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조선후기 기생의 공간과 문화

조선후기 기생의 공간과 문화

박수진 (지은이)
지성인
21,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950원 -5% 0원
630원
19,320원 >
18,9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1,890원
17,01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조선후기 기생의 공간과 문화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조선후기 기생의 공간과 문화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후기(영조~순종)
· ISBN : 9791189766382
· 쪽수 : 230쪽
· 출판일 : 2023-03-20

책 소개

공간은 사회를 반영하고 문화를 형성하는 그릇이 되기도 한다. 이 책은 그런 사람들의 생활과 문화를 엿볼 수 있는 공간에 초점을 맞춰 제시한 것들이다. 저자는 작품에 드러난 공간을 따라가면서 그녀들의 삶과 문화적 의미들을 살피고자 하였다.

목차

▫ 들어가기 5

제 1 장
<금루사金縷辭>의 의미 구조 분석과 공간 구조 연구 13
작품의 의미구조 분석 15
1. 적강 구조의 재현 15
2. 공간 구조의 확장 19
3. 욕망 구조의 모순 26
구조 양상의 행위소 분석 30
1. 사랑의 행위소 모형 31
2. 이별의 행위소 모형 33
작품 공간의 구조적 특성 35
1. 아름다운 자연의 공간 37
2. 사랑과 이별의 공간 38
3. 소외된 특별한 공간 40
맺음말 41

제 2 장
<군ᄉᆞᆫ월ᄋᆡ원가>의 작품 분석과 시·공간 구조 연구 44
<군ᄉᆞᆫ월ᄋᆡ원가>의 작품 분석 46
1. 작품 구조 47
2. 형식적 특징 49
2.1 대화 형식 49
2.2 고사 인용 54
2.3 시점 변화 60
작품의 시·공간적 구조 68
1. 과거의 어느 때 : 고정 공간 69
2. 현재의 상황 : 이동 공간 70
3. 미래의 모습 : 상상(환상) 공간 73
맺음말 75

제 3 장
『염요(艶謠)』를 통해 본, 풍류 공간의 사회문화적 의미 77
작품의 시대적 상황 80
작품에 드러난 풍류 공간 84
1. 금강 : 그리움, 이별의 공간 86
2. 화산교 92
2.1 잔치와 놀음 : 즐거움의 공간 95
2.2 쾌락과 부정(不正)의 공간 98
3. 서호 위의 배 : 흥취의 공간 102
풍류 공간의 사회문화적 의미 104

제 4 장
『소수록』에 나타난 기생들의 내면 의식과 사회문화적
의미 연구 106
『소수록』의 구성 및 의미 분석 107
기생들의 내면 의식 114
1. 님에 대한 사랑과 원망 115
2. 소외된 하층민의 자의식과 욕망 122
3. 조선 사회의 모순과 비판 127
19세기 사회문화적 의미 134
1. 하위 주체의 일탈 135
2. 지배와 저항의 문화 137
3. 공간 문화의 복합성 140
맺음말 141

제 5 장
고려대학교 도서관 소장 『악부』 소재 《외입장이 격식》을
통해 본 유흥 공간의 정치학 143
작품의 내용 및 구조 145
1. 작품의 내용 145
2. 작품의 형식과 구조 149
2.1 대화체 형식 150
2.2 상황에 따른 대립 구조 152
유흥 공간[기방(妓房)]에서의 문화정치 157
1. 주체와 공간의 관계 : 공간의 의미화 157
2. 공간과 권력의 관계 : 공간의 제도화 160
3. 권력과 주체의 관계 : 표면화된 진실 166
결론 169

제 6 장
『북상기(北廂記)』에 드러난 인물형상과 공간인식 171
『북상기』의 내용 분석 172
『북상기』에 등장하는 인물 형상 175
1. 모순관계로 성립된 두 인물 : 순옥과 낙안선생 175
2. 일치관계로 성립된 두 인물 : 봉래선과 이양진 179
『북상기』에 드러난 공간인식 182
1. 유흥(遊興), 사치(奢侈)의 공간 : 순옥의 집 183
2. 안빈낙도(安貧樂道) 및 연희(演戱)의 공간 : 낙안당(樂安堂) 187
3. 약속(約束), 해방(解放)의 공간 : 두물고개 주막 188
4. 내기, 놀이의 공간 : 이양진의 여관 190
5. 통합(統合), 치유(治癒)의 공간 : 순옥의 집[북상(北廂)] 193
맺음말 195

보 론
<ᄎᆞᆫ ᄒᆡ영 명긔 명션이라>의 욕망 구조 고찰 197
문제제기 197
<ᄎᆞᆫ ᄒᆡ영 명긔 명션이라>의 작품 구조 198
작품에 드러난 인물들의 특징 202
1. 기생 명선 202
2. 양반 김진사 209
인물의 특징을 통해 본 욕망 구조 212
1. 기생 명선의 욕망 구조 213
2. 양반 김진사의 욕망 구조 216
<ᄎᆞᆫ ᄒᆡ영 명긔 명션이라>의 욕망 양상 - 결론을 대신하여 217

■ 참고 문헌 220
■ 색인 225

저자소개

박수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북 전주 출생. 전주대학교 국문과를 졸업하고, 한양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공간과 문화를 결합한 문화지리학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소외된 지역문학에 특히 더 많은 애정을 가지고 있다. 현재는 한양대학교 등에서 강의를 하고 있다. 주요 논문은 '송여승답에 나타난 욕망의 표출양상', '순창가의 구조와 인물의 기능', '옥국재 가사에 나타난 시.공간 구조 연구'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