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트렌드/미래전망 > 트렌드/미래전망 일반
· ISBN : 9791189347086
· 쪽수 : 392쪽
· 출판일 : 2021-04-05
책 소개
목차
저자의 말
프롤로그
제1부 구독 비즈니스 이해하기
제1장 구독의 구조
복리식 사고방식의 힘
구독 모델의 비즈니스 논리
전통적인 비즈니스와 구별되는 구독 순환
상품 중심이 아닌 서비스 중심의 구독 사고방식
구독 모델의 혁신적인 가치
제2장 구독 비즈니스를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상품-시장의 적합성: 스타트업의 성장 기초 평가
단일 고객의 경제성: 수익력 평가
순환매출: 재무적 타당성 평가
고객 이탈: 비즈니스 지속성 평가
제3장 구독은 전통 산업을 어떻게 바꿀 것인가?
가치 창조, 전달, 획득 삼위일체의 협동 가치사슬
진정한 ‘고객 중심주의’ 시대의 개막
소유권에서 사용권으로, 새로운 렌탈경제 시대의 개막
비즈니스를 한 차원 높이는 데이터와 알고리즘을 통한 운영
구독 모델의 지수적 성장은 순이익의 증가를 이끈다
제2부 10가지 디지털 구독 모델
제4장 디지털 콘텐츠 구독 서비스
첫 번째 모델: DB 모델
넷플릭스 스토리: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로 영상 산업 시장의 판도를 바꾸다
두 번째 모델: 유료 콘텐츠 구독 모델
뉴욕타임스 스토리: 신문 업계의 모범적인 디지털 유료 구독 모델이 되다
제5장 클라우딩 구독 서비스
세 번째 모델: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세일즈포스 스토리: 클라우드로 소프트웨어 산업의 생태계를 바꿔놓다
네 번째 모델: 서비스형 플랫폼(PaaS)
트윌리오 스토리: API 경제가 만들어낸 클라우드 통신의 공룡
다섯 번째 모델: 서비스형 인프라(IaaS)
알리바바 클라우드의 창업자 왕젠이 말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제6장 구독제 전자상거래
여섯 번째 모델: 상품 추천 모델
스티치 픽스 스토리 : 구독으로 패션 리테일을 재정의하다
일곱 번째 모델: 공유옷장 모델
렌트 더 런웨이 스토리: 의류 렌탈이 일으킨 패션 혁명
여덟 번째 모델: 주기적 소모품 모델
잎시 스토리: 인플루언서의 영향력을 적극 활용해 뷰티 전자상거래의 정상에 서다
제7장 특수한 구독 모델들
아홉 번째 모델: 멤버십 패키지 모델
아마존 프라임 스토리: 원스톱 솔루션이 만들어낸 아마존 제국
열 번째 모델: 회원 네트워크 모델
정허다오 스토리 : 고급 회원 네트워크로 비즈니스 인맥 플랫폼을 재정의하다
제3부 구독으로의 변혁과 전환
제8장 창업자: 구독 서비스를 어떻게 구동할 것인가?
핵심 가치 제안은 고객의 불만을 해소하는 솔루션을 제시하는 것
최소기능제품을 통한 가치 제안의 빠른 검증
시드 유저를 확보하고 운영해 시장에서 상품이 정착되도록 한다
PMF 평가와 최적화를 통해 규모화 성장의 초석을 닦다
슈퍼휴먼 스토리: PMF를 통해 제품의 셀링포인트를 찾아내다
제9장 혁신가: 전환으로 생겨난 격차를 어떻게 뛰어넘을 것인가?
창업자의 선택: 전환할 것인가, 전환하지 않을 것인가?
성장형 사고방식으로 변화를 추구하라
업계에 대한 통찰력과 장기적 안목, 명확성이 담긴 전략적인 전환 목표를 세우라
전면적 전환을 통해 고객 중심의 기업 문화를 구축하라
이중모델 운영은 전환을 위한 한 방법이다
협력과 개방, 구독 비즈니스를 성공으로 이끄는 해법
밍위안윈 스토리: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업체에서 SaaS 서비스 업체로의 탈바꿈
제10장 전망: 구독이 어떤 업종을 변화시킬 것인가?
