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세계지리

세계지리

(경계에서 권역을 보다)

전종한, 김영래, 노재윤, 장의선, 천종호, 최재영, 한희경, 홍철희 (지은이)
사회평론아카데미
4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세계지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세계지리 (경계에서 권역을 보다)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지리학
· ISBN : 9791188108008
· 쪽수 : 760쪽
· 출판일 : 2017-03-08

책 소개

국내 세계지리 권위자들이 9년 연구 끝에 내놓은 새로운 표준의 세계지리 교과서. 지리를 전 세계 각 지역 인문, 역사, 정치 및 경제와 연결해 깊고 체계적으로 서술한다. 국내 저자가 집필하여 서구의 관점이 아닌 우리의 시선으로 바라보며, 피상적인 정보의 나열을 지양하고 세계지리를 넓고 깊게 분석한다.

목차

책을 펴내며 4

<1부 / 세계를 담는 개념들

1장 세계의 주요 권역과 경계들 24
권역으로 나눈 세계 25
권역이란 무엇인가? | 권역을 구분하는 지표들
세계의 10대 권역 28
10대 권역의 구분 지표 | 10대 권역의 개관
경계에서 바라본 세계 39
경계가 갖는 지리적 의미 | 세계의 주요 경계들



2장 세계지리의 주요 개념 44
세계를 바라보는 주요 개념들 45
다문화주의와 세계화 | 다문화주의 실패론과 문화 다양성 | 식민주의와 탈식민화 | 문화 제국주의와 문화 민족주의
세계를 이루는 사회문화적 단위들 53
국민국가와 민족(인종) | 문화 경관과 세계유산 | 보편 종교와 민족 종교 |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그리고 제3세계
세계화에 따른 환류 현상들 60
인구 분포의 지역 차와 이주 | 디아스포라 | 환경 문제


3장 세계지도와 세계관 66
최초의 세계지도들 67
고대 바빌로니아의 점토판 세계지도 | 최초의 경위선망 세계지도: 톨레미의 세계지도 | 최초의 인쇄본 세계지도: 고금화이구역총요도 | 최초의 도로망 안내도: 포이팅거 지도 | 최초의 바다지도: 포르톨라노 해도 | 실측에 기초한 최초의 해양 세계지도: 칸티노 세계지도 | 아메리카 대륙을 나타낸 최초의 세계지도: 발트제뮐러 세계지도 | 최초의 아틀라스: 오르텔리우스 세계지도집
동서양의 세계지도와 세계관 82
고대의 세계관 | 중세 동양과 서양의 세계관 | 정치를 품은 세계지도: 중국의 「곤여만국전도」와 영국과 프랑스의 「북아메리카 대륙 지도」
세계지도와 권력: 관점이 다르면 지도 표현도 다르다 100
메르카토르 지도: 과학적 제작의 배후에 자리한 권력 | 피터스 지도: 응답하라 ‘소외된 대륙들’ | 다양한 관점의 세계지도


4장 세계의 대지형 106
조산대란 무엇인가 107
세계지리와 조산대 | 조산대와 안정지괴
주요 산맥들의 형성과 신기 조산대 111
판 경계의 유형 | 신기 조산대 | 신기 조산대의 지리적 의미
고기 조산대 130
주요 고기 조산대 | 고기 조산대와 석탄
안정지괴 138

5장 세계의 기후 140
기후와 지형 141
기후를 구성하는 요소 141
기온 | 바람 | 강수
세계의 기후지역 149
저위도 열대 기후(A) | 건조 기후(B) | 중위도 온대 기후(C) | 중위도 대륙성 냉대 기후(D) | 고위도 극 기후(E)



<2부 / 권역으로 나눈 세계

6장 동부아시아 179
세계의 인구 중심에서 경제 중심이 되다 181
지역별 범위와 경계 | 중국의 지역 구분 | 일본의 지역 구분 | 한반도와 몽골의 지역 구분
지형 및 기후 환경과 인간 생활 188
지형적 특색과 인간 생활 | 기후적 특색과 인간 생활
역사지리: 국가들의 형성 195
인구 분포와 민족(인종) 구성 202
인구의 분포 패턴과 취락 경관 | 민족(인종) 구성과 문화 경관
정치지리: 영토 분쟁과 독립 문제 214
국가별 영토 분쟁 | 소수 민족들의 독립 문제
자원과 산업, 그리고 경제 교역 220
지하자원과 주요 산업 | 지역 경제의 세계화
환경 문제와 삶의 질 231
자연재해와 환경 문제 | 사회 복지와 삶의 질


