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북한사
· ISBN : 9791189809324
· 쪽수 : 885쪽
· 출판일 : 2020-08-20
책 소개
목차
5부 원정
17장 좌절을 딛고 | 18장 동남차 | 19장 코민테른 | 20장 서부파견대 | 21장 인연 | 22장 회사(會師) | 23장 대자지하의 전설
6부 희망
24장 은정과 원한 | 25장 미혼진과 마안산 | 26장 새 세대를 위하여 | 27장 항일 무장토비 | 28장 남만주
7부 분투
29장 무송전투 | 30장 소탕하 | 31장 장백당 | 32장 신출귀몰 | 33장 요원지화
저자소개
책속에서
중권 | 희망과 분투 | 5~7부
중권에서는 항일연군의 위상과 조직을 결정하는 여러 중요한 회의들을 소개한다. 동북인민혁명군을 동북항일연군으로 명칭을 변경한 1935년 7월 25~8월 20일의 코민테른 제7차 대표대회, 1936년 3월 동북항일연군 2군과 3사를 신설한 미혼진회의, 1936년 5월 1일 동북항일연군 2군 1사와 3사(사장 김일성)의 백두산 일대 진출을 결정한 동강회의, 1936년 7월 초순 중국공산당 남만지구 제2차 당 대표대회 및 동북항일연군 1로군을 결성한 금천하리회의 등이 열렸다.
김일성은 1934년 10월부터 1935년 2월까지 진행된 제1차 북만원정과 1935년 6월부터 1936년 3월까지 진행된 제2차 북만원정에 참가한다. 북만원정에서 동북인민혁명군 2군과 5군은 연합작전을 벌였고, 김일성은 주보중의 5군 산하 시세영, 이형박, 진한장 부대와 함께 여러 전투에 참가한다. 코민테른 제7차 대표회의 이후, 1936년 2월 동북항일연군 총사령부가 건립(총사령 양정우)되었고, 3월에는 동북항일연군 2군이 신설되었다(김일성은 2군 제3사 사장으로 임명). 서남차전투, 한총령전투, 해청령전투 등에 참여하며, 5월에는 동만지구 재만한인조국광복회를 발기했다.
7월 초순 중국공산당 남만성위원회(서기 위증민)가 성립되면서 동북항일연군 1군과 2군은 1로군으로 재편되었고, 김일성은 2군 6사 사장으로 임명되었으며, 서강전투, 무송현성전투를 비롯한 여러 전투에 참가했다. 8월 말 장백현으로 이동한 김일성의 6사부대는 수많은 밀영을 건설하고, 대덕수전투, 소덕수전투, 반절구습격전투, 소탕하전투, 7도구전투 등에 참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