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다문화교육과 평생교육

다문화교육과 평생교육

(이론과 실제, 제2판)

김진희 (지은이)
박영스토리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000원 -0% 0원
660원
21,34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알라딘 직접배송 1개 11,400원 >
알라딘 판매자 배송 4개 10,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5,400원 -10% 770원 13,090원 >

책 이미지

다문화교육과 평생교육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다문화교육과 평생교육 (이론과 실제, 제2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학 일반
· ISBN : 9791188040865
· 쪽수 : 456쪽
· 출판일 : 2018-05-15

책 소개

제2판은 일부 구성과 내용을 새로운 논문으로 보강하였다. 전체적으로 가능한 통계 자료를 최근 데이터로 바꾸거나 추가하였다. 국가, 시민사회, 기업 등 다양한 주체들이 다문화교육을 추진하고 있는 양상을 평생교육학의 프리즘으로 분석하였다.

목차

Part 01 이론적 이해: 이론과 담론의 재편성

chapter 01 열린 평생학습사회와 교육체제의 변화 3
Ⅰ. 서론 4
Ⅱ. 학습사회가 상정하는 교육체제의 지형 변화 6
1. 평생학습과 교육체제 변화 의미 6
2. 학습사회 안에서 재구성되는 교육체제와 변화 8
3. 공교육 체제의 유연성 확보와 연계 강화 11
Ⅲ. 교육체제 재구조화를 위한 조건과 방향성 15
1. 교육 영토를 둘러싼 새로운 기획 15
2. 교사, 학습자, 공동체를 중심으로 한 교육체제 통합 16
3. 평생학습사회의 통합적 교육과정 18
4. 학교-사회-삶의 경계 넘기 24
Ⅳ. 결론 및 시사점 26

chapter 02 평생학습 담론과 다문화교육의 조우: 의미와 맥락 33
Ⅰ. 서론 34
Ⅱ. 평생학습에서의 다문화 담론: 이론적 고찰 39
1. 성인교육 논의에서 살펴본 평생학습과 다문화주의 지형 39
2. 경계선을 넘나드는 다문화적 학습 담론 42
Ⅲ. 학습사회의 관계와 소통 다원성: 시민사회와 참여적 시민 45
Ⅳ. 다문화주의에 기반한 평생교육 논의의 새로운 방향 49
Ⅴ. 결론 및 시사점 52
차 례

Part 02 다문화사회, 변화하는 평생교육 정책과 실제

chapter 01 외국 출신 이주민을 포용하는 평생교육 정책과 쟁점 63
Ⅰ. 서론 64
Ⅱ. 이주민 평생교육에 대한 개념적 이해와 동향 분석 66
1. 이주민 평생교육의 이념과 지향성에 대한 논의 66
2. 이주민 평생교육의 법적 기반과 준거에 대한 비판적 고찰 71
Ⅲ. 주요 부처별 이주민 대상 평생교육의 실제 75
1. 여성가족부의 추진 현황 76
2. 고용노동부 추진 현황 78
3. 안전행정부 추진 현황 80
4. 문화체육관광부 추진 현황 82
Ⅳ. 이주민 대상의 평생교육 쟁점과 논의 84
1. 평생학습 관점의 누락과 칸막이 구획화 84
2. 다문화의 딜레마와 평생교육 대상의 제약 86
3. 교육사업과 단위 프로그램의 내용적 한정 88
4. 이주민 대상 평생교육 통합방식의 모호성과 상호작용 부재 90
Ⅴ. 결론 및 시사점 92

chapter 02 국제결혼이주여성과 이주여성노동자의 교육 참여 현실 99
Ⅰ. 서론 100
Ⅱ. 이론적 배경 102
1. 이주의 여성화와 이주여성문제에 대한 비판적 이해 102
2. 이주여성의 교육과 사회 적응에 대한 논의와 실천 105
Ⅲ. 연구방법 109
Ⅳ. 분석결과 및 논의 112
1. 교육 참여의 현실과 한계 112
2. 평생교육의 역할과 과제 120
Ⅴ. 결론 및 시사점 126

