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김홍식

김홍식

김홍식 (지은이)
헥사곤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200원 -10% 0원
900원
15,300원 >
16,200원 -10% 0원
0원
16,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0개 5,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김홍식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김홍식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화집
· ISBN : 9791189688066
· 쪽수 : 192쪽
· 출판일 : 2019-01-10

책 소개

헥사곤 한국현대미술선 마흔번째 책은 김홍식 작가의 작업을 소개한다. 김홍식은 산책자의 관점에서 우리가 사는 세상을 바라본다. 1997년 부터 최근까지 이어지는 작가의 작업과 이야기를 담고 있다.

목차

Prilogue

2000-2006
이방인 ANIEN
소통을 꿈꾸다
도시에서 길을 잃다

2007-2012
산책자의 도시
숭례문, 그날 이후의 기록
바벨에서 내려다 보다

2013
Seven Blind Men
기억을 넘어서_초상

2015-2017
도시 산책자, 미술관에 들어가다
오래된 집
시선의 사이를 거닐다

프로필 Profile

저자소개

김홍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서양화과와 同대학원을 졸업한 작가이자 조형예술학 박사이다. 김홍식은 사진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평면 및 설치 작업을 하는 작가로 도시 혹은 도시 근교에 밀집해 살고 있는 현대인의 일상의 삶 등을 자신의 시선을 통해 투영해 낸다. 자신을 ‘도시의 산책자(Fl?neur)’라 칭하며 도시를 산책하고 눈앞에 스쳐 지나가는 이미지들을 기록하던 김홍식은 ‘바라봄’이라는 행위의 극을 경험하는 미술관에서 발걸음을 멈추고 카메라의 뷰파인더를 통해 작품으로 향하는 군중들의 시선들을 담아내면서 다양한 시선의 레이어를 제안하는 고유한 작업을 이어오고 있다. 그는 자신의 작품 안에서 ‘예술작품’이라고 규정지어진 오브제를 금빛 틀로 영역화하고 그것을 바라보는 군중들의 시선을 자신의 ‘예술작품’으로 포착하여 다시 구성한다. 예술작품을 규정하는 시대의 시선, 그 예술작품을 보여주고 있는 미술관의 시선, 예술작품을 바라보고 있는 관중들의 시선, 그리고 이 모든 것을 응시하는 작가 자신의 시선이 포개어진 김홍식의 작품에는 수많은 시선과 시간의 겹들이 겹치며 공간의 확장을 경험하게 한다. 작품은 카메라로 이미지를 담아낸 후 주로 스테인리스 스틸 위에 부식 기법, 실크 스크린으로 금박의 액자를 프린팅 하여 가치를 상징화, 붓으로 그린 금색 안료층 등 독특한 기법으로 표현한다. 거기에 액자 틀의 레이어 등이 쌓이며 ‘겹’의 의미를 조형적으로 완성하고 혼용 & 중첩되어 통합된 미디엄 (Synthetic Medium)이 강조되는 그 자체로 작품이 되는 방식을 취한다. 2017년 환기미술관, 2015년 캔파운데이션, 2013년 금호미술관 등 다수의 개인전과 국립현대미술관, 경기도미술관, 포항 시립 미술관등 등의 국내 다수의 기획, 단체전에 참여했고, 최근에는 바티 칸미술관, 홍콩 아트바젤, 시카고 엑스포 등 해외 활동도 이어지고 있다. 이화여대, 중앙대, 단국대 등에 출강했으며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경기도미술관, 부산현대미술관, 한국 천주교 순교 박물관, 파리 외방선교회 등에 작품이 소장되어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1998년 이전까지의 나의 작업들은 전통적인 판화의 내용이나 기법과 큰 차이가 없다. 하지만 원판의 재질에 새겨지는 각인의 깊이, 밀도, 질감 등에 따라 얼마든지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다는 점에 착안하여 2001년부터는 알루미늄 원판을, 그리고 2004년부터는 스테인리스 스틸 원판 자체를 작품으로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전통적인 판화는 생산수단으로써의 원판은 버려지고 그 결과물만이 작품이 되지만, 나의 작품에서는 원판과 제작과정 그리고 결과물이 하나로 통합된다. 즉, 내 작품에 사용되는 모든 재료나 과정들이 그 자체로 작품의 내용과 형식이 되기 때문에 전통적인 판화와는 완전히 다른 개념의 작품이라고 생각한다.

나는 또한 작품의 표현 수단으로써 사진을 전용(appropriation)하고 있는데, 사진은 시각의 특수성, 완벽한 재현성, 복제 가능성 등의 특징이 있기 때문에 카메라로 촬영된 이미지를 포지티브 판(Positive plate)이나 스테인리스 스틸판에 전사하여 포토 에칭(Photo etching)이라 불리는 원판을 제작한 후 이를 내 의도에 맞게 작품화하고 있다.

예를 들어 내 의도에 맞게 촬영된 사진 이미지를 알루미늄판이나 스테인리스 스틸판에 전사한 후 부식시켜 얻어진 요철 화면은 그 자체의 물성 그대로 작품의 구성요소가 되며, 부식에 의한 깊이감이나 섬세한 질감의 조절 등을 통해 판화뿐만 아니라 회화나 조각 등의 표현도 얼마든지 가능해지는 것이다.

동시대 미술에 있어서 미디엄의 개념은 작품의 표현 수단이나 매체로써 그 자체가 하나의 작품형식 혹은 목적으로 전이되고 있는데, 이러한 관점에서 그동안 나의 작업에서 사용된 사진과 판화의 방법론들은 통합된 미디엄(Synthetic Medium)적 접근을 통해 새롭게 발전되고 또 확장되어 나가게 된다고 생각한다.

● 2018 김홍식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