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요리/살림 > 술/음료/차 > 술
· ISBN : 9791190149624
· 쪽수 : 232쪽
· 출판일 : 2021-07-23
책 소개
목차
발간사_조정형· 010
전통주의 발전을 기리면서_조윤주· 012
추천의 글_양대수· 015
제1절 전통술의 기초개론
전통주의 정의·역사·특징·분류· 021
막걸리 제조· 025
약주와 청주· 026
증류주의 원리와 역사· 027
폭탄주는 몇도일까?· 030
미국식 주도 표시 Proof와 알코올 % 관계· 030
혼성주· 031
한국의 전통주 칵테일· 032
① 이강주 칵테일 강강술래· 032
② 금산인삼주 칵테일 금상· 033
③ 문배주 칵테일 단풍주· 034
④ 이강주 칵테일 이강주 마티니· 034
⑤ 명인 안동소주 칵테일 양반· 035
⑥ 감홍로 칵테일 힐링· 035
민속주 역사와 가야 할 길· 036
민속주의 초기· 036 / 민속주의 전성기· 036
민속주의 침체기· 037
/ 민속주의 나아갈 길· 037
제2절 전통주의 역사
술의 유래· 041
자연으로부터의 선물: 천연주의 기원· 041
인류가 처음 스스로 빚기 시작한 술· 041
술의 어원· 043
신화와 전설에 담긴 세계의 술· 044
이집트 신화· 044
그리스 신화· 044
로마 신화· 045
구약성서· 045
사실적으로 본 술의 유래· 046
원숭이 술· 046 / 과일주· 047 / 벌꿀주
· 047 유주乳酒· 048 / 미인주美人酒
· 048
우리 술의 역사· 049
고대의 술· 049
삼국시대· 050
고려 시대· 051
조선 시대· 052
일제강점기· 054
해방 이후 현재· 055
우리 술 기원· 056
이태백의 술사랑· 057
중국의 유명주 · 059
일본 술 기원에 관한 전설· 062
새에 얽힌 전설· 062 / 미잔오존의 전설· 063
목화소비매의 전설· 063 / 수수보리의 전설· 063
사카바야시酒林· 064
제3절 술 빚는 도구와 용어
고대의 주기· 069
삼국시대 토기의 특색· 069
고대의 주기 용어와 사진· 069
술의 도구 · 072
빚는 도구 · 072
저장 용기 · 076
주기와 소품 · 078
제4절 양조 기법
우리 술의 특징 · 083
모주 만들기 · 083
이양주와 삼양주 만들기 · 085
약주란?(소곡주 제조) · 087
청주와 과실주(오미자 제조) · 088
소주의 방언과 변천사 · 090
편리한 희석요령(주도 조절하기) · 093
혼성주 · 094
주류의 숙성 · 095
양조의 이론수득량 · 097
무게로 알 수 있는 주도 측정 요령 · 098
발효제의 종류 · 099
발효제의 역할 · 099
국麴의 종류 · 099
제5절 명인의 술
대한민국 식품명인 윤리강령· 105
대한민국 식품명인 명인주 25인· 108
조영귀 - 송화백일주· 110
김창수 - 금산인삼주· 112
이성우 - 개룡백일주· 114
박재서 - 안동소주· 116
이기춘 - 문배주· 118
조정형 - 이강주· 120
유민자 - 옥로주· 122
임영순 - 구기주· 124
최옥근 - 계명주· 126
남상란 - 왕주· 128
송강호 - 김천과하주· 130
우희열 - 한산소곡주· 132
조옥화, 김연박 - 민족주 안동소주· 134
양대수 - 추성주· 136
박흥선 - 솔송주· 138
이기숙 - 감홍로· 140
송명섭 - 죽력고· 142
유청길 - 산성막걸리· 144
김견식 - 병영소주· 146
강경순 - 오메기술· 148
김택상 - 삼해소주· 150
곽우선 - 설련주· 152
김용세 - 연잎주· 154
김희숙 - 고소리술· 156
박준미 - 청주신선주· 158
제6절 가루술_분말주
이강 가루술Leegang P-alcohol 서론과 특허 증명서· 163
가루술의 제조기원과 배경· 164
기원과 배경· 164
분말주의 제조 원리· 165
분말주의 용도· 166
분말주 제조 공정· 167
분말주 도수 측정법· 168
제7절 세시풍속
절기주와 세시풍속· 173
설날의 세주· 173
정월 대보름의 귀밝이술· 174
삼월 삼짇날 봄놀이술· 175
청명일에 마시는 청명주· 176
두레에 새참으로 마시던 농주· 177
단오날의 창포술· 177
6월 보름의 유두음· 178
백중놀이의 농주· 178
한가위의 동동주· 180
중앙절의 국화주· 180
제8절 세계의 음주문화
세계 각국의 건배 구호· 185 / 일본의 음주문화
· 185
중국의 음주문화· 186 / 미국의 음주문화· 187
독일의 음주문화· 189 / 프랑스의 음주문화· 190
러시아의 음주문화· 191
제9절 세계 각국의 유명 술
프랑스의 와인Wine과 코냑Cognac· 195
영국의 위스키Whiskey· 197
핀란드의 보드카Vodka· 201
멕시코의 테킬라Tequila· 201
진Gin· 202
샴페인Champagne· 203
제10절 문헌과 참고문헌
조선 시대 술에 관한 문헌· 207
최근의 전통주 문헌· 221
참고문헌· 222
리뷰
책속에서
일반적으로 대대로 이어온 전통의 역사가 있고 국내 원료로만 빚어지는 술을 전통주라 정의한다. 어느 라라든 술은 그 나라의 환경에 맞게 전통성과 역사성을 가지고 나름대로 멋과 맛을 자랑하면서 환경과 식생활의 변화에 적응하면서 발전되어왔다.
- 제1장 전통술의 기초개론 전통주의 특징 중에서
술이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는 확실히 알 수 없으나, 술과 인류의 형성을 더불어 원시시대부터 자연 발생적으로 출현되었다. 또한 글자가 생기기 훨씬 이전부터 존속되었다는 것은 은(殷) 시대의 유적에서 술 빚는 항아리가 발견된 사실로도 충분히 증명된다.
- 제2장 전통주의 역사 사실적으로 본 술의 유래 중에서