chapter 03 지역사회 이주노동자 지원센터와 다문화학습 131
Ⅰ. 서론 132
Ⅱ. 평생교육담론과 다문화주의 논의: 이론적 고찰 140
Ⅲ. 평생학습의 다문화주의 맥락: 실제 탐색 144
1. 학습의 맥락: 타자화, 갈등 그리고 다문화적 학습 역동 144
2. 학습의 구성 양식과 학습 내용: 다원성을 통한 경험의 재구조화 150
3. 현상학적 해석: 존재, 관계, 그리고 다문화적 경험을 통한 성장 159
Ⅳ. 결론 및 시사점 163

chapter 04 성인학습자 대상 다문화교육의 실제와 쟁점 171
Ⅰ. 서론 172
Ⅱ. 이론적 배경 176
1. 평생교육과 다문화교육: 맥락과 접근 176
2. 성인대상 다문화교육: 목적, 대상 및 주체, 내용과 방법을 중심으로 178
Ⅲ. 성인대상 다문화교육의 실제 분석 186
1. 성인대상 다문화교육의 목적 186
2. 성인대상 다문화교육의 대상 및 주체 189
3. 성인대상 다문화교육의 내용과 방법 191
Ⅳ. 성인대상 다문화교육의 쟁점, 한계, 그리고 방향 194

chapter 05 한국 기업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전개 양상과 특성 201
Ⅰ. 서론: 문제제기 202
Ⅱ. 이론적 배경 203
1. 다문화주의와 기업에 대한 이해 203
2.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과 다문화를 둘러싼 논의 204
3. 다문화맥락에서 기업의 다양성 관리와 사회 통합 논의 205
Ⅲ. 연구대상 및 분석틀 206
1. 문헌분석 206
2. 자료선정과정 207
3. 자료분석과정 208
Ⅳ. 분석결과: 단계별 흐름 분석과 내용 쟁점 209
1. 한국 주요 기업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정책과 기조 209
2. 주요 기업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특성과 내용 214
3. 주요 기업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참여 대상 변화 추이 218
Ⅴ. 기업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한계와 시사점 220
1. 시대의 흐름을 수동적으로 따라가는 변방의 파편화된 프로그램 220
2. 다양성 관리와 유리된 기업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221
3.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참여 대상 및?효과의 표피성과 불투명성? 222
Ⅵ. 결론 및 시사점 223

Part 03 해외 다문화국가의 평생교육 현장과 사례

chapter 01 다문화주의를 둘러싼 서구 유럽의 갈등과 평생교육 231
Ⅰ. 서론 232
Ⅱ. 다문화주의와 다문화교육에 대한 이론적 이해 234
1. 이주, 다문화주의, 그리고 다문화교육 234
2. 통치 담론으로서의 다문화주의:
다문화주의 갈등을 이해하는 렌즈 236
Ⅲ. 다문화주의를 둘러싼 해외의 갈등 담론과 이슈 고찰 238
1. 주요 국가별 다문화주의를 둘러싼 갈등 담론 240
2. 해외의 다문화주의 관련 갈등과 소요 246
3. 호주의 난민 폭력 시위와 다문화주의를 둘러싼 긴장 253
Ⅳ. 한국의 다문화 갈등 상황과 다문화교육의 방향 256
1. 다문화주의 갈등의 일면: 외국인에 대한 목욕탕 차별 256
2. 한국의 다문화 갈등과 다문화교육 성찰 259
Ⅴ. 결론 및 시사점 261

chapter 02 영국의 중도입국 다문화가정 학생을 위한 교육지원 체계 271
Ⅰ. 서론 272
Ⅱ. 영국의 다문화가정 학생을 위한 교육 기조와 방향 274
1. 영국 다문화배경 학습자 지원을 위한 교육복지 기조 274
2. 영국의 중도입국 다문화가정 학생 현황 275
Ⅲ. 다문화가정 학생을 위한 교육지원체제 279
1. 중도입국 다문화 학생을 위한 교육지원 방안과 그 특징 279
2. 다문화배경을 가진 학생을 위한 학교 지원 방안 288
3. 교육지원체제 성공 사례 295
Ⅳ. 결론 및 시사점 300

chapter 03 캐나다의 이주민 정착 지원을 위한 교육 실제 311
Ⅰ. 서론 312
Ⅱ. 이론적 배경 312
Ⅲ. 연구방법 316
Ⅳ. 연구결과 317
1. 캐나다의 이주민 교육지원정책 특성:
다문화주의 모형과 간문화적 접근 317
2. 캐나다 연방정부의 이주민 지원과 커뮤니티 기반 교육적 접근 319
3. 캐나다 지방정부의 이주민 교육내용 및 프로그램:
프린스 에드위드 아일랜드를 중심으로 322
4. 이주민 교육의 주체, 수혜자 및 학습자: 교육 초점과 특성 324
Ⅴ. 결론 및 시사점 331

