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영랑 김윤식 평전

영랑 김윤식 평전

(영랑의 생애와 문학, 전기적 접근)

김학동 (지은이)
국학자료원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4,250원 -5% 2,500원
430원
16,32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7개 12,5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영랑 김윤식 평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영랑 김윤식 평전 (영랑의 생애와 문학, 전기적 접근)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작가론
· ISBN : 9791189817190
· 쪽수 : 330쪽
· 출판일 : 2019-06-29

책 소개

<영랑 김윤식 평전>. 총 6부, 부록으로 구성되었다. 제1부 '생애와 문학'에서는 영랑이 살고 간 전 역정을 살펴보았고, 제2부 '정감적 구경과 자아의 사회적 확대'에서는 영랑의 시작세계를 통시적 차원에서 고찰하였다.

목차

책머리에 _ 4

| 제1부 | 영랑의 생애와 문학 ― 전기적 접근

1. 다도해 연안의 풍광과 유·소년의 시절
1) 남해연안―탑골 고가에서 장남으로 태어나다
2) 유년시절―바람에 끊어진 연실같이 서러운 날
3) 진학의 꿈―목포에서 인천항 밤배를 타고
4) 연상의 여인―어린 나이로 결혼하다
2. 휘문의숙 시절과 항일투쟁의 이력
1) 내일의 푸른 꿈―휘문의숙에 입학하다
2) 어린 아내의 죽음―쓸쓸한 뫼 앞에서
3) 대구형무소―그 모질고도 무서웠던 밤
4) 처음으로 찾아간 금강산―그 길고도 길었던 여행
5) 마재경과의 만남―아내를 잃은 아픔을 달래다
3. 청산학원 시절과 영국의 낭만주의시인들
1) 유학의 꿈―청산학원 중등부에 입학하다
2) 두 만남―혁명투사 박열과 시우詩友 박용철
3) 영문학 전공―영국 낭만주의 시에 심취하다
4) 관동대진재―학업중단과 ‘청구靑丘’동인회를 결성하다
5) 두 여인과의 만남―김귀련과 재혼하다
4. 두 무명의 시인과 ‘시문학동인’의 결성
1) 강진과 송정리―용아龍兒와 시신詩信을 교환하다
2) ≪시문학≫지의 출간―영랑과 용아의 시적 출발
3) 불협화음―잠시나마 용아를 난처하게 하다
4) 어머니와의 사별―얼마지 않아 새 어머니를 맞이하다
5) <영랑시집>―용아의 주선으로 출간하다
6) 용아의 죽음―그 부인과 함께 유고를 정리하다
5. 망국민의 비애와 극한적 상황의식
1) 작품활동의 재개―오랜 기간의 침묵을 깨고
2) 창씨개명―김씨金氏로 창씨創氏했소
3) ‘울지 않는 기린’―내 몸에 독毒을 찬지 오래로다
4) 어느 날 어느 때고―무덤 앞에 세워질 묘비명

6. 8·15해방의 감격과 6·25전란의 참화
1) 제헌의원 선거― 현실참여의 의지와 좌절감
2) ‘청운靑雲’의 꿈―바다 하늘 모두 가진 우리들
3) 시의 왕관―내가 줄 터이니 미당未堂 네가 써라
4) 9.28 서울수복―날아든 유탄의 파편으로 사망하다
7. 영랑 사후의 일들―생가의 복원과 문학상의 제정
1) 용인 천주교공원묘지―아직도 고향에 돌아가지 못하다
2) 영랑의 거리―동상의 건립과 많은 시비들
3) 생가의 복원―많이 찾아오는 방문객들
4) 문학상의 제정―유작들의 정리와 또 다른 일들
5) 시문학기념관의 건립―시집 및 각종 희귀도서와 영상물들

| 제2부 | 정감적 구경과 자아의 사회적 확대 ― 시작세계의 통시적 고찰
1. 서론
2. 비애의 율조와 ‘촉기燭氣’의 시학
1) ‘내 마음’과 시적 발상법의 문제
2) 비애의 율조와 정감적 구경
3) ‘모란’의 물질화와 원초적 상상력
4) 자연과의 동화와 환희의 충만감
3. 민족관념과 ‘죽음’의 시학
1) 풍유화諷諭化의 기법과 ‘삶’에 대한 회의
2) ‘연鳶’을 통한 ‘죽음’의 문제―유년기의 회상
3) ‘죽음’ 의식과 자아의 사회적 확대
4) ‘한줌 흙’과 죽음의 허무적 관념
4. 의식공간의 확대와 ‘참여’의 시학
1) 해방의 감격과 사회참여의 역동성
2) 이념적 갈등과 절망의 극한적 상황의식
3) ‘오월’의 심상과 꾀꼬리의 해조
5. 결론

| 제3부 | 심상과 모티프 및 영향과 원천의 문제
‘봄­오월’의 심상과 모티프
1. 영랑과 ‘봄­오월’과의 상관성
1) ‘모란’과 ‘봄­오월’의 원천적 유형
2) ‘모란’과 ‘봄­오월’의 상징성
3) 소년과 중년의 상징성―아침의 꾀꼬리와 새벽의 두견새
2. ‘봄’의 시편들과 그 주제의 유형
1) 꿈 밭에 ‘봄 마음’과 ‘봄길’, 그리고 ‘재앙’
2) 원한과 슬픔으로 흐느끼는 저승의 노래