7장 동남아시아 239
다양성 속에서 통일을 꿈꾸다 241
지역별 범위와 경계
지형 및 기후 환경과 인간 생활 242
지형적 특색과 인간 생활 | 기후적 특색과 인간 생활
역사지리: 국가들의 형성 247
동남아시아 국가의 형성 과정
민족(인종) 구성과 문화 경관 255
다양한 민족(인종)과 언어 255
인구 분포와 도시 266
인구 분포 패턴 | 도시의 특징
정치지리: 정치 체제와 지역 분쟁 274
동남아시아의 정치 체제 | 지역별 분쟁
자원과 산업, 그리고 경제 교역 283
지하자원과 주요 산업 | 지역 경제의 세계화
환경 문제와 삶의 질 290
자연재해와 환경 문제 | 사회 복지와 삶의 질

8장 남부아시아 295
풍부한 인구 속에서 피어나는 잠재력 297
지형 및 기후 환경과 인간 생활 297
지형적 특색과 인간 생활 | 기후적 특색과 인간 생활
역사지리: 국가 형성과 민족 구성, 그리고 문화 302
남부아시아 국가들의 형성 과정 | 남부아시아의 종교와 언어
인구 분포와 도시 311
인구의 분포 패턴 | 도시의 특징
자원, 에너지, 그리고 주요 산업 313
지하자원과 공업 | 농업 | 주요 산업
환경 문제와 삶의 질 322
자연재해와 주요 환경 문제 | 사회 복지와 삶의 질

9장 서남아시아와 북부 아프리카 325
열사(熱砂)의 땅, 세계의 에너지를 책임지다 327
지역별 범위와 경계 | 지형 및 기후 환경과 인간 생활 329
역사지리: 영토 형성과 민족 구성 331
인구의 분포와 밀도 337
인간 거주에 불리한 환경 | 인구 조밀 지역
도시 분포 및 특성 341
고대 도시 | 이슬람 도시 | 현대적 도시와 그 그늘
자원, 에너지, 그리고 주요 산업 343
농목업 | 관개농업 | 풍부한 석유자원
정치지리: 지정학적 문제와 과제 349
아랍과 이스라엘의 갈등 | 아랍의 민주화 운동 | 수단의 내전과 남수단의 분리 독립 | 쿠르드 족의 독립 의지
환경 문제와 삶의 질 365
수자원 확보를 위한 노력 | 개발의 그늘 | 경제적 지역 차 | 여성의 사회활동

10장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371
인류의 요람에서 젊음의 샘이 되다 373
지형 및 기후 환경과 인간 생활 376
지형적 특색과 인간 생활 | 기후와 식생 및 토양
역사지리: 영토 형성과 민족 구성 383
유럽 인 유입 이전의 아프리카 | 유럽 인들의 아프리카 진출 | 아프리카의 종교와 언어 | 수천 개의 부족과 언어
인구 분포의 특성 394
인구 구성의 특징 | 각종 질병과 에이즈
주요 교통로와 도시 발달 401
교통로와 사회간접자본 | 주요 도시의 특징
자원, 에너지, 그리고 주요 산업 405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곳 | 아프리카의 자원
정치지리: 부족 간 분쟁과 지역 통합을 위한 노력 409
소말리아 내전 | 동부 아프리카 대호(大湖) 지역 분쟁 | 통합을 위한 노력
환경 문제와 삶의 질 416
열대림 파괴 | 사막화 | 여성의 역할 | 아프리카 속의 이방인 ‘마다가스카르’


11장 유럽 427
분열에서 통합으로, 부활을 꿈꾸다 429
지형 및 기후 환경과 인간 생활 430
지형적 특색과 인간 생활 | 기후적 특색과 인간 생활
역사지리: 영토 형성과 민족 구성 435
유럽의 민족 분포 | 상업 자본의 형성 | 제국주의의 확대와 전쟁 | 유럽연합의 결성
인구 변화와 분포 특성 441
유럽의 인구 증가와 변천 | 인구의 분포 | 인구의 이동
주요 도시와 교통로의 발달 448
도시 | 교통
자원과 주요 산업 452
농업 | 공업
환경 문제와 삶의 질 457

