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장애아동 상담 및 부모교육의 실제

장애아동 상담 및 부모교육의 실제

(상담사례를 중심으로)

김미경 (지은이)
박영스토리
1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장애아동 상담 및 부모교육의 실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장애아동 상담 및 부모교육의 실제 (상담사례를 중심으로)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특수교육학
· ISBN : 9791188040841
· 쪽수 : 348쪽
· 출판일 : 2017-12-26

책 소개

우리 사회는 너무나 급박하게 변화하고 있고, 장애학생에 대한 배려는 말할 나위 없이 부족하다. 뿐만 아니라 우리 아이들이 보일 수 있는 다양한 심리적인 문제와 그로 인해 표출될 수 있는 여러 가지 행동상의 문제를 극복하고 도울 수 있는 부모 상담과 중재방법들 또한 부족한 실정이다.

목차

제1장 장애와 상담이론

1. 장애에 대한 심리적 적응과정 2
1) 초기단계 2
2) 중기단계 2
3) 후기단계 3
2. 상담이론 3
1) 정신분석 상담 3
2) 개인 심리학적 상담 4
3) 인간중심 상담 5
4) 형태주의적 상담 7
5) 합리적-정서적 상담 9
6) 현실적 상담 11
7) 행동적 상담 12
8) 신체심리적 상담 13
3. 대안적 상담 방법 14
1) 독서치료 14
2) 역할놀이 17
3) 상담에서의 창의적 미술과 활동 19

제2장 장애아동의 상담

1. 장애아 상담의 이해 25
2. 장애아 상담의 정의 26
3. 장애아 상담의 목적 27
4. 장애 상담의 방법 28
5. 장애아 상담의 유형 30

제3장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의 상담

1. 정 의 35
2. 진단 및 평가 35
1) DSM-5 기준 35
2) 평가 38
3. 원 인 39
1) 생물학적 요인 39
2) 심리사회적 요인 39
3) 기타요인 40
4. 중재 및 치료방법 40
1) 지도방법 40

제4장 품행장애의 상담

1. 정 의 48
1) 법적 관점 49
2) 심리적 관점 49
3) 정신의학적 관점 50
2. 진단 및 평가 50
1) DSM-5 기준 50
2) 품행장애 진단 및 평가를 위해 적용 가능한 도구 52
3. 원 인 53
1) 환경적 요인 53
4. 중재 및 치료방법 56
1) 지도방법 56
2) 중재방법 57
3) 치료방법 60

제5장 적대적 반항장애의 상담

1. 정 의 67
2. 진단 및 평가 67
1) DSM-5 기준 67
3. 원 인 69
4. 중재 및 치료방법 69
1) 지도방법 69
2) 중재방법 70

제6장 반응성 애착장애의 상담

1. 정 의 77
1) 증상 78
2) 특징 78
3) 반응성 애착장애와 자폐스펙트럼장애와의 비교 79
4) 유형 79
5) 유병률 81
2. 진단 및 평가 82
1) DSM-5 기준 82
3. 원 인 83
1) 병리적 양육 83
2) 부모의 위험요소 84
3) 생물학적 요소 84
4. 중재 및 치료방법 85
1) 지도방법 85
2) 중재방법 85
3) 치료방법 89

제7장 선택적 함구증의 상담

1. 정 의 99
2. 진단 및 평가 100
1) DSM-5 기준 100
2) 진단도구 101
3. 원 인 104
1) 내적 요인 104
2) 환경 요인 105
4. 중재 및 치료방법 105
1) 지도방법 105
2) 중재방법 106
3) 치료방법 109

제8장 틱 장애의 상담

1. 정 의 117
1) 운동 틱 117
2) 음성 틱 117
2. 진단 및 평가 118
1) DSM-5 기준 118
3. 원 인 119
1) 유전적인 원인 119
2) 뇌의 구조적/가능적 이상 119
3) 뇌의 생화학적 이상 120
4) 호르몬 120
5) 출산과정에서의 뇌손상, 뇌의 염증, 산모의 스트레스 120
6) 학습 요인 120
7) 심리적 요인 120
4. 중재 및 치료방법 121
1) 지도방법 121
2) 중재 및 치료방법 122

제9장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상담

1. 정 의 127
2. 진단 및 평가 127
1) DSM-5 기준 127
3. 원 인 130
4. 중재 및 치료방법 132
1) 지도방법 132
2) 중재 및 치료방법 135

제10장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상담

1. 정 의 141
1) 법적 정의 141
2) DSM-5의 정의 142
2. 진단 및 평가 143
1) DSM-5 기준 143
3. 원 인 149
1) 심리사회적 요인 149
2) 생물학적 요인 149
3) 인지적 요인 150
4. 중재 및 치료방법 151
1) 지도방법 151
2) 중재방법 154

제11장 학습장애의 상담

1. 정 의 163
1) 정의 163
2) 유형 및 특성 164
2. 진단 및 평가 167
1) DSM-5 기준 167
3. 원 인 171
1) 뇌손상 171
2) 유전적 요인 171
3) 정보처리 과정 요인 172
4) 신경생화학적 요소 172
5) 사회 및 환경적 요인 172
4. 중재 및 치료방법 173
1) 지도방법 173

