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다미주 이론의 임상적 적용

다미주 이론의 임상적 적용

스티븐 W. 포지스, 뎁 다나 (지은이), 신성만, 옥제남, 김이삭, 정예훈, 김예인 (옮긴이)
박영스토리
3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2,000원 -0% 0원
960원
31,04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다미주 이론의 임상적 적용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다미주 이론의 임상적 적용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심리학
· ISBN : 9791172790783
· 쪽수 : 484쪽
· 출판일 : 2025-06-20

책 소개

다미주 이론의 관점에서 현대인이 왜 불안과 우울, 트라우마에 취약한지를 보다 체계적으로 설명하고, 상담자가 내담자와 어떤 방식으로 관계를 형성하고, 어떤 단계와 전략을 통해 개입을 진행해야 하는지를 깊이 있게 고찰하도록 이끌어 주는 책이다.
역자 서문

1994년, 신경과학자 스티븐 포지스는 인간의 생리적 반응과 사회적 행동을 연결하는 혁신적인 이론을 제안했다. 이 이론은 단순한 심리적 현상을 넘어, 신체의 생리적 메커니즘이 어떻게 우리의 감정, 관계, 생존 전략을 형성하는지를 설명해 준다. 기존의 자율신경계 모델은 투쟁-도피로 반응하는 교감신경계와 휴식-소화로 반응하는 부교감신경계의 이분법적 모델에 머물렀으나, 포지스는 부교감신경계의 핵심인 미주신경(vagus nerve)이 독립적인 배측미주신경과 복측미주신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이 발달상의 단계에 따라 다른 생존 전략을 담당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복측미주신경, 교감신경, 그리고 배측미주신경으로 이어지는 이러한 계층적 구조는 인간이 위협에 반응할 때 사회적 참여, 투쟁/도피, 셧다운의 순서로 전략을 전환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위계적 적응 전략과 더불어 다미주 이론의 핵심 개념 중 하나는 의식적 사고 없이도 신체가 환경의 안전 여부를 감지한다는 것이다. 신경지(neuroception) 메커니즘은 우리가 위협을 인지하기 전부터 심장 박동, 호흡, 표정을 통해 반응을 조절한다. 친숙한 목소리나 부드러운 눈맞춤을 통한 복측미주신경의 활성화는 신체를 안정시키는 반면, 갑작스러운 소음이나 적대적 상황은 교감신경계 및 배측미주신경을 각성시킨다. 이 이론은 기존에 증상을 관리하는 접근을 넘어, 안전감을 회복하는 것을 치료의 출발점으로 삼아 트라우마 치료 분야에 혁신을 일으켰다. 트라우마 생존자가 과각성 상태에 머물 때, 언어적 개입보다는 호흡 조절이나 안정적인 관계 형성을 우선시하는 치료 기법이 개발되었으며, 베셀 반 데어 콜크(Bessel van der Kolk), 피터 레빈(Peter A. Levine) 등 저명한 트라우마 전문가들에게 받아들여져, 신체 경험 치료(somatic experiencing)의 근간이 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다미주 이론의 통찰은 오늘날 현대 사회에서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최근 들어 디지털 기술과 인공지능의 발전, 그리고 사회적 관계의 변화는 인간이 느끼는 안전감과 사회적 연결에 새로운 도전을 던지고 있다.
최근 발표된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ChatGPT가 가장 활발히 활용되고 있는 분야는 심리치료 및 상담 영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두고 일부에서는 인공지능이 심리상담을 대체할 수 있다는 성급한 전망을 내놓고 있으나, 이는 오히려 현대 사회 구성원들이 심리적 지원과 정서적 연결을 절실히 필요로 하고 있음을 반증한다고 볼 수 있다. 실제로 일상적 인간관계는 물론 전문 상담 장면에서도, 개인의 심리적 · 관계적 요구에 즉각적이고 일관되게 반응해 주는 대상을 만나기란 쉽지 않다. 그 결과 현실 관계에 대한 만족은 낮아지고, 가상적 관계에 대한 의존은 점차 증가하고 있다.
다미주 이론에 따르면, 이러한 관계적 단절과 정서적 불만족은 고도의 스트레스 환경 속에서 점차 부동화 반응이나 파충류 반응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생리적 반응은 복측미주신경의 기능을 약화시켜, 개인이 안전감을 충분히 경험하지 못한 채 만성적인 불안과 긴장 상태에 머물도록 만든다. 이는 마치 갈증을 해소하기 위해 바닷물을 마셨다가 오히려 갈증이 심화되는 상황과 유사하다.
이와 같은 악순환의 구조를 다미주 이론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이를 임상 장면에 적용함으로써, 현대인이 왜 불안과 우울, 트라우마에 취약한지를 보다 체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그 근저에는 ‘안전감에 대한 갈망’과 ‘진정한 사회적 연결을 통한 사회 참여 체계의 회복’이라는 핵심 과제가 자리하고 있다. 이 책은 이러한 통찰을 통하여 상담자가 내담자와 어떤 방식으로 관계를 형성하고, 어떤 단계와 전략을 통해 개입을 진행해야 하는지를 깊이 있게 고찰하도록 이끌어 줄 것이다.
좋은 책이 출간되도록 큰 도움을 주신 박영스토리 노현 대표님과 편집부에게도 감사의 말씀을 전한다.

