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시편의 표현과 이미지

시편의 표현과 이미지

(교회공동체 예배를 위한 노래와 신학 산책)

윤춘식 (지은이)
예영커뮤니케이션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10% 2,500원
750원
15,250원 >
13,500원 -10% 2,500원
0원
16,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시편의 표현과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시편의 표현과 이미지 (교회공동체 예배를 위한 노래와 신학 산책)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91189887490
· 쪽수 : 276쪽
· 출판일 : 2022-04-13

책 소개

저자는 우리 시대의 아름다운 시들을 통해 시편 독자들 각자의 삶의 자리를 정돈하는 동시에 그 자리로 초대하고 싶어 한다. 시편이야말로 개인 저자의 통찰과 신적인 임재가 한데 모여 말씀의 자원을 풍부하게 드러내며 그리스도인들에게 예배자의 자세를 공급해 주고 있고, 새로운 희망이 존재한다고 믿기 때문이다.

목차

발문 - 박종칠 교수 10
서언 22
시편 묵상과 산책을 위해 32

Ⅰ. 서론 - 연구사 35
1. 연구사 개관 37
2. 종합과 비평 41

Ⅱ. 제의시(祭儀詩)란 무엇인가? 43
1. 제의 시편 44
2. 취급 범위 및 방법 46

Ⅲ. 제의 시편의 표현과 이미지 49
1. 이스라엘 신앙공동체와 시편의 표현 50
(1) 시편과 이스라엘 공동체 - 12지파동맹
(2) 시편의 위치와 분류
(3) 시편의 노래와 표현
2. 시편의 형상 재료 - 운율과 색깔 65
(1) 히브리시 운율의 문제
(2) 시편의 운율
(3) 시편의 색깔
(4) 시편의 심화 - 성막과 에봇과 보좌 위의 색깔
(5) 시편과 이스라엘 절기 제의
[종합 결론] 84

Ⅳ. 제의시 유형의 다양성 89
1. 히브리인의 시정신 90
2. 신앙공동체 의식 92
3. 시편의 제유형 - [종합 분류] 93
(1) 찬양시(찬미)
(2) 애원시(탄식)
(3) 감사시
(4) 제왕시(왕권)
(5) 순례시(성전)
(6) 메시아시(Messianic Psalms)
(7) 저주시(분노)
(8) 답관체(Acrostic)의 세로 드립

Ⅴ. 교의적 주제 153
1. 시편의 신학사상 154
2. 신관 155
(1) 하나님 개념
(2) 야코뷔스 헨드리퀴스 프랑켄의 신비사상
(3) 유일신관 - 여호와 하나님
(4) 언약 사상
(5) 의와 생명의 예배
3. 인간관 175
(1) 고난의 인간상
(2) 인죄관
4. 구원관 188
(1) 하나님의 구속 행적
(2) 우주적 구원관
(3) 메시아 기대사상
5. 성전관 194
(1) 시온(zion)의 전래
(2) 시온의 노래
(3) 시온 노래의 특징
(4) 시온 노래의 실제
(5) 시온과 예루살렘의 제의적 위치
6. 내세관 204
(1) 제의에 나타난 종말사상
(2) 사후의 세계와 저주
(3) 시편과 종말의식
[종합 결론] 215

Ⅵ. 시편의 효용 - 시편의 선교와 메시지의 표현 219
1. 시편과 세계 선교 220
2. 시편의 메시지 224
3. 표현과 이미지로서의 시편 설교 225
4. 시편 메시지의 위치 231
5. 시편과 경건어 234
[종합 결론] 237

* 시편의 지성 239
부록 - 제의시편의 문학적 심상(평론: 신춘 당선작 2019) 241
후기 266
참고문헌 - 시편 산책과 연구를 돕는 안내서 271