제12장 언어장애의 상담

1. 정의 및 특성 191
1) 정의 191
2) 특성 191
2. 진단 및 평가 193
1) DSM-5 기준 193
2) 언어장애의 조건 196
3) 선별 및 진단검사 196
3. 원 인 198
1) 유전적 요인 198
2) 신경생리학적 요인 198
3) 정보처리과정 198
4) 환경요인 198
4. 중재 및 치료방법 199
1) 지도방법 199
2) 중재방법 200

제13장 조음장애의 상담

1. 정 의 207
2. 진단 및 평가 208
1) 선별검사 209
2) 진단검사 210
3) 조음음운 검사 도구를 통해 검사 결과를 분석하는 기준 210
4) 조음음운 오류 형태 211
3. 원 인 211
1) 기질적 원인 211
2) 기능적 원인 213
4. 중재 및 치료방법 214
1) 지도방법 214
2) 전통적 치료기법 216
3) 언어인지적 접근법 218

제14장 지적장애의 상담

1. 정 의 224
1) 정의 224
2) 유형 225
2. 진단 및 평가 226
1) 진단기준 226
2) 지능검사 227
3) 적응행동검사 229
3. 원 인 230
1) 생의학적 위험 요인 231
2) 사회적 위험요인 234
3) 행동적 위험요인 234
4) 교육적 위험요인 234
4. 중재 및 치료방법 235
1) 지도방법 235

제15장 선천성 백내장의 상담

1. 정 의 247
1) 법적 정의 247
2) 교육적 정의 248
3) 의학적 정의 248
2. 진단 및 평가 249
1) 객관적 검사 249
2) 주관적 검사 250
3) 기능시력 평가 251
3. 원 인 252
1) 각막 질환 252
2) 중막 관련 질환 253
3) 수정체 질환 253
4) 방수에 의한 질환 254
5) 망막 질환 255
6) 시신경 질환 256
7) 외안근 이상 257
8) 굴절 이상 258
9) 기타 질환 258
4. 중재 및 치료방법 259
1) 지도방법 259

제16장 선천성 녹내장의 상담

1. 정 의 269
1) 정의 269
2) 녹내장의 종류와 특성 270
3) 시각장애 판정기준-법적 정의(장애인복지법) 270
4) 방수에 의한 질환 271
5) 유아기 녹내장 271
6) 증상별 예측되는 눈질환 272
2. 진단 및 평가 272
1) 진단 및 평가 272
2) 유병률과 성차 273
3. 원 인 273
4. 중재 및 치료방법 275
1) 지도방법 275

제17장 난청의 상담

1. 정 의 290
1) 의학적 정의 290
2) 교육적 정의 290
3) 장애인 등을 위한 특수교육법 290
4) 장애인복지법의 정의 290
5) 청각장애 종류 291
2. 진단 및 평가 292
3. 원 인 298
4. 중재 및 치료방법 299
1) 지도방법 299
2) 중재방법 300
3) 아동의 청각 재활 302

제18장 청각장애의 상담

1. 정 의 308
1) 의학적(생리학적)인 정의 308
2) 교육적인 정의 308
3) 법적인 정의 308
2. 진단 및 평가 309
1) 병력 청취 및 아동 관찰 309
2) 청각장애 판정기준 309
3) 장애 정도에 따른 장애등급 310
4) 청각장애의 평가도구 310
5) 청각장애로 인한 언어장애나 언어발달지체가 있는 경우 진단기준과 평가도구 312
3. 원 인 316
1) 청각장애 316
2) 언어장애 317
4. 중재 및 치료방법 318
1) 지도방법 318
2) 중재방법 320

찾아보기 325

저자소개

김미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학 력 대구대학교 대학원 특수교육 정서‧행동장애아교육 전공(문학석사) 대구대학교 대학원 특수교육 정서‧행동장애아교육 전공(문학박사)   경 력 현) 세한대학교 특수교육과 교수응용분석학회(ABA)한국지부 상임이사한국정서‧행동장애교육학회 이사한국학습장애학회 이사한국발달장애학회 이사 한국직업재활학회 이사 논문 및 저서 -논문- ∙ 고기능 자폐아의 중앙응집(2009) ● ADHD SC-4에 의한 ADHD아동의 출현율 조사 연구(2010) ● 학령기 전 아동의 음운인식과 작업기억 구성요소간의 관련성 분석(2011) ● 4세-7세 유아의 음운인식능력발달특성에 대한 대(규모)집단 연구(2011) ● 북아트를 활용한 기본교육과정 국어과지도가 장애학생들의 국어과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2012) ●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중학생의 진로태도에 미치는 효과(2012) ● 기본교육과정 1-2학년군 국어과와 수학과 교과서의 적용실제와 과제요구(2013) ●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국어과 단일대상 중재연구의 동향(2013) ● 음운인식 중재가 읽기장애 아동의 뇌 활성화에 미치는 효과 연구(2013) ● 경도지적장애 학생들의 성지식과 성태도 인식 및 개선방안(2014) ● 발달장애아동의 문제행동실태 및 대처에 대한 조사연구(2014) ● 지적·발달장애 학생들의 성교육 실태조사(2015) ● 또래주도 놀이활동이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2015) 외 50여 편 -저서- ● 자폐범주성 장애아동교육(2011) ● 이상심리아동발달론(2011) ● 자폐범주성장애아동교육(2011) ● 행동지원지침서 전 4권(2011) ● 특수아동 부모교육 및 상담(2017) ● 정서 및 행동장애아 교육 제3판(2017) ● 장애아동 상담 및 부모교육의 실제(2017) ● 행동수정 및 긍정적 행동지원의 이해(2019)외 20여 편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