -허목(許穆)
죽서루(竹西樓)
죽서루(竹西樓)에서 판상 시에 차운하다 -윤증(尹拯)
평릉역(平陵驛)에서 밤에 앉아서 비 오는 소리 듣다
구부(九夫)의 묘지에서 장난삼아 짓다
이른 봄을 추억하며, 2수
대관령(大關嶺)
대관령(大關嶺) -허균(許筠)
월정사(月精寺)
월정사(月精寺) -이행(李荇)
오대산 월정사에서 -이민구(李敏求)
중양일(重陽日)에 내원(內院)에 들어가다
사각(史閣)
중대(中臺)
금강연(金剛淵)에서 -우연히 시인 해사海史 조원교趙元敎를 만나서 잠시 앉아서 함께 읊다
밤에 길을 걸으며 읊다
진사 최병윤(崔秉潤의 내운정(萊雲亭)에서 읊다
도중에서 회포를 기술하다
흡곡(歙谷) 태수 박승현(朴承顯)공에게 부쳐서 올리다
다시 풍악(楓嶽)에 들어와 신계사(新溪寺)에서 잤다
유마암(維摩庵)
보운암(普雲庵)
보광암(普光庵)
만물초(萬物草)
양양(襄陽)의 김군수에게 풍악산 유람한 시를 주다
총석정(叢石亭)에 올라 통천(通川)의 이석신(李奭信) 태수에게 사례하다
추지령(楸池嶺)
회양(淮陽)에서 돌아오는 길에 다시 표훈사(表訓寺)에서 잤다
비 온 뒤에 장안사(長安寺)를 출발하였다. 많은 봉우리를 돌아보니 모두 눈 속이었다.
단발령(斷髮嶺)
단발령(斷髮令) 기슭에서 묵으며 -김창협(金昌協)
단발령(斷髮令) -이유원(李裕元)
단발령 -소재(蘇齋) 노수신(盧守愼)
단발령 -서하(西河) 임춘(林椿)
단발령 -또 한 수의 시
단발령 -또 한 수의 시
단발령 -서계(西溪) 박세당
단발령 -농암(農巖) 김창협(金昌協)
단발령 -구당(久堂) 박장원
단발령 -만정당(晩靜堂) 서명균(徐命均)의 ‘통구(通溝) 도중에’
단발령 -허원(許源)
원 상인(元上人)이 장차 풍악(楓嶽)을 유람하러 간다기에 시로써 증별하다 -권필(權韠)
도중에 자주 풍악(楓岳)이 어디쯤 있느냐고 물었더니 역졸(驛卒)이 구름에 가려 보이지 않는다고 대답하고 손으로 왼쪽으로 난 길을 가리키며 “여기가 산으로 들어가는 길입니다. 여기서부터 통구(通溝)에 이르고, 이어 단발령(斷髮嶺)에 이르기까지 백 리가 못 됩니다.” 하였다. 이에 입으로 스스로 읊다. -이정구(李廷龜)
성주암(聖住庵) -철원의 보개산(寶盖山)에 있다

저자소개

전규호 (엮은이)    정보 더보기
• 충남 부여 • 유년시 四書三經을 李佰勳선생께 師事 • 한국방송대학교 국문과를 졸업 •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원(졸). 문학 석사 • 제1기 동방서법탐원반3년 필업 • 동방연서회에서 金如初선생께 서예수학 ●전시(展示) 및 경력 • 국제서법예술연합 한국본부전 수회 출품 • 계간 서법탐원 초대 편집장 • 한중서법교류전 출품 (서울) • 한중문화인전 출품 (중국 상해) • 한일국제서도전 출품 (일본 동경) • 제1회 한국부채전 전시주관 (경인미술관) • 한국·싱가폴전 출품 (싱가폴) • 동방서법탐원전 수회 출품 (서울) • 동방연서회전 수회 출품 • 관인 하담서예한문학원 원장 역임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서예반 강사 역임 • 경기대학교 사회교육원 한문지도자반 강사 역임 •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동궁일기 번역〉 참여 • 사단법인 동방연서회 부설 동방서법탐원과정 장법학 강사(현) • 국제서법예술연합 한국본부 자문위원(현) • 동방서법탐원회 총회장(현) • 해동한문번역원 원장(현) ●저서(著書) 《書藝章法과鑑賞》,《書墨寶鑑》,《增補草書完成》,《똥장군》,《說文故事成語》,《예서장법》,《서예창작과 장법》,《서예감상과 이해》,《자원고사성어》,《안경 쓴 장승》,《에세이 천자문(前·後)》,《에세이 논어》,《에세이 명심보감》 외 多數 ●역서(譯書) 《水使公日記》,《雲汀遺稿,《柳村韓亨吉先生文集》,《光山府夫人葬禮日記》,《仁峰全承業先生遺稿》,《明倫錄》1권~6권,《樵山遺稿》,《龍巒先生文集》,《宜庵文集》,《영종동궁일기》,《한간당시자첩》, 《추사행서첩》,《추사해서첩》,《추사예서첩》,《추사간찰첩》,《사군자난첩》,《사군자매첩》,《사군자죽첩》,《사군자국첩》,《광개토대왕비첩》,《집자성교서》,《서보(上·下)》,《금문백련》,《우군초법지보》, 《다산행초첩》,《구성궁예천명》,《신사임당의 초서와 초충첩》 외 多數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