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대륙을 꿈꾸는 자 한시를 읽어라

대륙을 꿈꾸는 자 한시를 읽어라

김필년 (지은이)
산과글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개 29,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대륙을 꿈꾸는 자 한시를 읽어라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대륙을 꿈꾸는 자 한시를 읽어라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고전漢詩
· ISBN : 9791189024024
· 쪽수 : 330쪽
· 출판일 : 2018-05-20

목차

들어가는말

1장 도연명 陶淵明 (365~427)
1. 「음주 飮酒 제5수」 : 30자에 담은 인생 최고의 철리哲理
2. 「귀거래사 歸去來辭」 : 도가적 전원생활 속의 기쁨과 깨우침
3. 「음주 飮酒 제1수」, 「책자 責子」 : 도가적 전일성全一性과 달관
4. 유가적 가치와 명예욕 : 지독한 가난 속에서 절개를 지키다( 「영빈사 詠貧士」 등)
5. 「음주 飮酒 제14수」 : 술, 열락 悅樂, 물아일체
6. 죽음 : 너무나 인간적인 전원 시인(「육체, 그림자와 정신 形影神」)
7. 결어 : 꿋꿋하고 청정한 삶과 소박하고 꾸밈없는 시작 詩作 (「귀원전거 歸園田居」)

2장 두보 杜甫 (712~770)
1. 「강촌 羌村 제3수」 : 두보, 공자의 길(인仁 )을 좇다
2. 「강촌 江村」 : 유교적 이상정치의 요체 要諦
3. 「객지 客至」, 「월야 月夜」 : 두보의 인간미
4. 두보의 ‘이력서’ : 죽는 날까지 고수한 유교적 이상
5. 시 詩 속에 유교 정신을 구현하다 (「서울에서 봉선현으로 가서 읊은 오백자의 감회」)
6. 「춘망 春望」 : 절망적 상황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다
7. 「삼리 三吏」, 「삼별 三別」 : 전쟁의 참상을 고발하다
8. 「촉상 蜀相」 : 냉혹한 현실, 비장한 눈물
9. 시의 형식에 대해서
10. 「등고 登高」 : 위대한 자연, 늙고 병든 나그네
11. 「악양루에 올라(登岳陽樓)」 : 늙고 병든 몸, 비장한 눈물을 흘리다
12. 「곡강 曲江 제1수」 : 군자의 타락(?)
13. 두보 (「망악 望嶽」) vs 백락천 (「풀(草)」)
14. 결어 : 시성 詩聖 두보 (「강한 江漢」)

3장 이백 李白 (701~762)
1. 유교적 야망, 신비적 경험 그리고 다양한 작품세계
2. 섬세한 정감의 시인 (「녹수곡 綠水曲」, 「옥계원 玉階怨」 등)
3. 이백, 고향을 떠나 넓은 세계로 나가다 (「아미산월가 峨眉山月歌」, 「망여산폭포 望廬山瀑布」 등)
4. 좌절, 도가적 삶, 현실참여와 탈세속적 이상 사이의 갈등
(「산중여유인대작 山中與幽人對酌」, 「산중문답 山中問答」 등)
5. 「장진주 將進酒」 (「술을 권하다」) : 유교적 가치를 비웃다 그러나 그 이상에서 벗어날 수는 없었다
6. 대망 待望의 관직을 얻다. 그리고 크게 실망하다.
7. 「월하독작 月下獨酌」 : 도가적 황홀경으로 날아오르다
8. 「파주문월 把酒問月」 : 전 우주적 공감대를 형성하다
9. 나라를 근심하며 전 중국을 유랑하다 (「등금릉봉황대 登金陵鳳凰臺」 등)
10. 「조발백제성 早發白帝城」 :
죽음의 문턱에서 살아와서 도가적 전일성全一性을 읊다
11. 시선의 말년 : 대붕 大鵬, 날개가 꺾이다

4장 왕유 王維 (701~762)
1. 시불 詩佛 왕유
2. 두 개의 이별시
3. 「수장소부 酬張少府」 (「장소부에게 답하노라」) : 들어보라, 어부의 노래 소리를!
4. 불교의 근본적 가르침에 대하여
5. 불교적 진리 vs 기독교적 진리(왕유와 프로스트)
6. 「과향적사 過香積寺」 (「향적사를 찾아가다」) : 깨달음에 대한 열망
7. 불교의 높은 경지를 시에 담아내다(「신이오 辛夷塢」, 「녹채 鹿柴」, 「조명간 鳥鳴澗」 등 )
8. 인간 왕유(「송별 送別」, 「죽리관 竹里館」)
9. 왕유의 산수자연시(「난가뢰 欒家瀨」)
10. 「산거추명 山居秋暝」 (「산 속의 가을 저녁」) : 선택이 없는 자유로운 삶


후기 그리고 감사의 말

저자소개

김필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 법대를 졸업하고 독일 보쿰대 사학부에서 「막스 베버의 후속 연구로서의 동·서 문명 비교론 - 중국과 서구에서의 정치, 경제, 자연과학 및 문학의 상이한 발달에 대한 규명」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동·서문명과 자연과학 (까치, 1992)』, 『자본주의는 왜 서양 문명에서 발전했는가 (범양사, 1993)』, 『시련과 적응. 보편사적 시각에서 이해한 중국 문명 (분도출판사, 2001)』, 『권력적 사회와 반권력적 혁명들 (한국디지틀도서관포럼, 2010)』, 『공자의 그물 (산과글, 2016)』 등의 저서가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