2025년 늦은 봄
포항 연구실에서
역자 대표 신성만

목차

저자 소개 x
역자 서문 xviii

서문. 다미주 이론은 왜 치료사들에게 환영받는가 1
Stephen W. Porges

1부 트라우마 치료 분야에 다미주 이론의 도입 9
1장. 다미주 이론과 트라우마 10
Peter A. Levine
2장. 발달성 외상의 이해와 치료: 다미주 이론이 제시하는 안전과 호혜성 35
Bessel van der Kolk
3장. 다미주 이론과 감각운동 심리치료 42
Pat Ogden
4장. 다미주 이론 입문 59
Stephen W. Porges

2부 치료의 핵심으로서의 안전 79
5장. 안전이 곧 치료다 80
Bonnie Badenoch
6장. 학대를 경험한 아동에게 “깊은” 안전 제공하기: 트라우마를 겪은 아동 및 청소년 대상
치료에서 다미주 이론의 적용 96
Joe Tucci, Angela Weller, and Janise Mitchell
7장. 치료적 존재감과 다미주 이론: 효과적인 치료적 관계를 위한 원칙과 실천 114
Shari M. Geller
8장. 다미주 이론의 관점에서 협력하기: 의사-환자 관계 135
George Thompson
9장. 간호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다미주 이론 160
Moira Theede
10장. 포유류 자율신경계에 관여하기: 머무름, 운율, 접촉 179
Alan Theede

3부 치료적 접근법과 임상적 적용 195
11장. 다미주 플레이랩: 치료사가 환자에게 다미주 이론에 대해 말할 수 있도록 돕기 196
Deb Dana and Deb Grant
12장. 트라우마 생존자를 위한 다미주 이론 기반 무용동작치료: 근원, 리듬, 호혜성 219
Amber Gray
13장. 다미주 기반 테라플레이 치료법: 사회적 참여, 놀이, 양육을 결합하여 안전, 조절,
회복탄력성 만들어내기 241
Sandra Lindaman and Jukka Makela
14장. 소아 의학적 외상이 아스퍼거 증후군처럼 나타날 때: 다미주 이론적 설명과 치료적 놀이 264
Stuart Daniel, Angie Masters, and Kieran Donovan
15장. 에너지 심리학, 다미주 이론 그리고 트라우마 치료 285
Robert Schwarz
16장. 트라우마 중증도: SPIM 30과 다미주 이론의 유사성 301
Ralf Vogt
17장. 비행 공포증 치료: 다미주 이론의 관점에서 보기 320
Tom Bunn
18장. 다미주 이론의 관점을 통해 본 애도: 상실에 대한 임상적 반응을 인간적인 것으로 보기 336
Candyce Ossefort-Russell
19장. 다미주 이론, 시, 그리고 PTSD: 트라우마 치료사가 보일 수 있는 시인의 초상 362
Gary Whited

4부 의학에서의 적용 381
20장. 신생아 집중치료실과 다미주 이론: 안전 회로 강화시키기 382
Marilyn Sanders
21장. 다미주 이론의 관점으로 바라본 뇌졸중 회복 사례 402
Deb Dana
22장. 심장 질환을 가지고 태어나다: 다미주 이론의 임상적 의의 424
Liza Morton

