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목회일반
· ISBN : 9791189393380
· 쪽수 : 264쪽
· 출판일 : 2024-06-20
책 소개
목차
추천사
들어가면서
앞에서 읽는 부록
1부 / 도시에 꽃핀 킹덤처치
01 호랑이 굴에 들어가기
호랑이 굴에 왜 들어갔을까? / 교회의 현실을 마주하다 / 복음이 말하는 대로 행동하지 않는 그리스도인 / 새로운 교회 운동의 모토 : 신앙과 삶의 일치 / 신앙과 삶의 일치가 가능하려면
02 도시 교회의 4대 비전
도시 속에 건강한 공동체 세우기 / 세상을 하나님나라로 회복하는 미래의 지도자 세우기/ 복음을 전하는 선교 / 이웃을 사랑하는 복지 / 하나님나라의 복음을 이해하고 실천하는 공동체
03 전통을 새롭게 계승하는 교회
전통을 따르지 않는 교회의 성장 / 한계 극복을 위한 실험 / 하나님나라를 누리며 확장하는 교회가 되려면 / 성도들의 삶이 열매다 / 성도의 삶에 나타나는 변화
04 킹덤처치의 다섯 가지 핵심 사역
교회의 영적 성장을 위한 다섯 가지 방법 / 회중 예배 / 소그룹 예배 / 이웃 봉사 / 다양한 기도회 / 단기사역 프로그램 / 다양한 사역의 동력
2부 / 새로운 교회 운동을 담아내는 킹덤처치
05 왜 새로운 교회 운동인가?
벤 토레이 신부와의 만남 / PD수첩에 적힌 한국 교회 / 몸으로 느끼는 위기의 실체 / 문제를 해결할 유일한 길 / 새로운 교회 운동의 현실적 플랫폼
06 킹덤처치란 무엇인가?
교회 때문에 상처받은 믿음 / 교회에 대한 믿음의 회복 / 왜곡된 복음을 품은 교회 / 하나님나라의 복음이란? / 하나님나라와 교회의 관계 / 킹덤처치를 세 가지로 정리하면
07 킹덤처치와 교회 개척
이상과 현실의 차이 / 킹덤처치와 교회 개척의 관계 / 새로운 지역을 향한 교회 개척 : 과거의 패러다임 / 새로운 세대와 대상을 향한 교회 개척 : 새로운 패러다임
3부 / 킹덤처치, 이렇게 준비하라
08 킹덤처치를 위한 목회자의 준비
터 파고 건물 세우기 / 개척의 소명의식이 분명한가? / 잘못된 교회 개척의 동기 / 자신만의 목회 철학과 비전이 있는가? / 개척 멤버 구성과 재정 마련 / 지역 선정과
09 도시 자체를 분석하라
눈 덮인 들판에 길을 내기 / 도시의 새로운 세대를 주목하라 / 도시민의 전반적 특징 / 교회는 도시 사람을 어떻게 섬길 것인가?
10 도시의 젊은 세대를 분석하라
신인류의 등장과 킹덤처치 / 한국의 ‘젊은 세대’는 누구인가? / 한국 젊은 세대의 세 가지 특징
11 도시의 문화를 분석하라
문화를 변혁하는 복음 / 도시 젊은 세대의 4가지 문화 특징 / 변화를 수용하는 탈권위적 리더십 / 새로운 사명을 위한 새로운 리더십
4부 / 킹덤처치를 구현하는 양육과 훈련
12 킹덤처치의 양육과 훈련 프로그램
공짜는 없다 / 세 가지 양육 프로그램(기독교 신앙 교육, 성경 교육, 생활 교육) / 다양한 훈련 프로그램
13 새로운 교회 운동을 위한 킹덤처치
건강한 교회 : 킹덤처치 / 새로운 교회를 개척하는 이유 / 교회가 다시 세상 유일의 소망이 되기 위하여
뒤에서 읽는 부록 1
뒤에서 읽는 부록 2
돌아보며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 시대 우리의 유일한 대안은 기존의 권위를 넘어 성경을 따라 교회의 타락을 바로잡으려 했던 종교개혁정신 그 자체다. 종교개혁자들은 당시 교회의 윤리적 문제(면죄부 판매와 베드로 성당 건축을 통해 드러난 물질에 대한 욕망)의 근원이었던 신학적 문제(연옥과 보속에 대한 가르침, 지옥에 가지 않기 위한 행위 강조 등을 통한 은혜의 왜곡)를 성경과 씨름하며 바로 잡고, 그 신학적 토대 위에서 교회의 방향성을 재설정했다.
하나님나라를 가시적으로 구현하는 공동체가 바로 교회다. 이 세상 속에서 교회는 결코 하나님나라는 아니지만, 하나님의 구원 사역의 결과이자 목적인 하나님나라가 교회를 통해 가시적으로 구현된다. 하나님나라가 가시적으로 구현되는 공동체인 교회의 구성원은 그 안에서 하나님나라를 맛본다. 미리 체험하는 것이다. 그리고 세상에 하나님나라를 드러낸다.
교회 개척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성경적인 동시에 시대를 품는 사역에 대한 소명을 받아, 자신의 지역에서 사역하는 비전을 세우는 일이다. 그리고 그 사역의 비전을 구현하는 교회를 세우기 위해 목회자가 가진 자원을 가지고 어떤 방식으로 사역할지 결정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