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우리의 삶과 예술

우리의 삶과 예술

한국동양예술학회 (지은이)
활자공간
5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우리의 삶과 예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우리의 삶과 예술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대중문화의 이해 > 미학/예술이론
· ISBN : 9791189414153
· 쪽수 : 603쪽
· 출판일 : 2023-08-25

책 소개

학회지 『동양예술』에 게재된 많은 논문 중에서 우리들의 삶과 예술세계를 조명하고 있는 여러 편의 글을 가려모아 한 권의 서책으로 엮은 것이다. 전통적 심미의식과 그 예술적 체현에 관해 다시 한 번 일깨워 주자는 데그 의의와 목적이 있다 하겠다.

목차

미학
김규철     비선형 패러다임 시대의 동양예술 창의성 고찰     ・・・・・12
김인환     신화적 공간의 개연성과 역동적인 미학적 매트릭스 : 복희 여와_이야기     ・・・・・28
박상원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인체비례도」와 퇴계 이황의 「천명도』 비교     ・・・・・48
조민환     동양예술 창작론에 나타난 「우연성」에 관한 연구     ・・・・・58
최다은     퇴계 매화시에 나타난 소박미 담론     ・・・・・72

서예
김병기     초서의 흥기와 서「예」화의 상관관계 연구     ・・・・・86
김응학     「태극건곤』의 서화미학적 고찰     ・・・・・106
문정자     17, 18C 동국진체의 제특성에 관한 고찰     ・・・・・120
박주열     서위의 이단적 서예심미의식 고찰     ・・・・・134
송수현     롤랑바르트의 「글쓰기의 영도」로 본 창암 서예의 발속     ・・・・・150
송하경     21세기 신서예미학 정신     ・・・・・166
이종선     자율성과 소통가능성으로서 예술론에 관한 연구     ・・・・・182
장지훈     고운 최치원의 「풍류」와 「해운대석각」     ・・・・・194
전상모     근원 김용준이 본 서예, 그 직관의 미     ・・・・・204

회화
고연희     조선시대 「모사」의 양상과 미술사적 의미     ・・・・・224
김찬호     정약용 회화의 전신론 연구     ・・・・・242
배현진     쉬빙의 「배후의 이야기』 시리즈에 나타난 전통 해체와 재조합     ・・・・・258
심영옥     공자의 문질빈빈 심미관과 조선시대 문인화론의 관계성     ・・・・・276
염중섭     고려불화 「관경서분변상도」의 합의와 작품분석     ・・・・・292
이근우     강암 송성용 사군자에 대한 연구     ・・・・・310
이은호     의경론으로 본 이가염 산수화 연구     ・・・・・326
최병식     한국미술사 정립을 위한 근대미술관 설립의 필요성     ・・・・・344

음악
문선아     뮤지컬 「영웅」의 한국적 가치 고찰     ・・・・・368
홍세아     소설 「게우사」에 나타난 국악공연 형태와 음악 고찰     ・・・・・382

무용
강기화     동래학춤이 현대인의 건강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에 대한 연구     ・・・・・398
김지원     여백의 공간개념에서 한국춤의 미적 양상과 의미고찰     ・・・・・410
이병옥     고대한국무용의 중국교류와 변용고찰     ・・・・・428
정강우     동남아시아 춤 연희의 혼합주의적 특성과 기능적 해석     ・・・・・444
조하나     무용에서의 신체표현에 나타난 연극적 연기표현에 관한 연구     ・・・・・464
허동성     한국 궁중정재의 공연콘텐츠 개발 방향성 시론     ・・・・・482

공예
신나경     일본의 전통도예에서 조선도공의 영향과 그 미학적 의의     ・・・・・504

복식
김인자·이상은     한국의 조형미가 나타나는 예복 디자인 연구     ・・・・・522
전희정     조선후기 왕족의 남아 돌복에 나타난 문양에 관한 연구     ・・・・・534

건축
김경수     신한옥의 미학적 문제와 지향 송 영선령을 통해 본 송대 주택의 형제와 심미화     ・・・・・552
백소훈     송 영선령을 통해 본 송대 주택의 형체와 심미화     ・・・・・568

디자인
이용제     예술의 실천적 지혜로서의 디자인과 디자인의 공공성     ・・・・・592

저자소개

한국동양예술학회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대사회가 요구하는 융합 학문의 상승효과를 지향하기 위하여 미학 분야를 비롯하여 서예․회화․국악․무용․민속․공예․복식․건축․디자인 등 동양예술의 전 분야를 독자적 또는 융합적으로 연구하는 학술단체이다. 따라서 구성원 역시 예술철학 및 미학 전공자부터 음악학, 미술학, 건축학, 무용학, 연극학, 영화학, 복식학, 민속학, 서예학 분야에 이르기까지 동양예술의 전문이론가가 주축이 되어 있다.  본 학회의 특징적인 면은 첫째, 연 2회 개최하는 학술대회와 논문집을 통하여 본인의 연구하는 영역 외에 다양한 학문을 동시에 습득할 수 있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며, 둘째, 예술창작을 행하는 서예가․동양화가․국악인․공예가․디자이너․건축가 등 예술현장에서 실제로 활동하는 작가들이 함께 참여함으로써 이론과 실기를 연구하는 학자들과 작가들이 한 자리에 모여 동양예술의 발전을 도모하고 있다는 점, 셋째, 학문 간의 소통을 실시함으로써 학제간 융합 연구를 촉진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특히 우리의 가치와 목표는 “시대조류의 변화와 함께 동양예술 전반에 관한 구체적이고 심도 있는 연구를 통해 한국미와 동양예술의 그 정체성을 확인하면서 오늘과 내일에 있어야 할 동양예술의 좌표와 가치 지향을 제시하는 일”에 있다. 우리는 다양한 분야의 학문 간 교류를 통하여 이를 이루어내고자 한다.  이점이 한국동양예술학회가 창립된 취지라고 말할 수 있으며, 동시에 한국동양예술학회가 존립해야만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 본 학회의 학회지는 한국연구재단에서 인정하는 등재지이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