찾아보기 444

저자소개

스티븐 W. 포지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디애나 대학에서 킨제이 연구소 산하 트라우마연구센터를 이끄는 세계적 과학자로서 노스캐롤라이나 대학의 정신의학교수, 시카고에 있는 일리노이 대학과 메릴랜드 대학의 명예교수이기도 하다. 정신생리연구학회(the Society for Psychophysiological Research)와 행동뇌과학협회(the Federation of Associations in Behavioral & Brain Sciences)의 회장으로 역임했으며, 국립정신건강연구소(NIMH)에서 연구과학자에게 수여하는 우수상(Research Scientist Development Award)를 받았다. 마취학, 의생물공학, 중환자치료의학, 인체공학, 운동생리학, 노인학, 신경학, 신경과학, 산과학, 소아과학, 정신의학, 심리학, 정신측정학, 우주의학, 약물 남용 등 여러 분야에 걸친 과학 논문들을 발표하면서 1994년에 다미주 이론을 제창했다. 다미주 이론은 포유류에게서 진화한 유수미주신경과 사회적 행동을 연결하고, 행동 문제와 정신장애에서 생리적 상태가 얼마나 중요한지 강조한다. 이 이론은 여러 행동적·정신적·신체적 질환에서 관찰되는 증상들을 중재하는 메커니즘에 대해 기본적인 통찰력을 제공해준다. 2018년에는 미국신체심리치료협회가 수여하는 개척자상(Pioneer Award) 을 받았다.
펼치기
뎁 다나 (지은이)    정보 더보기
다미주신경 이론을 토대로 트라우마 및 각종 정신 건강상의 문제를 해결하고, 자율신경계의 역할을 존중하는 방식으로 작업하는 특화된 임상의이자 컨설턴트이다. 그녀는 신경계가 작동하는 방식과 이를 능동적으로 운영하는 법을 배움으로써 우리가 얼마든지 일상을 바꿔 나갈 수 있음을 보여 준다. 전 세계에서 다미주신경 이론이 치료에 적용되는 방식을 강의하고 있으며, 임상 실무에 활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론과 기법 등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또한 다미주신경 연구소(Polyvagal Institute)의 창립 멤버이자 키런 클리닉(Khiron Clinics)의 임상 고문, 유니티(Unyte)의 고문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 《치료에서의 다미주신경 이론(The Polyvagal Theory in Therapy)》, 《안전과 연결을 위한 다미주신경 운동(Polyvagal Exercises for Safety and Connection)》, 《다미주신경 이론의 임상적 적용(Clinical Applications of Polyvagal Theory)》, 《다미주신경 플립 차트(The Polyvagal Flip Chart)》가 있다. www.rhythmofregulation.com
펼치기
신성만 (옮긴이)    정보 더보기
(현) 한동대학교 상담심리학과 교수 주요 경력 현) 한동대학교 상담대학원 대학원장 현) 한국중독상담학회 학회장 전) 하버드 의대 케임브리지병원 정신과 연구원 주요 저서 및 논문 역서: 불안장애를 위한 동기강화상담, 정신재활, 실존치료, 중독상담, 용서치료
펼치기
김예인 (옮긴이)    정보 더보기
현재 미시시피대학교에서 임상심리학 박사과정에 재학 중이다. 한동대학교에서 상담심리학 및 영어 학사학위, 동 대학원에서 심리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한동대학교 상담센터에서 전임연구원으로 일하며 심리치료사의 길을 시작하였다. 『실존치료의 실제』, 『실존치료』 등을 번역하였다. 삶의 의미, 실존치료, 로고테라피, 긍정심리 등의 영역에 관심을 갖고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펼치기
옥제남 (옮긴이)    정보 더보기
현재 한동대학교에서 심리학 석사과정에 재학 중이다. 한동대학교에서 상담심리학 및 경영학 학사학위를 받았다. 자살행동 및 중독 기제의 이해와 개입에 관심을 갖고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펼치기
김이삭 (옮긴이)    정보 더보기
현재 웨스트버지니아대학교에서 행동주의 신경과학 석박사통합 과정에 재학 중이다. 한동대학교에서 상담심리와 컴퓨터공학 학사학위를 받았다. 중독의 동기적 이해, 감정조절, 신경생리학적 지표, 상담심리학적 개입에 관심을 갖고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펼치기
정예훈 (옮긴이)    정보 더보기
현재 뉴멕시코대학교에서 상담자 교육학 박사과정에 재학 중이다. 한동대학교에서 상담심리학 및 사회복지학 학사학위, 동 대학원에서 상담 및 임상심리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청소년과 성인을 대상으로 한 중독과 위기 개입, 예방에 관심을 갖고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