12장 러시아와 그 주위 국가들 459
거대한 동토의 땅, 철의 장막을 걷어내다 461
지형 및 기후 환경과 인간 생활 462
지형적 특색과 인간 생활 | 기후적 특색과 인간 생활
역사지리: 영토 형성과 민족 구성 478
영토의 형성 | 소비에트 정권의 수립 | 민족 구성
인구의 변화와 분포 특성 481
인구의 변화 | 인구 분포
주요 교통로와 도시의 발달 485
교통 | 도시
자원, 에너지, 그리고 주요 산업 490
자원 및 에너지 산업 | 중화학 공업 및 군수 산업 |금속 공업 | 경공업 및 소비재 공업 | 농업 | 서비스업
환경 문제와 삶의 질 495
대기오염 | 수질오염 | 원자력 발전소와 핵폐기물 처리 문제

13장 북아메리카 499
다양한 민족들이 꿈꾸는 아메리칸 드림 501
지형 및 기후 환경과 인간 생활 503
지형적 특색과 인간 생활 | 기후적 특색과 인간 생활
역사지리: 영토 형성과 민족 구성 510
유럽 인의 유입과 정착
인구 분포와 민족(인종) 구성 516
주요 교통로와 도시의 발달 521
교통 | 도시
자원과 주요 산업 531
농업 | 공업 및 자원 | 서비스 산업
환경 문제와 삶의 질 538
벌채 | 유전 개발 및 지하자원 채굴 | 도시화와 대기오염 | 관개 농업과 수자원 문제 | 유해 폐기물

14장 남아메리카 543
다양성 속에서 잠재력을 발견하다 545
지형 및 기후 환경과 인간 생활 546
지형적 특색과 인간 생활 | 기후적 특색과 인간 생활
역사지리: 영토의 형성 552
유럽 인의 유입 | 독립 이후의 정치·경제적 불안정
민족(인종)의 구성과 문화 경관 558
민족(인종) 분포의 특징 | 문화 경관
인구 분포와 밀도 562
주요 도시의 발달 563
자원, 에너지, 그리고 주요 산업 565
농업 | 공업 | 경제 발전과 신자유주의
환경 문제와 삶의 질 574
주요 환경 문제 | 사회 복지와 삶의 질

15장 호주와 오세아니아 577
섬에서 대륙으로 인정받다 579
지형 및 기후 환경과 인간 생활 580
지형적 특색과 인간 생활 | 기후적 특색과 인간 생활
역사지리: 사람들의 거주화와 영토화 584
다양한 원주민의 거주화 과정 | 유럽계 백인의 유입 및 정착 과정
인구 분포와 민족(인종) 구성 588
인구의 분포 패턴과 취락 경관 | 민족(인종) 구성과 문화 경관
정치지리: 독립 국가의 형성과 정체성 문제 594
독립 국가의 형성과 국경 | 지역 정체성과 국가 정체성 사이의 긴장
자원과 산업, 그리고 경제 교역 598
지하자원과 주요 산업 | 지역 경제의 세계화
환경 문제와 삶의 질 602
자연재해와 주요 환경 문제 | 사회 복지와 삶의 질


<3부 / 경계에서 바라본 세계

16장 카리브 해의 섬나라들: 다인종, 다문화의 융합 공간 608
지정학적 중간 수역 609
다양 보편성의 크레올 문화, 그 배경과 성장 과정 613
식민지 경험과 그 이후의 지역 패권 | 외래 민족(인종)의 유입과 ‘크레올’ 문화의 형성 | 타협과 혼합의 산물인 크레올 어와 카리브 해의 정체성
식민지형 이식 산업이 낳은 도시·경제의 이중 구조 623
인구의 분포 패턴과 취락 경관 | 독립 문제와 지역 경제의 현안 | 주요 산업의 변화와 주민 생활

