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김대건 : 한국 최초의 순교 사제

김대건 : 한국 최초의 순교 사제

(역사와 문학)

유홍종 (지은이)
서연비람
9,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8,820원 -10% 2,500원
490원
10,83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김대건 : 한국 최초의 순교 사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김대건 : 한국 최초의 순교 사제 (역사와 문학)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인물
· ISBN : 9791189171490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23-04-14

책 소개

김대건 신부는 1857년 9월 23일 교황 비오 9세에 의해 가경자의 칭호를 받았고, 1925년 7월 5일에 성인 위에 오르셨다. 로마교황청에서는 매년 7월 5일을 성 김대건 신부의 축일로 정하고, 그날이 되면 교우들은 김대건 신부님을 위한 기도와 묵상을 한다.

목차

머리말

제1장
등산포 일기
추억의 그림자
골배마실에서 만나다
하느님은 누군가
금지된 하늘
성 이그나시오의 순교
샤스땅의 편지
마카오의 신학교
커다란 종이호랑이
국경에서 만난 밀사
어서, 일어나 걸어라
만주 횡단

제2장
뱃길을 열어라
나침반과 항해지도
요나의 돛배
땅에서 맺힌 것은 땅에서 풀어라
내가 너를 선택했다
라파엘 호의 표류
숨어있는 마을
서로의 천사가 되다
주여 당신이름
나무 조각에 붙은 영혼
붉은 포승줄
세계지도를 바치다
김대건 구명 탄원서
사랑하는 형제여

김대건 해설
김대건 신부 연보
김대건을 전후한 한국사 연표
참고문헌

저자소개

유홍종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 국문과를 졸업하고, 기독교방송 프로듀서와 동아일보 출판국 기자를 거쳐, <월간문학>에서 『달빛소리』로 제14회 시 부문 신인상을 수상했으며, <현대문학>에서 소설 추천으로 문단에 데뷔했다. 이어 장편소설 『불의 회상』으로 대한민국 문학상 소설 신인상(1984년)과 중편소설 『서울에서의 외로운 몽상』으로 제5회 소설문학 작품상(1986년)을 받았다. 주요 저서로는 장편소설 『서울무지개』 『추억의 이름으로』 『카인의 도시』 『조용한 남자』 역사소설 『아사의 나라』 가톨릭 수도자의 고행을 그린 『수녀 아가다』와 『유리열쇠』를 펴냈다. 창작집으로는 『불새』 『죽은 황녀를 위한 파반느』 『북가시나무』 『슬픔의 재즈』가 있고, 다큐멘터리 소설 『명성황후』 『새롭게 읽는 김대건이야기』 외 한국천주교 순교사를 정리한 『왕국의 징소리』 1권, 2권. 붓다의 득도 과정과 영적 생애를 정리한 『붓다가 길을 묻다』, 안중근의 가톨릭 신앙과 항일 독립전쟁을 추적한 전기소설 『하얼빈 리포트』를 출간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마카오에 있는 그림이 그려진 봉투 석 장, 여덟 쪽 병풍 그림이며 구리로 만든 요강 세 개, 조선에서 순교한 서양 신부님들의 유품이 든 누런 주머니, 이머 스승 리바 신부에게 보내는 조선의 한지 스무 장, 조선 그리빗 세 개, 붓 네 개가 든 꾸러미도 들어있었다.
김대건 신부가 항해 도중 세필로 그린 조선지도는 훗날 1855년 파리 왕립도서관에 입수되어, 프랑스의 「지리학회지」에 발표되었다. 프랑스 생 마르탱 생 마르탱: 프랑스의 성인 수도자.
의 「세계지리사전」에는 <김대건의 조선전도> 원본이 수록되어 있고, 그 지도는 현재는 파리국립도서관 지도부에 소장된 품목이다. 김 신부는 중국 선장들과 얘기가 잘 되어 만주에서 조선 입국을 애타게 기다리고 있는 매스트르 신부와 최양업 부제를 모셔 올 수 있는 길이 열릴 것을 기대했다. 그들은 그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소청도와 대청도를 거쳐서 등산포로 다시 귀항했다.


그 해 1836년 봄, 모방 신부는 교우들이 숨어 사는 산골 골배마실 골배마실: 지금의 경기도 용인특례시 처인구 양지면 남곡리.
에서 소년 김재복을 처음 만났다. 김대건 신부의 어린 시절 이름은 김재복이었지만 훗날 조부가 그에게 큰 뜻을 세우라는 뜻으로 이름을 김대건으로 바꾸어주었다. 당시 은이 마을의 공소에서 미사 첨례를 하던 김대건 신부의 아버지 김제준 이그나시오는 모방 신부로부터 해외에 유학시킬 신학생을 찾고 있다는 말을 듣게 된다. 그때 마침 아들을 신학교에 보내고 싶었던 그는 아들을 모방 신부에게 데려갔다.
“바로 이 애가 제 아들 김재복입니다.”
모방 신부는 소년 김재복이 착하고 성실한 데다가 순교자의 핏줄을 이어받은 자손이라는 데 깊은 인상을 받았다. 당시 15살이었던 김재복은 이미 아버지로부터 신학교 얘기를 들어서 알고 있어서 남몰래 마음속으로 그 꿈을 키우고 있었다. 그는 모방 신부를 만나자 가슴이 뛰었다. 골배마실에서 조부로부터 한문을 배우고 있던 산골 소년 김재복에게 모방 신부는 하늘이 보내준 전령이나 다름없었다.


조선에서 천주교 박해에 나선 좌우정 이지연은 김효임, 김효주를 비롯하여 허계임, 홍금주 등 양반 가문의 딸 십여 명을 전격적으로 참수시켰다. 앵베르 주교와 두 서양 선교사를 자수시키기 위한 압박하기 위해 교우들을 계속 희생시키겠다는 뜻이었다. 앵베르 주교는 교우들의 희생을 숨어서 지켜볼 수가 없었다. 더 많은 희생자가 나오기 전에 어떻게든 손을 써야 했다. 마침내 앵베르 주교는 모방 신부와 샤스탕 신부를 청나라로 보내고 혼자 자수할 결심을 굳혔다. 하지만 두 신부는 앵베르 주교에게 결코 조선을 포기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먼저 배교자 김순성의 밀고로 포졸 5명이 일꾼으로 위장하고 앵베르 주교를 찾아왔다. 자수를 결심하고 있던 앵베르 주교는 포졸들의 붉은 밧줄을 순순히 받았다. 좌포도청 손계창은 그를 정치범을 체포할 때만 쓰는 붉은 밧줄로 포박해서 연행했다. 모방 신부와 샤스탕 신부가 각기 새 은신처를 찾아 떠난 후에야 이미 체포되어 감옥에 있던 앵베르 주교로부터 한 통의 편지를 받았다. 그 편지는 라틴어 전문으로 씌어있었다.
「무릇 착한 목자는 자기 양들을 위하여 목숨을 바칩니다. 신부님들께서 아직 배를 타지 않으셨다면 좌포장 손계창에게 자수하기를 바랍니다. 교우는 한 사람도 따라오게 해서는 안 됩니다.」
앵베르 주교는 교우들이 사제로 인해서 계속 죽어가는 모습을 지켜보면서 얼마나 가슴이 아팠는지 알 수 있다. 포청에서는 모방 신부와 샤스탕 신부를 체포하기 위해 앵베르 주교를 압박하는 수단으로 교우들을 대신 계속 처형시키고 있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