구독 모델의 충격에 취약한 업종의 특징
TV: ‘동영상 스트리밍+구독’을 통한 혁신 추구
디지털 음악: ‘음원 스트리밍+구독’을 통한 혁신 추구
노동 및 전문 서비스: ‘인력 플랫폼+구독’을 통한 전통적인 고용 시스템의 혁신
온라인 교육: 구독을 통해 서비스의 본질로 돌아가다
정보와 통신: 구독을 통해 소프트웨어 업계의 비즈니스 논리가 완전히 바뀌다
리테일: 구독제 전자상거래가 개인화 소비 혁신을 이끌다
참고문헌
리뷰
책속에서
미래학자 엘빈 토플러(Alvin Toffler)는 21세기를 소비문화의 세기라고 정의했다. 1980년 이후 태어난 이른바 MZ세대가 소비문화의 중심으로 등장함에 따라 자아의식의 각성은 개인화 소비라는 새로운 물결을 일으켰고, 사용자 경험을 가장 우선시하는 소비 형태로 이어졌다.
개인화 소비의 주요 특징은 크게 세 가지다. 첫째, 사용자 경험은 상품 기능과 똑같이 중요한 요소다. 상품의 기능만을 따지던 소비 방식에서 점차 사용성, 환경 보호, 건강성, 사용자 친화적 등 사용자 경험을 중시하는 경향으로 바뀌었다. 둘째, 사용자의 심리에 대한 상품의 투사 효과가 더욱 뚜렷해지고, 상품의 유행·문화 속성과 실용성이 똑같이 중요하다. 사용자에게 상품은 기능성과 실용성에 대한 니즈를 만족시켜 주는 매개체다. 뿐만 아니라 특정한 심리를 반영한 결과물로서의 역할이 더욱 강조되면서 상품이 대표하는 유행 및 문화적 품질이 더욱 중시되고 있다. 셋째, 쇼핑 또는 서비스 경험은 소비의 중요한 일환이 되었다. 사용자가 점차 쇼핑 또는 서비스 경험을 중시함에 따라 쾌적한 쇼핑 환경, 섬세한 서비스 태도, 편리한 전자상거래 지불 방식, 신속한 물류 배송 등이 중요해지고 있다.
-프롤로그
구독 순환에서 양질의 구독 서비스는 양질의 순환매출을 이끌고, 양질의 순환매출은 기업이 더 나은 고객 서비스를 제공하는 밑거름이 된다. 이러한 논리에 따라 고객이 만족스러워할 만한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해 줄 수 있는 능력이 고객 유지율을 직접적으로 결정하게 된다. 고객 유지율은 입소문 효과를 만드는 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기업의 신규 고객의 전환율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건전하고 지속적인 발전이 가능한 구독 비즈니스는 ‘양질의 서비스-높은 고객 만족도-높은 사용율-높은 유지율-좋은 입소문-높은 전환율’이라는 선순환을 형성하게 된다. 이는 구독제 기업이 전력을 다해 추구해야 하는 목표다. 그렇다면 이를 어떻게 이룰 것인가?
그 비결은 바로 운영에 있다. 전통적 기업이 마케팅 시스템에 주로 의존하는 것과 달리, 구독제 기업은 운영 중심의 사고방식을 세우고, 강력한 운영 시스템을 구축해 지속적으로 서비스 및 사용자 운영을 통해 핵심 운영 지표를 최적화함으로써 고객 유지율과 전환율을 높여야 한다.
-제1장, 구독의 구조_상품 중심이 아닌 서비스 중심의 구독 사고방식
고객생애가치(Life Time Value, LTV)는 고객이 상품 또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총 기간 내에서 기업이 획득하는 모든 경제적 수익의 총합을 가리킨다. 구독 비즈니스에서 고객생애가치는 반드시 중요시해야 하는 지표다.
서비스 가입자당 평균 수익이 고객의 단기적 가치를 획득하는 기업의 능력을 대표한다면, 고객생애가치는 고객의 장기적 가치를 획득하는 기업의 능력을 대표한다고 할 수 있다. 서비스 가입자당 평균 수익이 고객생애가치의 기반이라면 고객생애가치는 서비스 가입자당 평
균 수익의 확장된 결과다. 그리고 이 두 가지 요소를 결합해야 구독제 기업이 건전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꾀할 수 있다.
아마존은 자사의 프라임 회원이 서비스를 이용한 첫해 갱신율이 90%에 달한다고 공개했다. 이는 프라임 회원의 유지율이 매우 높다는 의미다. 프라임 회원의 갱신 기간이 길어질수록 그 고객생애가치는 증가한다.
-제1장, 구독의 구조_구독 모델의 혁신적인 가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