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북한사
· ISBN : 9791189809317
· 쪽수 : 748쪽
· 출판일 : 2020-08-20
책 소개
목차
상권
1부 성장
1장 출신과 출생 | 2장 만주 망명 | 3장 정의부의 품속에서 | 4장 남만참변 | 5장 붉은 5월 투쟁
2부 혁명
6장 소사하 기슭에서 | 7장 만주사변 | 8장 남만원정 | 9장 노흑산의 겨울
3부 시련
10장 동만주의 봄 | 11장 반민생단 투쟁 | 12장 동녕현성 전투 | 13장 불타는 근거지
4부 붉은 군인
14장 불요불굴 | 15장 제1차 북만원정 | 16장 동틀 무렵
저자소개
책속에서
1912년 4월, 김성주는 평양 숭실중학교에 재학 중이던 기독교 신자 김형직과 아내 강반석 사이에서 태어났다. 1917년 김형직은 장일환이 조직한 조선국민회의 핵심 멤버로 독립운동을 시작했고, 1918년 체포되어 10개월간 옥고를 치렀다. 이후 김형직은 직업 혁명가의 길로 들어섰으며, 조직 복구를 위해 애쓰던 중 오동진을 만나 그의 도움을 받았다.
1920년 김형직 일가는 망명길에 올랐으며 중강진에서 순천의원을 열고 엄청 많은 돈을 벌어 처남 강진석이 활동하던 백산무사단 등 독립운동 단체를 지원했고, 그의 집은 백산무사단의 거점이 되었다. 1922년 강진석이 체포되자 김형직 가족은 중국 장백현 팔도구로 이전하여 광제의원을 열었다. 그곳에서 김형직은 오동진이 총영장을 맡았던 광복군총영의 활동을 지원하고 포평의 광복군총영 무기고를 담당했다. 1923년 김성주는 혼자 평양으로 떠나 외할아버지 강돈욱이 세운 창덕학교 5학년에 편입했으나, 1925년 2월 김형직이 또 체포되자 팔도구로 돌아왔다. 김형직은 탈출한 후 양세봉의 도움으로 겨우 살아나 무송으로 이전해 무림의원을 열었다.
김성주는 무송에서 무송제1소학교를 다녔으나 퇴학하고, 정의부에서 독립군 양성을 위해 만든 화성의숙에 입학한다. 이 학교에서 조선청년총동맹 중앙집행위원이자 공산주의자인 김창민과 이종락, 조선공산당 화요파의 주요 간부인 한별과 박윤서 등을 만났다.
1926년 6월 아버지 김형직이 사망했으며, 1927년 오동진의 주선으로 길림 육문중학교에 입학했으나, 공산주의자인 상월(스승)과 송무선 등을 만나면서 자신을 후원하던 오동진, 현익철, 양세봉 등 민족주의 계열 독립운동가들과 점차 멀어졌으며, 1929년 육문중학교를 퇴학한다. 남만참변 이후 김성주는 중국 경찰에 체포되어 약 8개월간 길림감옥에 수감되었다 나온 후 이종락, 차광수 등과 조선혁명군 길강지휘부에 소속되었고, 이때 세금을 징수하러 다니면서 가명으로 '김일성(金一成)'이란 이름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5·30폭동 이후 중국공산당 길돈 임시당부 회의에서 진한장과 함께 예비당원이 되었으며, 1931년 8월 정식 중국공산당원이 되었다. 안도반일유격대에 참가했고, 1932년 2월에는 우 사령(우학당) 구국군 부대의 별동대 대장으로 안도현성전투에 참가했다. 그해 7월, 어머니 강반석이 세상을 떠났다.
1933년 1월 김성주(이하 김일성)는 왕덕림 등이 이끄는 구국군 총부 부대가 중국에서의 항일투쟁을 포기하고 소련으로 들어가려 할 때, 별동대와 함께 소만국경까지 이들을 따라가 월경을 만류하며 함께 싸울 것을 요청했으나 거절당하고 돌아왔다. 이후 당의 인정을 받은 김일성은 왕청유격대 정치위원에 임명되었고, 9월에는 동녕현성전투에 참가했다. 이 전투는 구국군과 유격대, 지청천과 조경한 등이 이끄는 한국독립군 등과 함께 진행했으며, 김일성은 작탄대를 이끌고 이 전투에 참가했다. 1934년 3월 동만유격대가 동북인민혁명군 2군 독립사로 통일되었고, 김일성이 소속된 왕청유격대가 제3연대로 편성된 후 3연대 정치위원에 임명된다. 이해에 지청천의 한국독립군과 양세봉의 조선혁명군은 쇠약해지기 시작한다.
1933~34년 반민생단투쟁으로 수많은 한인(조선인)이 희생당했고, 김일성 역시 끊임없이 민생단 혐의를 받고 처형 직전까지 가기도 했다. 1934년 10월 하순, 1차 북만원정(북한에서는 이를 '조선혁명군 제1차 북만원정'으로 명명)에 참가했으며, 반민생단투쟁의 오류가 드러나면서 1935년 5월 동북인민혁명군 2군이 설립되자 김일성은 제3연대 정치위원으로 임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