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91188836529
· 쪽수 : 544쪽
· 출판일 : 2020-02-28
목차
제1부 발전전략 이론과 문화
제1장 국가 제도와 문화 17
제1절 서론 17
제2절 문화와 정치·행정 체제 20
1. 문화와 제도 21
2. 다원주의, 사회조합주의, 국가조합주의 국가별 사례 28
3. 문화이론 37
4. 문화와 정치·행정 체제의 개념 41
5. 정치·행정문화의 연구 접근법 43
6. 발전이론과 문화의 관계 47
7. 발전과 관련된 이론 51
제3절 결론 59
제2장 발전전략 이론 61
제1절 근대화이론 61
1. 개념 61
2. 근대화이론과 기능주의 63
3. 근대화이론과 자유주의 64
4. 비판 68
제2절 종속이론 69
1. 개념 69
2. 종속이론과 자본주의 70
3. 종속이론과 구조주의 72
4. 비판 73
제3절 세계체제이론 77
1. 개념 77
2. 세계체제이론과 구조주의 79
3. 세계체제이론과 종속이론 80
4. 비판 81
제4절 결론 82
제2부 국가조합주의 국가
제3장 중국 89
제1절 서론 89
제2절 중국의 정치와 행정 91
1. 중국 공산당 92
2. 중국의 행정 체제 101
제3절 중국의 개혁개방 정책 103
1. 덩샤오핑의 이념 104
2. 개혁정책 105
제4절 중국의 정치·행정 이데올로기 112
제5절 중국의 경제 116
1. 중국의 경제 발전 과정 117
2. 중국의 경제 성장 배경 123
3. 중국의 4차 산업혁명 124
4. 시진핑 시대의 경제정책 126
제6절 중국의 사회 128
1. 중국의 소수민족 128
2. 중국 사회의 문제 129
3. 중국의 사회정책 131
제7절 중국의 문화 132
1. 일반 문화 133
2. 정치·행정문화 136
3. 호프스테드의 문화이론으로 살펴본 중국 139
4. 후쿠야마 이론으로 살펴본 중국 문화 141
5. 현대 중국 정치문화의 특징 142
제8절 결론 147
제4장 일본 149
제1절 서론 149
제2절 일본의 정치 150
1. 의원내각제 150
2. 국회 152
3. 1955년 체제의 성립과 붕괴 153
4. 일본의 정치 체제와 과정 155
제3절 일본의 헌법 158
1. 일본 헌법의 개념, 내용, 특성 159
2. 일본 헌법의 구성 160
제4절 일본의 행정 161
1. 일본 공무원제도의 형성, 발전, 개혁 161
2. 제2차 세계대전 이전과 이후의 관료제도 162
3. 일본의 행정 체제와 기구 164
4. 일본의 행정개혁 168
5. 일본의 행정구역 169
제5절 일본의 지방자치제도 170
1. 지방분권의 추진 171
2. 지방분권의 특징 172
제6절 일본의 경제 173
1. 일본의 경제개혁 173
2. 일본의 경제 현황 174
제7절 일본의 사회 176
1. 일본의 인구구조 176
2. 일본의 사회보장제도 177
3. 일본의 교육제도 178
제8절 일본의 문화 179
1. 일본의 문화에 영향을 미친 역사적 배경 179
2. 행정문화 187
3. 정치문화 189
4. 일반 문화 192
제9절 결론 193
제5장 대만 195
제1절 서론 195
제2절 대만의 정치와 행정 196
1. 대만의 정치 약사 197
2. 중앙정부 체제 199
3. 외교 관계 200
4. 대만 차이잉원의 탈중국화정책 201
5. 차이잉원의 탈중국화정책의 함의 202
6. 대만의 행정 203
제3절 대만의 경제 205
1. 대만 경제의 역사 207
2. 식민통치하의 근대화 207
3. 대만 경제의 발전 208
4. 대만 경제의 특성 211
제4절 대만의 사회와 문화 218
1. 대만의 문화에 영향을 미친 역사적 배경 218
2. 사회 동향 및 특징 220
3. 대만의 NGO 221
4. 발전행정과 문화 225
제5절 대만의 발전전략 229
제6절 결론 230
제6장 베트남 232
제1절 서론 232
제2절 베트남의 개요 233
제3절 베트남의 정치와 행정 236
1. 베트남공산당 236
2. 베트남 국가주석 239
3. 베트남 국회 240
제4절 베트남의 경제 241
1. 경제제도의 핵심인 소유제도의 변천 과정 241
2. 도이모이 정책 242
3. 베트남의 경제 동향 245
4. 베트남의 개발전략 246
5. 경제 성장의 성과와 문제점 248
제5절 베트남의 문화 250
제6절 결론 254
제7장 싱가포르 256
제1절 서론 256
제2절 싱가포르의 정치 258
제3절 싱가포르의 행정 259
제4절 싱가포르의 정치·행정문화 263
1. 정치문화 263
2. 행정문화 264
제5절 리콴유 총리의 정책 265
1. 포용, 화합을 중시하는 정책 265