‘죽음―무덤’의 심상과 모티프
1. ‘죽음’이란 그저 슬프고 눈물 나는 것
2. 어려서 만난 죽음―육친과 어린 아내
1) 아주 가까운 육친의 죽음―붉은 자욱마다 고인 눈물
2) 어린 아내의 죽음―그저 서럽고 눈물 나는 것
3. 민족관념과 ‘죽음’의 상징성
1) ‘죽음’의식과 자학적 충동―분노의 불길로 치솟는 것
2) ‘잘 가기’와 ‘망각忘却’의 의미
3) 원통한 떼죽음과 망해가는 조국의 모습―이념적 대립과 갈등

영향과 원천―상호텍스트성의 문제
1. 영랑의 시와 서구문학적 영향의 단편들
2. 영향과 원천의 문제―<두견>과 <두견부>
3. ‘춘향’설화와 그 변주의 의미

| 제4부 | 작품론 몇 가지
섬세한 표현기법과 서정시의 극치―<돌담에 소색이는 햇발>
1. 분석에 앞선 몇 가지 전제―제목의 문제
2. ‘내 마음’과 ‘시의 가슴’―하늘을 바라보고 싶은 마음
3. ‘내 마음’과 시어선택의 문제
‘봄’의 상실감과 비애의 정조―<모란이 피기까지는>

1. 분석에 앞선 몇 가지 전제―형식의 문제
2. ‘찬란한 슬픔의 봄’―각 단락의 간추린 내용
3. 모란이 피는 날과 지는 날―이상과 가치의 세계로의 확대

가슴 속 깊이 젖어드는 청명과 자연과의 조화―<청명淸明>
1. 분석에 앞선 몇 가지 전제―원전 확정의 문제
2. 머릿속과 가슴속에 깊이 젖어든 청명
3. 자연과의 합일과 법열法悅의 경지

‘독毒’을 찬 가슴과 허무의식―<독을 차고>
1. 분석에 앞선 몇 가지 전제―원전확정의 문제
2. ‘나의 깨끗한 마음’과 ‘독毒’과의 관계
3. ‘독’의 상징성과 민족관념―‘이리’와 ‘승냥이’와의 관계

해방의 감격과 의식공간의 확대―<바다로 가자>
1. 분석에 앞선 몇 가지 전제―원전확정의 문제
2. 되찾은 나라에 대한 감격과 환희―각 연의 간추린 내용
3. 의식공간의 확대와 역동성―그 크고 넓은 ‘하늘’과 ‘바다’

| 제5부 | 영랑의 시와 산문 ― 서지적 접근
1. 시작 활동
1) <영랑시집>의 편성과정
2) ≪시문학≫과 영랑의 시적 출발
3) 시작들의 발표지에 따른 분포―초기·중기·후기
(1) 초기시의 발표지 별 분포
(2) 중기시의 발표지 별 분포
(3) 후기시의 발표지 별 분포
4) 시집의 편성과정과 증보된 새 시편들
2. 산문 활동
1) 수필
2) 박용철에 대한 회상문
3) 평문 및 기타

| 제6부 | 시어의 토속성의 문제와 미해결의 과제― 미래의 과제
시어의 토속성과 향토적 자연
전기 및 서지적 국면과 미해결의 문제
1. 생애와 전기적 국면의 문제
1) 아명兒名과 아호雅號의 문제―채준과 영랑
2) 용아龍兒와 박열朴烈과의 남은 문제―휘문고보와 청산학원
3) ‘북’과 이중선과의 남은 문제―육자배기와 판소리
4) 마재경과 최승희와의 남은 문제―두 연인과의 관계
2. 유작들과 서지적 국면의 문제
1) 시편들과의 남은 문제
2) 산문들과의 남은 문제

부록·1 원전연구
부록·2 가계도와 생애 및 작품연보
영랑의 가계도
영랑의 생애연보
영랑의 작품연보

찾아보기

저자소개

김학동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학부와 대학원 졸업 한양대· 영남대· 서강대 교수 역임 저서로는 한국문학의 비교문학적 연구(1972), 한국근대시인연구(1974), 한국현대시인연구(1977), 한국근대시의 비교문학적 연구(1981), 비교문학(1997), 정지용연구(1987), 현대시인연구(Ⅰ·Ⅱ)(1995), 문학 기행 시인의 고향(2000), 김기림 평전(2002), 오장환 평전(2004), 서정주 연구(공저, 2005), 원전학정과 작가론의 반성(2007), 개화기 시가 연구(2009), 개화기 시가집(1~4권, 2009), 돌담에 소색이는 햇발같이(김영란 전집 . 평전)(2011), 서정주 평전(2011), 이육사 평전(2012), 김소월 평전(2013), 김광균 평전(2014), 이상화 평전(2014), 홍사용 평전(2016) 외 다수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