저자소개

윤춘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남 거창 출생, 고신대학교와 신학대학원을 졸업했다. 부산대학대학원(Ed. M.)에서 문학과 언어교육연구를 거쳐 아신대학대학원에서 선교학석사(Th. M) 과정을 마쳤다. 동대학원에서 철학박사(Ph. D.) 학위와 미국 Fuller Theoꠓlogical Seminary에서 목회신학(D. Min.)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경안노회에서 목사 안수(의성중앙교회 담임목회), 서울 등촌교회에서 부목사로 시무하던 중 해외선교사로 부름 받아 헌신했으며, 1990년 싱가포르 타문화권선교훈련원(ACTI) 과정을 마치고 하가이 지도자 인스티튜트를 수료했다. 1990년 고신 총회파송 남미 아르헨티나 원주민선교에 수종들었다. 28년 동안의 사역기간에 현지인 교회들 개척과 신학교육 및 스페인어 신문사 <라틴타임스> 발행인을 수행했으며, 5년제 토바중고등학교를 설립했다. 파나마공대(UTP)대학원 국제학부에서 스페인어로 2년간 동양문화사와 한국어를 가르쳤다. 그 후 아신대학 이사회로부터 조교수로초빙, 학부(스페인어과)와 선교대학원 교수로 재직, 2019년 8월에 65세 정년 은퇴했다. 아신대학(ACTS)의 라틴아메리카 선교문화연구원장 봉사, 라틴아메리카 30여 개국 선교사들을 대상으로 선교전략회의를 주관하고 있다. 현재 미션 GMTI 교육원장으로서 중·남미 선교사들을 섬긴다. 저서와 번역서는『현대교회와 선교교육』(3쇄),『중남미 선교전략과 세계관 연구』(2쇄),『북한사회주의 교육과 선교』,『로마서 강해 노트북』그리고『시편의 표현과 이미지』(증보판) 등 다수이다. 문학평론가로서 시집은 최근 출간한『카누에 오신 성자』외 6 작품집이 회자된다. *연보 참조. 박세이 사모(성악전공) 사이에 슬하 두 남매를 두었다. 아들 윤신환은 미국 유학을 마치고 멕시코와 동남아 등 영어-스페인어권의 교육기관에서 섬기며, 에스더는 프랑스 청년과 결혼하여 리옹 국립음악원(CNSM) 출신으로 공군(장교) 국립 오케스트라 단원, 딸은 파리 국제 플루트 연주자로서 프랑스 교육부 주최‘교수자격고시’(CEFEDEM)에 한국여성으로서는 드물게 합격했다. 프랑스 국립 콘세르바토리오에서 불어로 지도하는 음악교수이다. (아신대학교 교학처, 교수 소개란에서 발췌 2019
펼치기

책속에서



제의는 대부분 시편 예배의 근원적인 배경으로 나타난다. 현대 시편 연구에 있어서도 제의적 배경(cultic setting)과 구조와 해석에 큰 관심을 쏟고 있는 것이다. 그중에는 비제의적이라는 견해도 대립되어 왔으나 실제 거의 그렇지 않음을 인정하는 터이다. 구약 학자들 중에는 만일 제의적인 의미가 함축되어 있지 않는 시가가 있다면, 그것의 존재를 부정해야 한다는 데까지 이른다. 1980년대 쿠엘은 제의 시편의 문헌적 배경을 연구하여 시편 전역에서의 제의가 세 그룹으로 나뉜다고 보고 한 바 있다.
첫째, 제의 그룹 가운데 총 62편이 뚜렷한(dominated) 제의 사상으로 함축되어 있다고 보았다. 시편 1, 2, 12, 14, 15, 20/21, 24, 29, 33, 44~48, 50, 58, 60, 65, 67, 68, 72, 74, 76, 78~83, 85, 87, 90, 93, 95~100, 102, 105, 107, 110, 112~114, 117, 124~126, 128, 129, 132~136, 147~150편.
둘째, 제의시로서 종교의 감정(sentiments)이 섞여 있는 그룹(kultisch-religiose mischgruppe)은 75편.
셋째, 제의 시편과는 무관하지만 기본적으로 종교(신앙)의 표현으로 이뤄진 그룹은 모두 13편으로써 6, 19:1~7, 38, 39, 41, 88, 91, 102, 120, 127, 131, 139, 143편(이 중 모빙켈은 127편, 솔로몬의 시만 제의 시편 그룹으로 취급함)을 범위로 한정하였다.


시편 독자들에게는 교회공동체를 향한 시와 찬미의 권면이 낯설지 않다. “시와 찬송과 신령한 노래들로 서로 화답하며”(엡 5:19), “모든 지혜로 피차 가르치며 권면하고 시와 찬미와 신령한 노래를”(골 3:16) 부를 것을 요청한다. 오래된 것에 대해선 새롭게 갱신해야 하거니와 시편 기도와 찬양은 오늘의 교회공동체 안에서 회복되어야 할 중요한 영 성이다. 시편은 하나님의 말씀이기도 하지만 공동체의 기도이기도 하다. 이 사실을 이해하기 위해선 다음의 3가지 과정들을 통과해야 할 것이다. 본회퍼(Dietrich Bonhoeffer)는 시편에서의 기도가 개인적인 기도만 위해서는 사용할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그 까닭은 시편의 기도가 개인적인 자신만을 위한 생각으로 출발하지 않기 때문이다. 생각의 끈을 개인에게만 갖다 놓지 않는다. 시편에 기록된 일련의 기도들은 기독교 초기 단계에 정리되어진 낡고 진부한 것으로만 간과해서도 아니 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