2. 경제적 성장을 위한 정책 266
제6절 싱가포르의 경제 273
1. 싱가포르 경제의 성장 요인 274
2. 싱가포르 개방경제 체제의 특징 275
3. 싱가포르 경제 전망과 과제 278
제7절 싱가포르의 문화 279
1. 싱가포르사회의 문화적 특성 279
2. 싱가포르사회와 사회적 자본 281
제8절 결론 282
제3부 사회조합주의 국가
제8장 독일 287
제1절 서론 287
제2절 독일의 정치와 행정 288
1. 독일의 정당 체제 290
2. 독일의 기본법 293
3. 독일의 정치구조 294
제3절 독일의 주권 회복 이전과 이후의 경제 성장 300
1. 주권 회복 이전의 경제 성장(1947~55년) 300
2. 주권 회복 후의 서독(1955~73년) 302
제4절 독일의 경제구조와 정책 305
1. 경기 침체 요인 308
2. 경제개혁 정책 310
3. 독일의 사회적 시장경제 311
4. 독일의 균형과 조화의 경제구조 316
5. 독일의 제조업 경제력 321
6. 독일의 사회제도 324
제5절 독일의 문화 328
1. 독일의 정치·행정문화 329
2. 독일의 인문·사회문화 335
제6절 독일의 통일 338
1. 독일 통일 환경 339
2. 독일 통일 방법 340
3. 독일 통일 후유증 342
제7절 결론 346
제9장 프랑스 348
제1절 서론 348
제2절 프랑스의 정치와 행정 349
1. 프랑스의 입법과 헌법 349
2. 프랑스의 정당과 선거제도 351
3. 프랑스의 내각과 행정 355
제3절 프랑스의 경제 360
제4절 프랑스의 문화 363
1. 프랑스의 문화에 영향을 미친 역사적 배경 363
2. 프랑스의 행정문화와 일반 문화 366
제5절 결론 370
제10장 노르웨이 372
제1절 서론 372
제2절 노르웨이의 정치와 행정 373
1. 입법부 374
2. 행정부 379
3. 사법부 386
제3절 노르웨이의 경제 388
1. 노르웨이의 경제 현황 388
2. 노르웨이의 경제·산업 정책전략 390
제4절 노르웨이의 사회 및 문화 393
1. 사회복지제도 393
2. 양성평등정책과 문화 394
3. 호프스테드의 문화이론으로 살펴본 노르웨이 396
4. 문화정책 397
제5절 결론 399
제11장 스웨덴 402
제1절 서론 402
제2절 스웨덴의 정치 404
1. 스웨덴 정치문화의 특성 404
2. 스웨덴 사민당과 사민주의 405
3. 스웨덴의 선거제도 406
제3절 스웨덴의 행정 408
1. 행정 체제와 구조 408
2. 행정부의 역할과 특성 410
제4절 스웨덴의 경제 412
1. 스웨덴 조세 413
2. 스웨덴 패러독스 414
제5절 스웨덴의 사회·교육·문화 417
1. 스웨덴의 사회 417
2. 스웨덴의 교육 417
3. 스웨덴의 문화 420
제6절 스웨덴의 정책 모델 422
제7절 결론 425
제12장 핀란드 428
제1절 서론 428
제2절 핀란드의 정치와 행정 430
1. 입법부 430
2. 행정부 434
3. 사법부 438
4. 지방행정 439
5. 핀란드의 공공 거버넌스 440
제3절 핀란드의 경제 441
1. 핀란드 경제의 위기 과정 441
2. 핀란드 경제의 주요 특징 444
제4절 핀란드의 복지와 교육 446
1. 핀란드 복지제도의 특징과 현황 446
2. 핀란드의 교육 448
제5절 핀란드의 문화 451
1. 핀란드의 교육문화 451
2. 핀란드의 일반 문화 452
3, 핀란드의 정치문화 454
4. 호프스테드의 문화이론으로 살펴본 핀란드 456
제6절 결론 457
제4부 다원주의 국가
제13장 미국 463
제1절 서론 463
제2절 미국의 역사와 문화 이념 464
1. 자유주의 문화 이념 464
2. 공화주의 문화 이념 465
제3절 미국의 정치문화 466
제4절 미국의 경제 468
제5절 미국의 사회·문화 470
1. 개인주의 470
2. 다문화주의 471
제6절 미국의 행정 471
1. 미국의 행정문화 474
2. 미국의 행정학 발전사 475
3. 미국의 자유주의 문화 478
제7절 결론 482
제14장 영국 483
제1절 서론 483
제2절 영국의 정치와 행정 485
1. 행정부 485
2. 입법부 487
3. 사법부 490
4. 영국의 정당 491
5. 영국의 행정이론과 문화 496
제3절 영국의 경제 500
1. 개요 500
2. 경제 동향 501
제4절 영국의 사회와 문화 503
1. 영국의 종교 503
2. 영국의 복지 504
3. 영국의 경제문화, 종교문화, 정치문화, 행정문화와 부패와의 관계 506
4. 영국의 신뢰사회 512
제5절 결론 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