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환경/생태문제 > 환경학 일반
· ISBN : 9791189586355
· 쪽수 : 392쪽
· 출판일 : 2021-11-08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들어가며 왜 탄소중립으로 가야 하는가?
1장. 대한민국 탄소중립의 방향과 전략
2장. 탄소 배출 없는 전기에너지
3장. 산업계를 밝히는 그린라이트
4장. 순환경제로 실현하는 탄소중립
5장. 탄소중립과 모빌리티 혁명
6장. 기후위기 적응을 위한 건물과 도시
7장. 숲에서 탄소중립의 길을 묻다
8장. 배출되는 탄소를 저장·활용하다
9장. 기후위기 국제 협력의 두 가지 방향
10장. 탄소중립을 위한 정부의 역할
11장. 탄소중립을 준비하는 모두의 길
에필로그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탄소중립이란 탄소배출량과 흡수량이 균형을 이루어 순배출량이 ‘0’이 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탄소 흡수원을 확대하거나 탄소 배출을 줄이는 방법으로 달성할 수 있다. 2050년 탄소중립에 이르는 경로는 다양하다. 전환·수송·건물·산업 등 각 부문의 다양한 온실가스 저감 대책이 있으며, 산림, 탄소 포집·저장(CCS) 등 탄소 흡수를 위한 방안도 존재한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탄소중립 방안을 빠른 시간 내에 정착시키는 것이다.
│들어가며 ‘왜 탄소중립으로 가야 하는가?’
2018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온실가스 배출량의 87%는 석탄·석유·가스 등 화석연료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한다. 에너지 이용을 획기적으로 바꾸지 않고서는 탄소중립이 불가능한 것이다. 여기에서 미세먼지와 온실가스의 차이점이 드러난다. 미세먼지는 발생하더라도 필터나 다른 기술을 통해 사후에 제거하기가 쉽다. 하지만 이산화탄소는 경제성 등의 문제로 사후 제거가 어렵기 때문에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만큼 그대로 배출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탄소중립 정책은 에너지 사용을 줄이면서, 필요한 에너지는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에너지로 공급하는 ‘에너지 전환’ 정책에서 출발해야 한다.
│1장 ‘대한민국 탄소중립 방향과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