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91189887698
· 쪽수 : 276쪽
· 출판일 : 2023-10-20
책 소개
목차
추천사 8
1부 왜 은혜는 성숙인가? 15
1장 신앙의 성숙 단계 16
2장 성숙된 편지–쓰여진 순서대로 읽은 편지 29
2부 바울과 그의 편지들–신학적 이해 43
1장 왜 바울인가? 44
2장 왜 바울의 편지들인가? 70
3장 왜 바울의 편지를 ‘쓰여진 순서대로’ 묵상해야 하는가? 74
4장 쓰여진 순서대로의 역사 92
5장 어떤 성숙의 주제들을 추적하는가? 99
3부 바울과 그의 영적 성숙–신앙적 묵상 103
1장 자기 정체성의 성숙 104
1. 초기 편지: 야! 나는 사도 중의 사도란 말이야! 104
2. 중기 편지: 나는 성도요 일꾼이며 갇힌 자입니다! 124
3. 후기 편지: 나는 죄인 중의 괴수입니다! 130
4. 그러면 우리의 자기 정체성은? 135
2장 타인을 향한 태도의 성숙 144
1. 초기 편지: 야! 너희들! 왜 그 모양이냐? 144
2. 중기 편지: 우리는 예수 안에서 하나다. 175
3. 후기 편지: 모든 것을 하나님께 맡기고 탓하지 않는다. 186
4. 그러면 우리의 태도는? 192
3장 감사의 태도에 대한 성숙 204
1. 초기 편지: 때문에 감사합니다. 204
2. 중기 편지: 예수를 힘입어 범사에 감사합니다. 211
3. 후기 편지: 감사함으로 받으면 버릴 것이 없네요. 215
4. 그러면 우리의 감사는? 216
4장 삶의 만족에 대한 성숙 223
1. 초기 편지: 나는 부족한 것이 있다. 223
2. 중기 편지: 내가 자족하는 비법을 배웠다. 249
3. 후기 편지: 기독교적 공수래공수거(空手來空手去) 252
4. 그러면 우리의 삶은? 254
4부 은혜는 성숙이다! 263
참고문헌 271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 책을 통하여 말하고 있는 사도 바울의 ‘성숙’은 하나님께서 사도 바울을 통하여 계시하신 성경말씀의 본질적 ‘변화’를 뜻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그 말씀을 전하고 있는 바울의 태도와 방법에 성숙의 ‘발전’이 있었음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그 성숙의 과정을 그가 쓴 13개 편지에 나타난 글의 분위기를 통하여 추적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결국 복음 자체의 ‘변화과정’을 추적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 복음을 전하는 바울의 태도와 방법이 어떻게 성숙했는지 그 ‘발달 과정’을 추적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이 책에서 ‘성숙’이라는 말은 절대로 ‘변화’를 의미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진보(advance)’나 ‘발달(development)’이라고 말하는 것이 더 좋겠습니다. ‘성숙’이란 변하지 않는 복음의 진리 속에서 이루어지는 하나의 성숙 발달 과정이요, ‘변화’란 이전 것과는 전혀 다른 또 다른 하나의 그 무엇이 생기거나 없어지는 완전한 탈바꿈입니다. 그런데 이 책에서 말하고자 하는 것은 ‘사도 바울의 성숙’이지 그를 통해 하나님께서 계시하신 ‘말씀의 변화’가 아닙니다. 그리고 그러한 사도 바울의 성숙이 그가 쓴 13개 편지의 문체와 분위기 속에서 드러난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그것을 추적하자는 것입니다. 이것은 이 책을 읽어나아가는 데 있어 독자 분들이 꼭 명심하고 있어야 할 매우 중요한 필수전제조건입니다.
바울은 왜 이렇게 그의 사도 됨을 강하게 주장할까요? 그 이유는 우 리가 이미 고린도전서 9장 3절에서 확인했듯이 고린도 교회 속에 자기를 사도로서 인정하지 않는 사람들이 몇몇 있었기 때문입니다(고전 9:3). 물론 이것은 고린도 교회만의 일은 아니었을 겁니다. 그를 진정한 사도로 인정하지 않는 사람들은 고린도 교회 말고도 여기저기 몇몇 더 있었을 것입니다. 다시 말하자면, 바울이 주후 50년대에 전도 사업을 펼칠 그 당시 주변 사람들로부터 약간은 사도로서 그 정통성을 인정받지 못하는 입장에 놓여 있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그들은 왜 바울을 정통 사도로 인정하지 않았을까요? 바울이 뭐가 부족하기에 그들은 바울의 사도성에 의문을 제기하게 되었을까요? 그들은 왜 무엇 때문에 바울로 하여금 그렇게 자신의 사도성을 강조하도록 만드는 원인을 제공했을까요? 그 이유는 모두 두 가지입니다. 첫째는 바울이 예전에 기독교인들을 몹시 핍박했던 사람이라는 과거의 좋지 않는 이력 때문이고, 둘째는 그가 사도로서의 자격에 약간 미달되는 사람이었기 때문입니다.
주후 1세기 당시 합법적인 정통 사도로서 인정받으려면 기본적으로 네 가지 조건이 충족되어야 했습니다. 1) 예수님께서 살아계실 때 직접 부르신 사람, 2) 예수님께 부름받은 후 함께 생활하며 사역하였던 사람, 3) 부활하신 예수님을 만난 사람, 4) 사도로서의 능력과 이적이 나타나는 사람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