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트렌드/미래전망 > 트렌드/미래전망 일반
· ISBN : 9791188200306
· 쪽수 : 452쪽
· 출판일 : 2018-01-15
책 소개
목차
서문_그래서, 우리는 더 행복해질 수 있는 걸까
프롤로그_한국과 4차 산업혁명
1부 산업 혁명Industrial Revolution
스마트 금융 _로봇이 투자상담을 하는 시대가 멀지 않았다
스마트 공장 _산업의 전통과 현상을 뒤엎는 도전
스마트 에너지 _생산 중심에서 효율적 소비로의 전환
스마트 물류 _당신의 다음 배송기사는 로봇
푸드 테크 _연구실 밖으로 나온 식탁
스마트 팜 _허수아비 대신 센서 사용하는 스마트 팜
재난 관리 _발생 가능한 재난까지 대비한다
인터뷰 4차 산업혁명의 전도사, 클라우스 슈밥 인터뷰
2부 라이프 혁명Life Revolution
진단 _ 미래엔 컴퓨터가 의사를 대신할까
치료 _불치병이 없는 세상이 온다
피트니스 _초개인화 시대의 맞춤형 서비스
스마트 자동차 _주인 없이 스스로 달리는 자율주행자동차의 시대
스마트 시티 _더 안전하고, 더 멋진 미래의 도시
스마트 홈 _나만의 집사, 나만의 스피커
초연결 사회의 보안 _우리에겐 더 많은 울타리가 필요하다
인터뷰 독일 인더스트리 4.0 이끈 헤닝 카거만 인터뷰
3부 문화 혁명Culture Revolution
엔터테인먼트 _인공지능이 예술작품 창작도 할 수 있을까
번역 _미래에는 인간 통역사가 사라질까
교육 _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실은 어떤 모습일까
스마트 쇼핑 _AI가 추천하고, 가상공간에서 쇼핑하는 미래
뷰티 앤 사이언스 _얼마나 예뻐질 수 있는지 VR로 확인해볼까
법률 _인공지능 변호사가 로펌에 들어가다
특별 대담 4차 산업혁명, 이게 실화다
에필로그 2030년의 사랑과 이별
리뷰
책속에서
《코리아중앙데일리》가 SK플래닛 M&C부문(현 SM C&C 광고사업부문)에 의뢰해 20~59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80퍼센트는 4차 산업혁명으로 삶이 더 편리해질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4차 산업혁명이 삶을 더 행복하게 만들까”라는 질문에는 60퍼센트가 “아니다”라고 답했다.
응답자의 70퍼센트 이상은 4차 산업혁명이 자신의 일자리를 위협할 것으로 예상했다. 절반 정도(48%)는 4차 산업혁명에 대해 “들어는 봤지만 잘 모른다”고 답했으며, 10명 중 3명(30%)은 “관심을 갖고 있다”고 했다. SK플래닛 온라인 설문조사 플랫폼 ‘틸리언’ 사업팀 오남경 씨는 “‘알파고 쇼크’ 이후 사람들 사이에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인식이높아지고 있긴 하지만 그에 따른 일자리에 대한 불안 역시 큰 것으로 보인다”며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행복하지 못할 것으로 보는 것은 그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설문조사 결과, 사람들은 첨단 의료기술을 가장 많이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1퍼센트가 첨단 의료기술을 가장 기대하고 있다고 답했으며, 그다음으로는 운전자 없이 도로주행이 가능한 자율주행차(22%), 인공지능에 의한 자동번역(18%)의 순이었다. VR과 개인 로봇 기술에도 관심을 갖고 있었다.
로보어드바이저 대중화는 미국의 사례에서 보듯 한국의 밀레니얼 세대(1980~2000년 사이에 태어난 세대)를 자산관리 시장으로 끌어들이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로보어드바이저의 타깃 고객은 젊은 층과 자산 규모 1억~10억 원 사이, 혹은 그보다 적은 중산층이다. 더 부유한 고객에 초점을 맞춘 기존의 투자 회사들이 간과했던 그룹이다.
로보어드바이저 회사 ‘파운트’의 최병길 이사는 “현재 프라이빗뱅커 PB들은 적어도 6억 원 정도의 자산이 있는 고객이라야 상담할 시간을 내준다. 하지만 우리는 좀더 광범위하고 젊은 고객들, 즉 현재 자산 규모는 작아도 향후엔 커질 수 있는 잠재력 있는 고객을 주목하고 있다. 우리의 목표는 월 10만 원을 맡기는 고객에게 자산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한국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국내에는 총 12개 종류의 로보어드바이저 펀드가 운영되고 있다. 로보어드바이저로 운영되는 총 자산 규모는 2,000억 원 정도로 추정된다. 미국과 비교하면 매우 적지만, 서비스가 허용된 지 1년밖에 되지 않았다는 점을 감안하면 상당한 규모다.
유진투자증권은 한국의 로보어드바이저 시장 규모가 2020년까지는 눈에 띌 만한 성장을 보이지 않다가, 2021년에는 6조 원, 2025년에는 46조 원 규모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스마트 금융〉
위콘이라고 불리는 울랄라랩 장비는 최대 4개의 센서들로부터 정보를 수집해 인터넷으로 클라우드에 기반한 윔엑스 스마트 공장 플랫폼으로 자료를 전송한다. 플랫폼을 통해 분석된 자료를 직원들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를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한다.
제이앤에치택은 울랄라랩 솔루션을 도입한 이후 작업에 걸리는 시간과 에너지 소비가 줄었다고 평가한다. 제이앤에치택의 박리권 생산관리팀장은 “울랄라랩의 솔루션 도입 이후 기계와 설비들의 상태를 관리하는 것이 훨씬 편리해졌다. 따로 정리하지 않아도 수집된 데이터를 문서화해주기 때문에 고객들에게 공장의 성과를 보여주기에도 용이하다”고 말했다. 제이앤에치텍 도입 이전 울랄라랩은 정부와의 협력 사업을 통해 2015년 11월 현대자동차 협력사에 윔팩토리 솔루션을 도입한 바 있다.
플랫폼 도입 3개월 후 기존 18퍼센트에 달하던 공장의 불량률은 8퍼센트로 떨어졌다. 이는 매달 2,000만 원의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다.
-〈스마트 금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