17장 지중해: 대륙과 해양의 중간 지대 632
문명의 교차로, 지중해 지역 633
이중주의 바다, 지중해 639
바다에서 올라온 육지 | 건조한 바람과 습한 바람의 교차 | 다툼과 융합의 장
경계 속의 경계, 지중해 지역의 작은 지역들 653
지중해 북부 연안: ‘남부 유럽의 네트워크’ | 지중해 동부 연안: ‘레반트 지역’ | 지중해 남서부 연안: ‘마그레브’

18장 캅카스: 다양한 문화의 집적 지역 662
캅카스, 다양한 문화의 집적지 663
지리적 요충으로서의 지정학적 위치 | 자연환경과 사람들의 삶
캅카스의 사람들 666
다양한 민족과 디아스포라 | 종교와 언어의 지역적 차이
캅카스 지역의 주요 국가 670
캅카스 지역의 독립 국가들 | 국가 안의 또 다른 국가: 엔클레이브

19장 중앙아시아: 문명들의 통로 680
광활한 스텝과 사람들의 삶 681
중앙아시아의 위치와 범위 | 스텝을 바탕으로 한 삶과 문화
중앙아시아의 민족과 문화 686
다양한 혼혈 민족들 | 전통 문화의 특징과 변화
중앙아시아의 주요 국가 692
중앙아시아의 독립 국가들과 지역 경제 | 독립 이후의 민족 간 갈등과 과제

20장 북극해와 남극 대륙: 국제 정치의 새로운 무대 698
북극해와 북극권의 자연환경 699
북극권에 사는 원주민들 | 지구온난화와 북극 빙하의 융해 | 북극해의 지정학과 국제 정치
남극 대륙과 남극권 711
남극 대륙의 자연환경 | 남극 대륙의 지리적 탐험 | 남극 대륙을 둘러싼 국제 정치와 각국의 영유권 주장 | 남극 대륙의 자원 개발 문제와 관광 사업


세계지리 용어집 723
통계로 본 세계 734
참고 문헌 738
찾아보기 752

저자소개

노재윤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 유신고등학교 교사 고려대학교에서 지리교육학을 전공하였고,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지리 영역 전문가 자문위원을 지냈다.
펼치기
장의선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선임연구위원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에서 지리교육학을 전공하였고, 한국교원대 학교, 경희대학교 대학원 등에서 강의하였다.
펼치기
천종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에서 태어나 자랐다. 지리가 좋아서 들어간 대학에서 지리가 얼마나 흥미롭고 유익한 공부인지를 깨달았고 답사의 재미도 배웠다. 학술 답사를 다니면서 우리 국토의 의미와 아름다움을 느꼈으며 책에서 미처 배우지 못한 많은 것들을 터득했다. 그리고 지리 공부에 평생을 투자해도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고려대학교 지리교육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과정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교단에 서서 중·고등학생들을 가르치며 지리 수업과 지리학의 대중화에 대해 끊임없이 고민했다. 틈틈이 답사를 다니면서 우리 국토에 대한 관찰과 생각을 글과 사진으로 꾸준히 정리해왔다. 교직 생활을 하면서 고려대학교 대학원 지리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했고, 전근대 시대에서 산업화 시대를 거쳐 정보화 시대에 이르기까지 지역의 변화를 고찰한 「국토종합계획과 중부지방 서해안의 지역 변화」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지역지리학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은 만큼 앞으로 지역을 소재로 다양한 글을 쓰고 대중에게 지역의 의미를 좀 더 쉽게 설명하는 지역칼럼니스트로 활동하는 것이 꿈이다. 중학교 『사회』 교과서(두산동아, 공저)를 집필했으며, 『세계지리 : 경계에서 권역을 보다』(사회평론, 공저)를 저술했다. 고려대학교와 서울교육대학교에서 강의했으며, 현재 서울 용문고등학교에서 교사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최재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 서라벌고등학교 교사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지리교육학을 전공하였고, 한국교육과정평 가원의 교과서 검정위원을 지냈다.
펼치기
한희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 세종특별자치시 교육정책연구소 교육연구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에서 지리교육학을 전공하였고, 한국교원 대, 충남대, 서울교대 대학원 등에서 강의하였으며, 연세대학교 특 임 교수를 지냈다.
펼치기
홍철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 대전과학고등학교 교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에서 환경교육학을 전공하였고, EBS 지리 영역 교재 집필위원을 지냈다.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