chapter 04 캐나다와 호주 전문대학의 성인 이주민을 위한 교육 실제 339
Ⅰ. 서론 340
Ⅱ. 이론적 배경 341
Ⅲ. 캐나다 전문대학의 이주민교육 현황 분석 344
1. 캐나다의 이주민 유입상황 및 실태 344
2. 캐나다의 이주민교육 정책 345
3. 이주민교육기관으로서의 캐나다 전문대학 역할 346
4. 캐나다 전문대학의 이주민교육 사례 347
Ⅳ. 호주 전문대학의 이주민교육 현황과 특성 350
1. 호주의 이주민 유입상황 및 실태 350
2. 호주의 이주민교육 정책 351
3. 이주민교육기관으로서의 호주 전문대학 역할 352
4. 호주 전문대학의 이주민교육 사례 353
Ⅴ. 결론 및 시사점 355

chapter 05 호주의 국제난민을 둘러싼 다문화담론과 이주민 교육 365
Ⅰ. 서론 366
Ⅱ. 다문화담론과 평생교육 논의 366
Ⅲ. 난민 이주민을 둘러싼 다문화담론의 양면성:
인도주의와 통치성 371
1. 인도주의적 이념(humanitarian ideology)으로서의 다문화주의 372
2. 국민국가의 통치성(governmanality)으로서의 다문화주의 375
Ⅳ. 난민 성인학습자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과 그 전개 378
1. 이주민을 위한 성인 영어교육 서비스: 정부의 공적 지원 378
2. 지역사회의 시민 의식 함양 프로그램:
시민사회의 다문화학습 저변 380
3. 정부-시민단체-학계의 연계 협력 움직임 383
4. 제한된 교육 접근성과 다문화담론의 실천 괴리: 한계와 과제 384
Ⅴ. 결론 및 시사점 388

chapter 06 호주의 국제난민 정착과 난민 이주민의 학습활동 실제 397
Ⅰ. 서론 398
Ⅱ. 초국경 이주와 평생학습 논의 401
Ⅲ. 연구방법 407
Ⅳ. 분석결과 409
1. 학습 맥락 및 과정: 분절을 통한 학습 역동 409
2. 학습 영역 및 내용: 소외, 성찰, 전환 416
Ⅴ. 결론 및 시사점 424

찾아보기 432

저자소개

김진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김진희는 교육학자로서 세계 70여 개 국가를 다니며 학술 강연, 현장 연구, 평가컨설팅 정책 자문, 교육컨설팅을 수행해왔다. 제70차 유엔(UN) 총회의 SDG 교육의제에 관한 한국 정부의 정책자문관을 비롯하여, 정부 채널로 개최되는 다자간 국제회의, 국제기구의 자문 회의에서 교육전문가로 활약하고 있으며, 정부, 대학, 시민단체가 수행하는 국제교육개발협력 실천 현장을 분석해왔다. 그동안 국제이주와 교육학이 교차하는 이론 연구와 실천 지형에 관심을 가지면서 다문화교육, 세계시민교육, 국제개발협력 연구에 매진해왔다. 이화여대 사회교육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교육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이후 영국 University of Surrey에서 「Border Crossing on Migrant Workers’ Lifelong Learning」으로 박사학위를 받고 단과대 최우수 박사논문상을 수상한 바 있다. 호주 연방정부의 신진 학자상(Endeavour Awards)을 수상해서 University of Technology Sydney의 기금교수로 재직하였고 남아프리카공화국 Free State University의 특임교수로 활동했으며, 현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위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안식년 동안 일본학술진흥회(JSPS)가 주관하는 우수학자상을 수상하여 규슈대학교 방문교수를 역임하고, 이탈리아 베로나대학교에서 활동하면서 다양한 교육세계를 경험하였다. 저서로는 「Transnational Migration and Lifelong Learning」, 「다문화교육과 평생교육」, 「글로벌시대의 세계시민교육」, 「다문화교육과 세계시민교육의 이론과 쟁점」, 「교육자를 위한 다문화교육과 세계시민교육 방법론」 등 58권의 논저가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896436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